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디지털 분야 첨단 연구를 선도할 석·박사급 핵심인재양성 신규과제 본격 착수

  • 등록일2024-07-03
  • 조회수895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7-0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석박사급#핵심인재양성
  • 첨부파일
    • hwpx 240704 조간 (보도) 디지털 분야 첨단 연구를 선도할 석·박사급 ... (다운로드 4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디지털 분야 첨단 연구를 선도할 석·박사급 핵심인재양성 신규과제 본격 착수

- 대학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 24개,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3개, 학·석사연계정보통신기술핵심인재양성 18개 등 45개 과제 선정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분야 첨단 연구를 통해 글로벌 디지털 기술혁신을 이끌어갈 석‧박사급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ICT연구센터(ITRC),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학·석사연계ICT핵심인재양성 사업의 ’24년도 신규과제 45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00년부터 ICT 분야에서 17,800명 이상의 석·박사생을 양성해 국가 기술경쟁력 제고와 디지털 경제 성장에 기여해 온 디지털 분야의 대표 고급인재 양성사업인「대학ICT연구센터」에서는 △AI, △AI반도체, △사이버보안, △소프트웨어, △양자 등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24개의 신규 과제를 선정하여 첨단 연구 프로젝트와 학생 주도의 창의자율과제 등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과제별로 실패가능성이 높으나 성공시 초격차 기술력 확보는 물론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혁신·도전형 프로젝트와 디지털 기술의 확산을 위한 인문·사회 등 타 분야와의 융합형 연구를 의무화하였다.


  아울러, 지역 석‧박사생 부족, 수도권 대학과의 경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지역소재 대학을 위해 맞춤형 ‘지역소형화과제’를 신설하고 △AI, △AI반도체, △차세대통신, △양자, △방송·콘텐츠, △농·축·수산 융합 분야 등 8개 신규 과제를 선정하여, 지역인재 양성과 균형 발전을 적극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24개 과제 중 일반과제(16개)에는 연 10억원, 지역소형화과제(8개)에는 연 5억원(1차년도인 ’24년은 50% 지원) 수준의 예산을 최장 8년까지 지원하여, 과제당 연 40여명의 최고급 석·박사생을 양성(지역소형화과제는 20여명)할 예정이다.


< ’24년 대학ICT연구센터 신규과제 선정 현황 >


기술 분야

선정대학

기술 분야

선정대학

일반

과제

AI

고려대

일반

과제

사회문제해결
(AI역기능 대응)

성균관대

AI

성균관대

환경·에너지

중앙대

AI반도체

세종대

우주항공해양

세종대

사이버보안

중앙대

재난안전복지

단국대

소프트웨어

포항공대

지역

소형화

AI

경북대

소프트웨어

한국과학기술원

(KAIST)

AI반도체

금오공대

양자

세종대

방송·콘텐츠

창원대

차세대통신

고려대

양자

충북대

국방

금오공대

차세대통신

금오공대

국방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차세대통신

충남대

바이오·헬스

경희대

차세대통신

한밭대

바이오·헬스

전남대

··수산

공주대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15년~)은 지역 내 석·박사 고급인재 부족 해소와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산·학 연구 및 지역 산업 재직자의 대학원 학위과정 교육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전국 15개 광역시‧도 중 그간 선정된 과제가 없었던 경남, 전북·제주, 충남·세종 지역에서 각 1개씩 총 3개의 신규 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제당 매년 약 20억원(1차년도인 ’24년은 50% 지원)의 예산을 최장 8년간 지원하여, 연 20여명의 석·박사생을 양성할 예정이다.


< ’24년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신규과제 선정 현황 >

지 역

선정대학

기술 분야

경남

경남대

지능형기계자율주행차디지털 헬스케어 등

전북·제주

전북대

농업융복합소재응용특화SW 

충남·세종

호서대

반도체디스플레이해양수산 등




  학부생에게 석·박사 교육·연구 참여가 가능한 연계과정을 제공하는 「학·석사연계ICT핵심인재양성」사업(’20년~)은 우수한 인재가 디지털 분야에 진출해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돕고, 이와 더불어 민간 기업과 대학이 함께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여 산업 현장의 실전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올해에는 △SW·AI, △디바이스, △미래통신·전파, △블록체인·융합, △차세대보안 분야에서 총 18개 과제를 새롭게 선정하였다. 향후 최장 5년간 과제당 연 2.5억원(1차년도인 ’24년은 50% 지원) 수준의 예산을 지원하여, 연 10여명의 석·박사생을 양성할 예정이다.


< ’24년 학·석사연계ICT핵심인재양성 신규과제 선정 현황 >   


기술 분야

선정대학

기술 분야

선정대학

SW·AI

고려대(AI)

미래통신·전파

전남대

고려대(빅데이터)

한국항공대

단국대

블록체인·융합

가톨릭대

동국대

경기대

성균관대

세종대

인천대

차의과대

디바이스

단국대

포항공대

동국대

한밭대

순천향대

차세대보안

성균관대




  과기정통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AI, AI반도체 등 디지털 첨단기술 분야에서 초격차·신격차 확보를 위해서는 최고 수준의 석·박사 연구인재를 지속적으로 양성해 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면서,


  “혁신·도전형 연구 활성화, 지역대학 참여 확대를 통한 지역인재 육성, 학부생의 석·박사생 연구과정 참여·연계 강화 등 다양한 정책들을 촘촘히 지원하여 디지털 고급인재 양성에 총력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