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국립중앙과학관, 23년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수여식 개최
- 등록일2023-11-24
- 조회수3001
- 분류기타 > 기타
-
발간일
2023-11-2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국가과학유산#등록
- 첨부파일
우리 과학기술의 뿌리 국가과학유산 16건 등록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이석래)은 「과학관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근거하여 2023년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16건을 등록 공고하고, 등록증 수여식을 11월 23일(목) 11시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제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국가적 보존 가치가 있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등록‧보존‧관리하기 위해 2019년에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총 58건이 등록되었다.
2023년도 등록자료는 총 16건이며,
산업기술분야에서는 이동무선전화기(SH-100 s형)·애니콜 카메라폰(SCH-V200)·애니콜 TV폰(SCH-M220)(여주시청/여주시립폰박물관), 대한식소총·황룡 무유도 로켓 시제품(전쟁기념사업회), 목재 교합기·반조절식 교합기(서울대치의학박물관),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 기술 원료 및 프레스기·4족보행 로봇‘센토’·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시작품(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경운기 (CT-85)(한국근현대사박물관), 코비카 카메라 (35 BC)(한국영상박물관) 등 12건이,
과학기술사분야에서는 수운잡방(김원동/한국국학진흥원), 학봉장군 미라(한국자연사박물관), 이재난고(황병무/고창고인돌박물관) 등 3건이,
자연사분야에서는 고성 병산리·월평리 공룡알 둥지화석(고성상족암군립공원사업소/고성공룡박물관) 등 1건이 등록되었다.
이번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된
‘이동무선전화장치 (SH-100 s형)’은 88서울올림픽 당시 IOC위원들(SH-100)에게 제공했던 모델을 똑같이 제작하여 국민들에게 보급했던 모델로 국내 최초 자체기술로 제작한 휴대전화이며,
‘애니콜 카메라폰 (SCH-V200)’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내장형 카메라폰으로 휴대용 전화기 내 카메라를 결합하여 이동통신 기기 발전하였으며,
‘애니콜 TV폰(SCH-M220)’은 휴대폰 컬러 LCD 액정화면에 TV수신 튜너를 내장하여 TV와 휴대폰 전파를 동시에 수신한 세계 최초의 TV폰으로 과학기술적, 역사적 가치가 높음.
‘대한식소총’은 국내 최초 독자개발 소총으로 미국의 M-1917 엔필드 소총과 일제의 99식 소총의 장점을 살려 독자적으로 제작하였으며,
‘황룡 무유도 로켓 시제품’은 1970년대 독자개발 중거리 로켓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추진 전술 지대지 무기 중 하나로 국방기술발전 및 항공우주기술사 변천 및 추이 이해에 중요한 자료이며,
‘목재교합기’는 1930~1940년대 치과의학전문학교 학생실습용으로 사용한 나무 교합기로 상악/하악의 운동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고,
‘반조절식교합기’는 국내 최초로 개발 및 생산된 치의학 임상 실습용 교합기로 국산화에 기여하였다.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 기술 원료 및 프레스기’ 는 결정 특성이 우수하고 질소 불순물 함량이 낮은 공업용 다이아몬드 분립체를 개발하여 산업화하는데 성공 한 자료이며,
‘4족보행 로봇 ‘센토‘ ’는 1994년 KIST의 연구진이 개발에 착수하여 만들어낸 최초의 4족 보행 로봇으로 메카트로닉스 발전사에 기여하였고,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시작품’은 KIST는 연구를 통해 중합 및 분자배향을 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아라미드 단 섬유 제조법(분자성장배행법)을 개발하여 공정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 시킨 자료이며,
‘경운기 (CT-85)’는 1962년대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제작한 최초 경운기 CT-83의 연식 변경 및 국산화에 따라 제작된 CT-85모델로 우리나라 농업기술 기계화의 시발점이 되었다.
‘코비카 카메라 (35 BC)’는 국산 최초의 중형급 카메라로 일본제 카메라의 조립에서 벗어나 디자인, 렌즈, 설계까지 한 국산화 카메라이다.
‘고성 병산리·월평리 공룡알 둥지 화석’은 초식 공룡(조각류)의 공룡알 둥지 화석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공룡알 둥지 화석으로 1억년전 한반도 내 공룡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곳이었음을 보여주는 가치있는 자료이다.
‘수운잡방’은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재료 손질법 등 현대의 음식 제조 상식을 뛰어 넘으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들을 알려주는 고조리서이고,
‘학봉장군 미라’는 내시경을 통한 기관지 검사, 내부 장기로부터 꽃가루와 기생충을 채취, 조사하여 사망 원인을 밝히는 등 내부 장기가 잘 보존된 한국 최고(最古)의 미라이다.
‘이재난고’은 이재 황윤석(黃胤錫,1728~1791)의 친필일기로서, 연구노트이자, 문집의 초고본이다. 천문 역사, 수학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저술로 역사적, 과학기술적, 교육적 가치가 높다.
이들 자료들은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사에 있어서 중요한 성과인 동시에 과학기술의 독창성 및 발전단계를 잘 보여 주고 있으며, 국민생활에 기여하는 과학기술로서의 모습도 잘 나타내고 있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제를 통해 우리나라의 위대한 국가과학유산이 잘 보존 관리되어 미래 세대까지 지속적으로 계승‧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