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적극 지원
- 등록일2023-11-28
- 조회수3279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23-11-27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첨단바이오의약품#지원#바이오의약품
- 첨부파일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적극 지원
- ‘개인 맞춤형 신생항원 치료제 개발시 고려사항’ 등 안내서·사례집 제·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안내서) 2종을 제·개정 하고 임상시험 신청 시 자료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규제과학 상담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➊ ‘개인 맞춤형 신생항원 치료제 개발시 고려사항’ 제정
최근 환자 개인의 신생항원*을 사용한 항암제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치료제 개발 시 필요한 고려사항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을 선제적으로 마련하였다.
* 암세포의 DNA에 특정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정상세포에서는 발현하지 않고, 암세포에서만 선별적으로 발현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의미
기존 항암제와 달리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조되는 특성을 반영하여 종양조직 채취부터 신생항원 제조까지 품질평가 방법, 비임상·임상 시험 시 고려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➋ ‘세포치료제 세포은행 평가 민원인 안내서’ 개정
세포치료제는 소규모로 제조되기 때문에 세포은행*을 자주 구축·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세포은행 구축 의무 대상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개발자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개정하였다.
* 특성이 규명된 세포를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균질한 세포를 여러 개의 용기에 같은 양으로 나눠 담고 정해진 조건에서 보관하는 것. 제조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함
세포원액* 품질관리 기준 적절성 등 과학적 근거와 해외 사례를 기반으로 제조 규모가 작은 세포치료제의 경우 세포은행 구축에 대한 예외를 적용받도록 했다.
* 세포 기반 의약품을 생산하기 위한 출발물질. 일정 수의 세포로 증식시키고 나눠 담아 만든 제한된 로트 수의 세포
아울러 1인의 기증자로부터 소량의 완제의약품을 생산할 경우 세포은행을 구축하는 대신 기증자간 동등성 평가 등 과학적 근거를 통해 세포원액으로 설정하여 품질관리 하도록 하고, 그 타당성과 변경 관리계획에 대해서는 식약처와 사전에 협의하도록 하였다.
➌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 상담사례집’ 발간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신속한 임상시험을 지원하기 위해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자료 관련 질의와 답변, 그리고 다양한 상담 사례를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
식약처는 이번 안내서 제·개정이 우수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을 지원하고 합리적인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전문성과 규제과학을 바탕으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품화를 적극 지원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제·개정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mfds.go.kr) > 법령/자료 > 자료실 > 안내서/지침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