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3년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5.9% 증가

  • 등록일2023-08-31
  • 조회수1297
  • 분류기타 > 기타
  • 발간일
    2023-08-29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매출#유통업체
  • 첨부파일
    • hwpx 0829(30조간)유통물류과 23년 7월 주요유통업체 매출 5.9% 증가.... (다운로드 4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3년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5.9% 증가

- 오프라인 3.9% 증가, 온라인 8.1%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3년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 상승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은 경기 침체 및 폭염 등으로 가전/문화(△4.7%), 아동/스포츠(△1.9%)가 저조하였으나,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첫 휴가철을 맞아 식품(6.6%), 서비스/기타(5.2%)에서 매출이 상승하면서 모든 업태가 증가세를 보여 매출이 3.9% 증가하였다.


온라인은 식품(22.1%), 생활/가정(14.0%) 등에서 판매 호조세로, 매출이 8.1% 증가하였다.

※ 기타 상세 내용은 본문 및 붙임 참조


1. 전체 매출 동향


□ (전체 매출)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아 오프라인 부문(3.9%)과 온라인 부문(8.1%) 모두 매출이 상승하면서,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

ㅇ (오프라인) 고물가로 인해 가전/문화, 아동/스포츠 분야에서 매출이 하락하였으나, 휴가철을 맞아 식품, 서비스/기타 분야에서 매출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매출 상승 기록

ㅇ (온라인) 생필품 온라인 구매가 활발해진 가운데, 휴가철을 맞아 식품, 생활/가정 품목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적인 매출 상승 기록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규모(조원) : (’22.7월) 7.15 / 6.75 ⇒ (’23.7월) 7.43 / 7.30


□ (상품군별 매출) 전반적으로 식품(11.9%), 생활/가정(8.9%)의 매출은 상승하였으나, 아동/스포츠(△3.1%)의 매출은 하락

ㅇ (오프라인) 가전/문화(△4.7%), 아동/스포츠(△1.9%) 매출은 하락하였으나, 식품(6.6%), 서비스/기타(5.2%) 등에서는 매출 상승

ㅇ (온라인) 식품(22.1%), 생활/가정(14.0%)에서 호조세를 보이면서 매출 상승

 

□ (구매건수·구매단가) 고물가로 백화점 구매건수는 다소 하락하였으나, 대형마트·편의점 등은 상승하면서 전체 구매건수는 3.9% 증가

ㅇ 구매단가는 대형마트(△3.6%)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2.6%) 등에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0.03% 증가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 (업태별 매출 비중) 오프라인 중 대형마트(△0.4%p), 백화점(△0.7%p), SSM(△0.1%p)의 매출 비중은 줄고 편의점(0.2%p) 매출 비중은 증가하였으며, 온라인 매출 비중은 1.0%p 증가


2. 유통업태별 매출 동향


가. 오프라인 유통업체

□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첫 여름 휴가철을 맞아 대형마트(2.6%), 백화점(2.1%), 편의점(6.6%), 준대규모점포(4.6%) 등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오프라인 전체 매출은 3.9% 증가

ㅇ (대형마트) 휴가철을 맞아 식품(6.6%) 분야 매출이 상승하였으나, 스포츠(△10.5%), 잡화(△5.8%), 가전/문화(△4.7%) 등 비식품 분야는 매출이 하락하면서 전체 매출은 2.6% 증가

ㅇ (백화점) 식품(6.6%), 여성캐주얼(4.0%) 등에서 매출이 상승하였으나, 남성의류(△4.0%), 여성정장(△2.8%), 잡화(△2.2%) 등에서 매출이 하락하면서 전체 매출은 2.1% 증가

ㅇ (편의점) 근거리 소액 쇼핑 추세와 다양한 판촉행사로 잡화(16.5%), 즉석식품(11.1%), 가공식품(6.3%) 등 전 품목에서 매출 상승세를 보이면서 전체 매출은 6.6% 증가

ㅇ (준대규모점포) 일상용품(△3.8%)은 부진하였으나, 가공식품(8.6%), 신선/조리식품(4.1%) 등에서 매출이 오르면서, 전체 매출은 4.6% 증가


□ 점포당 매출은 편의점(△0.1%)을 제외한 대형마트(4.3%), 백화점(2.1%), 준대규모점포(2.0%) 등 대부분 업태에서 증가

ㅇ 점포수는 편의점(6.7%)이 크게 늘고, 대형마트(△1.6%)는 소폭 감소


나. 온라인 유통업체

□ 소비생활 전반에 걸친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면서, 휴가철을 맞아 화장품(17.4%), 식품(22.1%) 매출이 증가세를 보였으며, 전체 매출은 8.1% 증가

ㅇ 전년 대비 무더위와 장마로 인해 외부활동이 줄어들면서 패션/의류(△7.5%), 스포츠(△10.4%), 서비스/기타(△3.9%) 등에서는 판매 부진

* 조사대상인 인터파크에서 도서⋅여행 분야가 분리(인터파크 커머스, ’23.3월)되면서 ’도서/문구‘와 ‘서비스/기타’ 분야 매출액 집계에서 제외 → 향후 ‘24년 3월까지 지속적인 매출 감소 효과 발생


< 일 러 두 기 >

1. 본 동향은 소비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주요 온ㆍ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월간 매출액을 조사·분석한 자료임

2.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동향은 전체 유통업체가 아닌 주요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개사의 월간 매출액을 조사‧분석한 결과임

3.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동향은 온라인 유통업체 12개사의 월간 거래액을 조사·분석한 결과로, 통계청의 승인을 받지 않은 자료임

4. 본 동향은 통계청의 「서비스업동향조사」‧「온라인쇼핑동향조사」와는 모집단, 작성항목 등이 달라 자료간 증감크기나 방향이 상이할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