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민의 언어로 소통한다” 쉬운 언어 소통지침 만든 질병관리청

  • 등록일2024-07-15
  • 조회수951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 발간일
    2024-07-15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질병관리청#쉬운 언어 소통 지침 #감염병
  • 첨부파일
    • pdf [7.12.금.조간]+국민의+언어로+소통한다...+쉬운+언어+가이드라인... (다운로드 4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zip [별첨]+감염병+과학+정보의+효과적+소통을+위한+가이드라인.zip (다운로드 4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x [7.12.금.조간]+국민의+언어로+소통한다...+쉬운+언어+가이드라인... (다운로드 3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민의 언어로 소통한다” 쉬운 언어 소통지침 만든 질병관리청


감염병 유행 시 과학적 정보의 효과적 소통을 위한 통합 지침 연구」 결과 발표

감염병 과학 정보의 국민 눈높이 소통 원칙에 대한 실무자 가이드라인 발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의 정책 제언을 바탕으로 추진한 감염병 유행에서 과학적 정보 소통 개선을 위한 일반언어요약(Plain Language Summary) 지침 개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이번 연구는 감염병과 관련된 전문적인 내용을 일반 국민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도 함께 제시되었다.

연구책임자 최명일 남서울대 광고홍보학과 교수(전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 학회장)

 

연구진은 코로나19 유행 당시 이루어진 방역 소통을 기반으로 질병관리청의 소통 자료 국민의 소통 수용도 언론인 및 보건관계자의 소통 수용도 등을 조사·분석하였으며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실무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감염병 과학 정보의 효과적 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코로나19에 대한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브리핑문 등 소통자료를 평가한 결과감염병 유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적절히 담고 있었으나 국민들에게 다소 생소한 전문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항목 중 감염병 유행 상황에 꼭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 국민들의 상황을 공감하는 것 등 소통 메시지 측면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고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어려운 전문용어를 사용할 때 충분히 설명하는 것 등 소통 용어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국민의 코로나19 소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질병관리청의 소통에 대해 신속성 정확성 상호성 신뢰성 공감성 투명성’ **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모든 항목이 보통’(M=3) 이상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1차 조사) 2023.8.10.~8.17. 전국 거주 만 1869세 성인 500명을 대상
(2차 조사) 2023.10.26.~11.6. 전국 거주 만 1869세 성인 600명을 대상

*신속(M=3.59), 정확(M=3.48), 상호(M=3.45), 신뢰(M=3.42), 공감(M=3.35), 투명(M=3.29) 5척도



코로나19 관련 용어 이해도 >

< 코로나19 관련 용어 이해도 >

 

 

일반 국민들의 감염병 전문용어 유형별 이해도 >

< 일반 국민들의 감염병 전문용어 유형별 이해도 >



자료 최명일 외.(2023). 감염병 유행에서 과학적 정보 소통 개선을 위한 일반언어요약 (Plain Language Summary) 지침 개발질병관리청.

 

코로나19 유행 기간 사용된 용어에 대해 국민들은 대체로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PCR검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고 트윈데믹’, ‘mRNA’ 같은 용어는 이해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전문용어를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유형에 따른 이해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대상분류용어 유형(고위험군밀접접촉자 등)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외래어 유형(트윈데믹온택트 등)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용어 유형을 고려한 소통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일상전문용어대상분류용어의학전문용어정책전문용어통계전문용어외래어 [붙임 참고]

 

통계전문용어 소통 방안 일부 발췌(가이드라인 62) >



• 용어의 해설은 지표의 의미를 해석하거나 맥락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전반적인 메시지 이해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통계지표를 제시할 때 필연적으로 숫자를 활용하게 되는데숫자를 받아들일 때 국민들이 현실에 비해 상황을 지나치게 심각하게 인식하거나 지나치게 안심하여 위험성을 간과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수치를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함

• 수치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프 등의 간단한 이미지를 활용하거나 맥락적 정보를 제시하여 숫자의 의미를 설명함으로써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음



셋째언론인과 보건관계자 대상으로 코로나19의 소통 수용도를 조사한 결과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보 제공 감염병 유행 단계별 맞춤형 소통 전략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단계별 맞춤형 소통 일부 발췌(가이드라인 18) >




경계 단계의 주요 시나리오와 소통 목표 및 소통 전략

주요 시나리오

감염 확진 국민 증가감염병 관련 루머 확산

주요 목표

지속적 위험 평가와 대응을 위한 긴밀한 소통

소통 전략

• 감염병 및 면역예방에 대한 과학적 사실 기반 정보 제공

• 지지와 지시가 필요한 취약 집단에 대한 감염병 관리 정책의 정보 전달

•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 발생에 대해 애도를 표현하고 국민 불안 정서 공감





 이에 연구진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감염병 과학 정보의 효과적 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본 가이드라인은 국민들이 감염병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통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고려해야  소통 원칙 전문적인 정보를 보다 쉽게 전달하는 방법 실무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점검표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실제 보도자료를 예시로 사용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가이드라인 구성 >


○ 감염병 위험 소통

감염병 위험 소통

감염병 유행 단계와 주요 시나리오

메시지의 목표 수용자

소통 정보원 및 채널에 대한 이해

메시지의 목표와 우선순위의 결정

포용적 소통

○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의 일반언어 활용

가독성을 고려한 메시지 구성

전문용어의 올바른 사용

통계 정보의 사용

시각자료의 적절한 활용

일반언어 요약

○ 감염병 위험 소통 체크리스트


감염병 과학 정보의 효과적 소통을 위한 가이드라인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www.kdca.go.kr) > 알림·자료 법령·지침·서식 지침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민과 사회의 안전을 위해 과학에 근거한 정책을 만들고 잘 소통하는 것이 질병관리청의 존재 이유라고 강조하면서, “감염병 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소통하도록 더욱 노력할 이라 언급했다.

 

연구의 책임자인 남서울대학교 최명일 교수는 이번 연구가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감염병 상황에서 국민들을 비롯한 여러 이해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소통에 도움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