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의료‧심리돌봄(케어) 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로 국민 건강관리 선도

  • 등록일2024-04-25
  • 조회수1130
  • 분류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4-04-2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심리돌봄#인공지능#서비스
  • 첨부파일
    • hwpx 240426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의료·심리케어 분야 초거대 AI ... (다운로드 4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의료‧심리돌봄(케어) 분야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로 국민 건강관리 선도

- 법률, 미디어·문화, 학술에 이어 보건의료, 심리돌봄(케어)‧정신건강 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응용서비스 개발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 이하 ‘NIPA’)과 함께 민간 전문영역의 초거대 AI 응용서비스를 개발하는 ‘초거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추가 공모를 4월 26일부터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초거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5개 민간 전문분야에 대해 종사자의 업무를 보조하고 국민 혜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법률, 미디어·문화, 학술 3개 분야*는 현재 공모(3.29~4.30) 중이며, 보건의료, 심리케어·정신건강 2개 분야**를 5월 28일까지 공모한다.


* AI 법률보조 서비스 확산(75억원), AI 미디어·문화 향유 확산(90억원), 초거대 AI 기반 학술활동 지원(30억원)

** AI기반 보건의료 서비스 선도(80억원), AI 심리케어·돌봄지원(60억원)


보건의료, 심리케어·정신건강 분야는 AI 기술과 접목 시 국민들의 건강관리, 삶의 질 개선 등 새로운 가치와 혁신적인 서비스가 창출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국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넘어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AI 기술 도입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련 사업을 통해 전공의가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아·청소년과나 우울증, 불안장애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정신건강 분야 등에 초거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해당 분야는 공모를 통해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며, 개발되는 서비스의 신뢰성, 유효성 및 안정성 검증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최대 4년 동안 지원한다.


먼저 보건의료 분야는 소아·청소년과 의원 감소, 전공의 감소 등 사회적 이슈와 보편적 국민 체감 등을 고려하여 소아·청소년과 분야의 초거대 AI 기반 선제적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기반 보건의료 서비스 선도’ 사업을 통해 소아 보호자 대상 건강상담 지원, 질병 예측 알림과 함께 의료진의 환자별 증례 분석, 처방 보조 등 소아 건강지원 특화모델 개발·실증을 위한 1개 컨소시엄을 선정하여 지원(’24년 80억원)할 예정이다.


구분

주요 내용

지원분야

ㅇ 소아 보호자 대상 건강상담질병 예측 알림과 의료진 대상 환자별 증례 분석처방 보조 등 소아 건강지원 초거대 AI기반 서비스 개발·실증

과업내용

ㅇ 지정된 목표의 국민체감전문가 지원 서비스

지원규모

ㅇ ’24년 80억원(1연간 80억원 이내, 4년 지원)


또한, 심리케어·정신건강 분야는 우울증, 자살 등 사회문제 해소에 기여하기 위해, 사회적 편견과 사생활 노출 등으로 치료를 꺼리는 환자들의 접근성 강화 및 심리상담 인력의 업무 효율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 심리케어·돌봄지원’ 사업(’24년 60억원)을 통해 초거대AI 응용서비스 개발·실증을 지원하며, 국민들의 정신건강 관리, 관련 정보 안내 등을 지원하는 국민체감형 과제(’24년 40억원)와 상담 인력이 활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 분석, 상담 방향 제안 등 전문가 보조 과제(’24년 20억원)로 나누어 총 2개 컨소시엄을 선정·지원할 예정이다.



구분

국민 체감형 서비스

전문가 보조 서비스

지원분야

ㅇ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실증

ㅇ 심리상담 인력의 업무를 보조하는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실증

과업내용

ㅇ 국민체감 또는 전문가 지원 각 트랙 내에서 자유 제안

지원규모

ㅇ 24 40억원
(1연간 40억원 이내, 4년 지원)

ㅇ 24 20억원
(1연간 20억원 이내, 4년 지원)


과제 신청을 위한 구체적 지원 내용과 선정 절차 등 공모에 대한 상세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www.nipa.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