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K-바이오·백신 펀드, 본격 투자 개시하여 바이오헬스 투자 활성화 이끈다!

  • 등록일2023-11-27
  • 조회수325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3-11-24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K-바이오#백신#바이오헬스
  • 첨부파일
    • hwpx [보도참고자료]K-바이오·백신+펀드+본격+투자+개시하여+바이오헬... (다운로드 27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K-바이오·백신 펀드, 투자 본격 개시하여 바이오헬스 투자 활성화 이끈다!

- 바이오헬스 투자 활성화를 주제로 K-바이오 투자 컨퍼런스 개최

- K-바이오·백신 펀드, ’24년도 1000억 원 투자 통해 민간 투자 견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1월 24일(금) 소피텔 앰배서더 호텔(서울 송파구 소재)에서 ‘K-바이오 투자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K-바이오·백신 1호 및 2호 펀드 운용사*가 민간 펀드 운용사 2곳**과 함께 내년도 바이오헬스 분야에 2500억 원 이상 투자할 계획임을 밝혔다.

* 유안타인베스트먼트(대표 양기석), 프리미어 파트너스(대표 송혁진)

** 인터베스트(공동대표 우충희, 이태용), 한국투자파트너스(대표 황만순),


현재 2616.3억 원 규모로 우선 결성 추진 중인 K-바이오·백신 펀드 1호 및 2호 펀드*는 연내 우선 결성 절차를 마무리하고 ’24년 초부터 본격적인 투자에 개시하여 4년간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 1호 펀드 : 우선 결성액 1500억 원(11.8.), 2호 펀드 : 우선 결성액 1116.3억 원(10.20.)


다만, 최근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 위축* 등을 고려하여, 총 결성액(2616억 원)의 최대 40%(1000억 원)를 ’24년도에 집중 투자한다.

* ’23년 1∼3분기 바이오·의료 벤처투자액 (중소기업벤처부 보도자료, 11.9.) (’21, 1∼3분기) 2.5조 원 → (’22, 1∼3분기) 1.6조 원 → (’23, 1∼3분기) 1.1조 원


아울러, K-바이오?백신 펀드는 혁신 신약개발과 백신 주권 확보라는 조성 취지를 고려하여 혁신 신약 임상 2~3상, 혁신 플랫폼 및 백신 기술 등을 주요 투자 대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K-바이오 투자 컨퍼런스’에서는 K-바이오?백신 펀드 이외에도 바이오헬스 분야 펀드 운용사 2곳(인터베스트, 한국투자파트너스)의 2024년도 바이오헬스 투자 계획도 발표하였다.


이날 참석한 바이오헬스 펀드 운용사 2곳은 제약·바이오 정책 펀드로는 최초로 조성되었던 글로벌 제약 1호* 및 2호 펀드**의 주관 운용사로서,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를 이끌어 왔다.

* 글로벌 제약 1호 펀드(인터베스트) : ’13∼’20년간 결성 규모 1000억 원을 운용하여 수익배수(Multiple) 2.37, IRR 40.99% 달성

** 글로벌 제약 2호 펀드(한국투자파트너스) : ’14∼’24년간 결성 규모 1350억 원을 운용 중 (’24년도 청산 예정)


특히, 이번 투자 컨퍼런스를 계기로 K-바이오·백신 펀드와 함께 2024년도 바이오헬스 분야에 1500억 원* 이상 투자할 계획임을 밝혔다.

* ’24년도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 규모 인터베스트 : 500억 원 이상, 한국투자파트너스 : 1000억 원


이번 컨퍼런스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등을 통해 11월 15일부터 11월 22일까지 참석자를 사전 등록받았으며, 100여 개 기업이 참석하여 투자 신청 및 절차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컨퍼런스 이후 K-바이오?백신 펀드의 투자 신청 및 상담을 요청하고자 하는 기업은 각 운용사별 투자 상담 창구*를 통해 자유롭게 신청이 가능하다.

* K-바이오?백신 1호 펀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 hschoi@yuantainvest.comK-바이오?백신 2호 펀드 (프리미어 파트너스) : bd@premierpartners.co.kr


K-바이오?백신 펀드 등 투자설명회 끝난 후에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기술특례 상장전략, 국가 신약 연구개발(R&D) 투자 방향, 인수합병(M&A) 동향 및 활성화 방안 등 제약?바이오 투자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였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K-바이오 투자 컨퍼런스가 바이오 헬스 펀드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히며,


“향후에도 추가적인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을 통해 민간 투자를 견인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