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24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등록일2024-01-08
  • 조회수207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1-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개발사업#종합시행계획#계획
  • 첨부파일
    • hwpx 240105 조간 (보도) 2024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 (다운로드 31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과학기술‧ICT 강국 도약을 위해 ‘24년 총 5조 8,577억원 투자

- 2024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5조 8,577억원을 투자하는 ‘2024년도 연구개발(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2024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의 전반적인 추진방향과 분야별 추진계획을 확정하기 위해 수립되었으며,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 4조 6,909억원 및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1,668억원을 대상으로 한다.


※ 근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


금년에는 글로벌 블록화에 따른 기술패권 경쟁 심화, R&D 혁신에 대한 국가적 요구 등의 국내외적 상황 속에서 ‘선도형 R&D 혁신으로 글로벌 과학기술·ICT 강국 도약’을 목표로 총 5조 8,57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주요 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자가 혁신·도전적인 R&D를 추진할 수 있도록 투자를 강화한다.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연구를 연구자의 성장 단계별로 지원하며, 특히 젊고 유능한 연구자가 도전적 연구를 마음껏 수행할 수 있도록 신진연구자 대상 기초연구 투자*를 강화한다. 그리고 국내 연구자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과 함께 연구할 수 있도록 대규모 국제공동 연구·인력교류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 한우물 파기 연구(‘24년 90억원), 세종과학펠로우십('24년 1,299억원)

**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 허브 구축 (’24년 신규 100억원) 등


또한 과학기술과 ICT 기반으로 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분야에도 투자한다. 첨단바이오, 주력기술(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양자기술 등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전략기술 확보 목적의 R&D 투자를 강화하며, 우주, 원자력 등 거대과학 분야에서 민간의 기술혁신 촉진 등을 위한 R&D 투자도 확대한다.


*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24 신규 73억), 양자공통기반기술(’24 신규 24억원), 반도체 첨단패키징 핵심기술개발(’24 신규 64억), 온실리콘 디스플레이 미래 원천기술 개발(’24 신규 33억원), 우주산업 클러스터(‘24년 100억원), 민관합작 차세대 원자로 개발 프로젝트 (’24년 60억원)


디지털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도 집중 투자한다. 현 생성형 AI의 한계 극복과 산업현장의 문제해결 등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과 차세대 AI반도체 기술, 6G 등 차세대통신 기술, 양자암호통신, 사이버보안 기술 등 ICT 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한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단계별 테스트와 실증을 위한 기술개발 등 우리 일상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미래 디지털 혁신·유망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 차세대 생성AI 기술개발('24년 신규 40억), AI반도체첨단이종집적기술개발(’24년 신규 75억원), 차세대통신네트워크산업기술개발('24년 신규 206억원), 양자암호통신산업기술개발('24년 신규 49억원),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24년 1,045억원(신규 661억원))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등 총 3개사업('24년 총 400억원(신규 46.5억원))


혁신 연구성과를 지역과 딥테크 산업화로 확산하는 분야에도 투자한다. 첨단과학기술 분야 공공연구 성과가 창업투자, 기술이전 등 과학사업화를 통해 미래 신산업으로 연결되도록 선도적으로 투자*한다. 이와 함께 우수한 ICT 연구성과가 기업의 기술혁신과 신제품·신서비스 창출로 이어지도록 하는 기술개발 지원도 지속 추진**한다.

* 딥사이언스창업 활성화지원(’24 신규 20억원), 학연협력플랫폼구축(‘24년 81억원)

** ICT R&D 혁신바우처 지원('24년 19억원) 등 기술사업화 사업(총 36억원)


미래사회를 대비한 글로벌 우수인재 양성에도 투자를 강화한다. 국가 전략 기술 분야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12대 분야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하고, AI 분야 석·박사급 인재양성과 함께 디지털 신산업을 견인할 고급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 학·석사 연계지원, 지역인재 양성 등**도 추진한다.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24년 614억원)

** AI대학원(200억원(10개), AI융합대학원(105억원(9개), AI혁신허브(100억원(1개)), 대학ICT연구센터(’24년 348억원), 학·석사연계(’24년 115억원), 지역인재육성(’24년 276억원)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 혁신에 대한 대내외적 요구에 부응하여 세계 최초, 최고의 R&D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개선 계획도 함께 발표하였다.


과학기술 분야는 평가 시 상피제의 원칙적 폐지, 도전성·혁신성 지표 비중의 대폭 확대, 평가 종합의견 원칙적 공개 등 평가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평가체계 개선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일회적, 파편화된 사업의 구조개편, 과제 대형화 등 R&D 사업 구조개편 마련도 추진하며 ’25년 예산협의·편성 과정을 통해 구체화할 계획이다.


ICT 분야는 장기연구를 통한 난제해결에 중점을 둔 전략적 기획, 데이터 기반의 기획지원 플랫폼 구축 등 적기·상시 기획 체계 수립, PM의 선정평가위원 대상 설명 의무화 등을 통한 평가 전문성 강화와 같은 R&D의 기획, 평가 역량을 중점 제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연구자들의 안정적 연구 수행을 위해 계속과제 추진 가이드라인과 글로벌 R&D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계속과제 추진 가이드라인을 통해 연구자가 전년대비 예산 감액 등 변화에도 불구, 안정적이고 원활한 사업·과제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구비 조정 절차, 협약 변경 절차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대폭 확대되는 글로벌 R&D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연구자 주도의 적합한 연구과제 지원 방향 등을 안내함으로써 연구자들의 원활한 과제 수행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5일자로 공고하였으며, 1월 말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붙임1 연구개발사업 분야별 예산 현황 및 투자방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