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유럽혁신지수, 세계 경쟁국 중 12년 연속 1위 기록
- 등록일2024-08-06
- 조회수751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8-0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기정통부#유럽혁신지수#유럽연합
- 첨부파일
유럽혁신지수, 세계 경쟁국 중 12년 연속 1위 기록
- 유럽연합, 2024년 유럽혁신지수(EIS) 결과 발표 -
- 유럽연합 주요 경쟁국 중 혁신성과 한국 1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유럽혁신지수 결과에서 세계 경쟁국 중 한국이 12년 연속 1위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참고: 유럽혁신지수(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 (유럽혁신지수) 유럽연합 집행위가 유럽 회원국(27개국), 인접국(12개국)* 및 세계 경쟁국(11개국)** 간 혁신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01년부터 매년 발표 * 인접국: 영국, 세르비아, 투리키예,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알바니아, 몰도바,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우크라이나 ** 세계 경쟁국: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 브라질, 멕시코, 칠레
■ (평가지표) 혁신여건, 투자, 혁신활동, 파급효과 등 4개 부문 32개 지표 사용, 한국을 포함한 세계 경쟁국은 19개 지표만 사용하여 평가 |
우리나라는‘24년 유럽혁신지수 119점으로 캐나다(115점), 미국(107점), 중국(95점), 일본(93점) 등 세계 경쟁국 중 가장 높은 혁신 성과를 기록하였다.
우리나라는 19개 평가지표 중 11개 지표에서 유럽연합 평균 대비 우수(100점 이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표 출원(608.6점), 디자인 출원(309.0점), 기업분야 연구개발 투자(250.0점) 지표에서 우위를 보인 반면, 제품혁신 도입 중소기업(28.4점), 사업 공정혁신 도입 중소기업(12.2점), 미세먼지 대기 방출량(59.1점) 등의 지표에서 열세를 보였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중소기업 혁신활동 지원, 탄소중립 정책, 국제 연구개발 정책·사업 추진 등을 통해 취약 지표에 대하여 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39개국 범유럽권(유럽 회원국 및 인접국) 국가 평가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스위스가 1위를 차지하였고 덴마크(2위), 스웨덴(3위)이 상위권 순위를 차지하였다.
<2024년 EU 국가 대비 한국의 혁신수준>
구분 | 지표명 | 한국 | 2017년 대비 변화폭 |
2024년 | |||
유럽연합 대비 우위 | 상표 출원 | 608.6 | ▲342.0 |
디자인 출원 | 309.0 | ▲48.5 | |
기업분야 연구개발 투자 | 250.0 | ▲9.5 | |
특허협력조약(PCT) 특허 출원 | 211.0 | ▲27.1 | |
고등교육을 받은 인구 | 186.3 | ▲17.7 | |
기업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 | 159.7 | ▼9.2 | |
공공분야 연구개발 투자 | 141.6 | ▲18.6 | |
공공-민간 공동 논문 | 129.6 | ▲39.8 | |
신규 과학기술 박사 학위자 | 125.2 | ▲32.2 | |
다른 주체와 협력하는 혁신적 중소기업 | 124.8 | ▼203.9 | |
중간 및 첨단기술 제품 수출 | 109.9 | ▼10.4 | |
유럽연합 대비 열위 |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 | 99.8 | ▲23.6 |
국제 과학 공동 논문 | 95.1 | ▲37.9 | |
정보통신기술 전문가 고용 | 86.7 | ▲26.2 | |
환경 관련 기술 | 71.8 | ▼47.7 | |
상위 10% 피인용 논문 | 69.0 | ▲4.5 | |
미세먼지 대기 배출량 | 59.1 | ▲0.4 | |
제품 혁신을 갖춘 중소기업 | 28.4 | ▼35.3 | |
사업 공정 혁신을 갖춘 중소기업 | 12.2 | ▼78.4 |
※ 2024년 유럽연합(EU) 국가 평균값을 100으로 할 때의 한국의 혁신수준을 나타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한-아세안 보건 협력 강화
-
다음글
- 226만 명 암환자 빅데이터 확대 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