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정보주체와 함께 만드는 개인 맞춤형 정보(마이데이터) 생태계”
- 등록일2024-08-28
- 조회수758
- 분류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4-08-2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데이터#개인 맞춤형 정보#설명회#학술회의
- 첨부파일
“정보주체와 함께 만드는 개인 맞춤형 정보(마이데이터) 생태계”
- 과기정통부, 「2024 개인 맞춤형 정보(마이데이터) 설명회(Meet-up) & 학술회의(Conference)」에서 논의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원장 윤혜정)은 8월 28일(수) 오전 서울시 강남구 ST센터에서「2024 개인 맞춤형 정보 설명회 및 학술회의(마이데이터 밋업 &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지속가능한 개인 맞춤형 정보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 관련 법·제도 및 산업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행사는 오전「데이터 중심 인공지능 가속화 설명회(밋업, meet-up*)」시리즈의 2회차 모임과 오후「2024년도 개인 맞춤형 정보 학술회의」로 구성되었다.
* 과기정통부가 데이터 분야 현장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위해 연속으로 개최 중이며, 1회차는 지난 5월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 전략’을 주제로 개최(유튜브 공개)
오전 행사인 설명회는 "개인 맞춤형 정보(MyData), 한계를 넘어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제로 김혜주 롯데멤버스 대표의 기조강연과 의료분야 개인 맞춤형 정보 이해관계자들의 참석자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 행사 개요>
설명회 | 데이터 중심 인공지능 가속화 설명회 (10:30~12:00) | |
개인 맞춤형 정보(MyData), 한계를 넘어 새로운 도약 | 김혜주 대표(롯데멤버스) | |
(참석자 토론) 의료데이터 분야 정보주체 중심의 지속 가능한 개인 맞춤형 정보(마이데이터) 생태계 조성 방안 등 논의 | 김주한 교수(서울의대), 문홍석 최고 기술 관리자(솔닥), 최미연 변호사, 김미영 대표(한국1형당뇨병환우회) 등 | |
학술회의 | 개인 맞줌형 정보 학술회의 (13:30~16:30) | |
개인 맞춤형 정보의 변화와 미래 ▸「개인정보법 시행령 개정안 주요 내용 및 시사점」 ▸「금융 분야 개인 맞춤형 정보의 변화(마이데이터 2.0)」 |
김선희 변호사(법무법인 율촌) 이정운 법무담당이사(뱅크샐러드) | |
개인 맞춤형 정보 산업 동향 및 전망 ▸「초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와 인공지능」 ▸「정보주체의 확장, 기업 개인 맞춤형 정보」 |
조진 상무(삼정KPMG) 이민우 본부장(더존비즈온) |
강연에서 김혜주 대표는 개인 맞춤형 정보(마이데이터) 사업의 경험을 토대로 개인 맞춤형 정보 산업의 현황과 정책적 한계점 등을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 핵심서비스 발굴 등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참석자 토론(사회 : 조아진대표)에는 서울대의대 김주한 교수,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 ㈜솔닥 문홍석 최고 기술관리자, 파나케이아 법률사무소 최미연 변호사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개인 맞춤형 정보 성공을 위해 정보주체의 자발적인 참여와 함께,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과 보상체계, 안정적인 서비스 등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오후 학술회의에서는 “개인 맞춤형 정보의 변화와 미래”와 “개인 맞춤형 정보 산업 동향 및 전망” 등 두 분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분과에서는 “개인 맞춤형 정보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법무법인 율촌의 김선희 변호사와 뱅크샐러드 이정운 법무담당 이사가 개인 맞춤형 정보 사업 운영을 위해 필요한 최신 동향 및 정책 방향(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금융 개인 맞춤형 정보의 변화 등)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다.
두 번째 분과에서는 “개인 맞춤형 정보 산업 동향 및 전망”를 주제로 삼정 KPMG 조진 상무, 더존비즈온 이민우 본부장이 개인 맞춤형 정보 산업의 전망 및 확장 가능성을 주제로 초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개인 맞춤형 정보·인공지능과 개인 맞춤형 정보 주체의 확장에 대해 발표하였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개인 맞춤형 정보는 개인들이 자신의 데이터 가치를 인식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 활용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며, “이번 행사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주체 중심의 개인 맞춤형 정보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