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14개 후보 본선 진출! 본격적인 평가 절차 돌입
- 등록일2024-03-27
- 조회수333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3-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 #전략연구단#평가
- 첨부파일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14개 후보 본선 진출! 본격적인 평가 절차 돌입
- 3.19.(화)~20.(수) 이틀간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제안서 평가 실시, 총 51개 제안서 중 14개 제안서 선정
- 선정 제안서 대상 구체적 연구개발계획 수립 후, 연구개발계획서별 전문평가위원회 검토를 통해 심층 평가 및 보완 컨설팅 실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김복철, 이하 NST)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제안서 평가 결과 총 14개의 제안서가 선정되었으며, 해당 제안 임무에 대한 심층 평가 및 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해 3.26.(화) 연구개발계획서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개요 >
ㅇ (사업목적) 출연(연) 간 칸막이를 낮추고 국가적 임무 중심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내외 산·학·연과 함께 대형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ㅇ (지원규모) 평가 결과 우선순위에 따라 연구단별 필요액 지원(’24년 총 1,000억원)
※ 예산 범위 내에서 기관 간 칸막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비를 필요액만큼 지원하고, 참여 연구자 인건비를 신청 규모 100% 보장(최대 5년 이내)
ㅇ (지원분야) 국가적 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는 모든 기술·제품 분야 대상
지난 3.19.(화)~3.20.(수) 이틀간 이루어진 제안서 평가에서는, 1.31.(수) 공고 이후 접수된 51개 제안서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평가위원으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기업 CTO, 논문 고피인용 연구자(HCR), 리더연구자 등 산·학·연 최고의 전문가 45인이 참여하였으며, 제안 연구 주제에 대한 국가적 필요성·탁월성, 성과에 대한 국민적 체감 가능성, 수행 체계의 혁신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수소, 이차전지, 반도체, 우주·항공, 양자, AI, 첨단바이오 등 과학기술 전 분야를 아울러,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연구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는 14개의 후보 주제를 선정하였다.
이번 연구개발계획서 공고에 따라, 선정된 제안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연구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평가·보완하기 위한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선정·평가 절차>
┏━━━━━ 과학기술적 탁월성 평가 ━━━━━┓ |
| ┏ 국가적 임무 평가 ┓ | |||||
제안서 평가 | ➡ | 1차 평가 | ➡ | 연구계획 보완 | ➡ | 2차 (종합)평가 | |
제안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적 필요성·탁월성 검토 | 혁신적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체계, 혁신 의지 등 평가 | 임무 목표와 수행체계 맞춤형 컨설팅 실시 | 국가·사회·정책적 의의에 대한 각계 리더의 평가 |
이번 제안서 평가에 참여한 평가위원들은 “전략연구단과 같은 기회로 각 출연(연)이 내세우는 선수들이 함께 모인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며, “국가적인 임무를 해결하기 위해 출연(연)들이 어떻게 기관 간 칸막이를 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수행할지 깊이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출연(연)이 자발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혁신적 연구개발 체계를 바탕으로, 이번에 선정되는 전략연구단이 마무리되는 5년 후에는 우리 국민들이 출연(연)의 역할을 체감할 수 있는 대형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노경원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지원사업’ 선정평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단 구성을 위해 산·학·연 각계 최고의 전문가들이 국가적으로 추진이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는 한편, 출연(연)과 함께 머리를 맞대어 이를 구체적으로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일련의 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는 방식”이라며, “앞으로 이어질 연구개발계획 평가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단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