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으로 연구개발 비용 크게 절감, 진입장벽 낮출 수 있어
- 등록일2024-03-15
- 조회수6157
- 분류종합 > 종합, 제품 > 바이오장비, 제품 > 바이오자원
-
발간일
2024-03-14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시설#연구개발#공동활용
- 첨부파일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으로 연구개발 비용 크게 절감, 진입장벽 낮출 수 있어
-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공동활용 확대 지원 시작
- ’24년 3월부터 감염병 병원체를 이용한 보건의료 전 분야 연구·개발로 확대
- 공동활용 참여시설, 기존 29개에서 42개 시설로 확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생물안전 3등급(이하 BL3) 연구시설을 보유한 기관들과 협력하여, BL3 연구시설이 없는 바이오산업 분야 민간연구소나 기업들도 BL3 연구시설을 활용하여 연구·개발할 수 있도록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 지원’을 확대하여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BL3 연구시설의 활용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BL3 연구시설을 보유한 기관들과 협력하여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BL3 민간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그 결과 총 43건(’20∼’23년)의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을 연계 지원한 바 있다.
그간에는 공동활용 지원 대상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2024년 3월부터 ▲지원대상 병원체를 고위험병원체를 포함한 모든 감염병 병원체로 확대하고, ▲연구범위도 백신‧치료제 및 진단키트 제품 개발 등 보건의료 용도 전체 분야로 확장하며, ▲BL3 지원 타당성 검토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 BL3 지원 타당성 검토위원회 구성 : BL3 운영기관 추천 3인, 한국바이오협회 추천 1인, 질병관리청 1인
또한 2024년 3월부터 확대하는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 지원’에는 국내 42개 BL3 연구시설들이 참여하며,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 참여 : ’23년 29개 시설 → ’24년 42개 시설
BL3 공동활용 지원은 2024년 3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공문 또는 전자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전자우편 : kdcabiosafety@korea.kr
** 1)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kdca.go.kr) → 알림·자료 → 공지사항2)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kdca.go.kr) → 정책·정보 → 생물안전 → 자료실
접수된 신청서는 ‘BL3 타당성 검토위원회’에서 연계 지원 적절성을 검토하고, BL3 연구시설 보유기관과 사용 비용 등 협의를 거쳐 4월 중순부터 최종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다.
* BL3 보유기관의 자체 규정에 따라 BL3 사용료 또는 시험의뢰 수수료 등 부과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BL3 연구시설은 구축과 운영에 많은 비용과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지만, BL3 연구시설을 공동활용하면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연구개발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하며,
“국내 BL3 보유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바이오산업 분야 민간연구소와 기업들의 연구‧개발 활동이 촉진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