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공공·안전 분야 디지털 한계극복 기술개발 착수

  • 등록일2024-05-27
  • 조회수885
  • 분류기타 > 기타
  • 발간일
    2024-05-2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공공#안전#디지털#한계극복#기술개발
  • 첨부파일
    • hwpx 240527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공공안전분야 디지털 한계극복 ... (다운로드 3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공공·안전 분야 디지털 한계극복 기술개발 착수

- 혁신도전형 연구개발(R&D)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 과제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이하 IITP)은 「실감콘텐츠핵심기술개발사업」의 혁신도전형 신규 과제들에 대한 공모*를 5월 27일(월)부터 6월 26일(수)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https://www.iris.go.kr)에서 접수 예정


      이번에 공고하는 신규 과제들은 ▴AI 윤리성 강화를 위한 딥페이크 탐지, ▴초저전력‧초고성능 AI반도체, ▴비침습형 디지털 의료, ▴지능형 비접촉 방식 마약 탐지 등 4개 과제로 향후 4년 동안 과제별 40~46억원 규모로 총 175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며, 참여를 신청하는 연구자들은 분야별 연구 주제에 대해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방법과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위의 과제들은 공공·안전 등 국민의 삶의 질과 밀접한 분야에서 직면하고 있는 국가적 문제들의 해결 또는 AI반도체 등 디지털 기술의 도약에 걸림돌이 되는 한계상황 극복을 위해서 추진되었고 사전 기술수요 조사, 전문가 기획위원회 및 인터넷 공시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과 심도 있는 논의 과정을 거쳐서 최종 연구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과기정통부는 실패 확률이 높더라도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혁신·도전형 R&D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실감콘텐츠 핵심기술개발사업에서 5개의 디지털 분야 혁신도전형 과제*를 선정해서 지원한 바 있다.


  * ▴언어약자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기술, ▴초소형 위성 관측 데이터를 고도화하는 기술, ▴3D 영상의 학습 및 추론을 위한 차세대 AI반도체 기술, ▴증강현실(XR) 콘텐츠의 몰입감 향상을 위한 초점 개선 기술, ▴개인화된 생체 데이터 확보‧활용 기술


      과기정통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기술변화가 빠른 디지털 분야에서 무난한 연구성과를 목표로 하는 안정적인 R&D만으로는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면서, “R&D다운 R&D를 통한 선도형R&D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공격적인 연구목표를 제시하는 혁신도전형 R&D사업들을 적극 확대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공고의 신규과제 연구기간, 지원규모 및 연구내용 등 상세 내용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누리집, IITP(www.iitp.kr) 누리집 내 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https://www.iris.go.kr)을 통해 접수 예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