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한·미 과학기술동맹 일환으로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출범

  • 등록일2024-09-26
  • 조회수586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9-2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한·미 과학기술동맹#국제 인공지능#개척자 연구소
  • 첨부파일
    • hwpx 240925 조간 (보도) 韓·美 과학기술동맹 일환으로 AI R&D 교두보인... (다운로드 3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한·미 과학기술동맹 일환으로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출범


- 세계적 인공지능 국제공동연구 온라인체제 기반(플랫폼)으로 안착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은 9월 24일(화) 미국 뉴욕에서 과기정통부 장관, 뉴욕대 총장 등 국내·외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 Global AI Frontier Lab)의 성공적 출범을 축하하는 개소식을 개최하였다.


그간 윤석열 대통령은 뉴욕구상 발표(`22.9월), 디지털 권리장전 기본원칙 제시(`23.9월), 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 개최(`24.5월) 등을 통해 안전·혁신·포용을 조화시키는 국제 디지털 규범을 선도하고 국제 협력의 지평을 세계로 넓혀온 바 있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최고 수준의 한·미 공동 인공지능 연구진 구성, 연구과제 기획 등을 통해 세계적 인공지능 국제공동연구 온라인체제 기반(플랫폼)으로 성장 가능한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를 오늘 출범하였다.


이날 개소식에서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대한민국과 미국의 인공지능 협력·혁신에 있어, 새 전환점을 맞이하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한·미 동반관계의 차원을 확장해나가자”고 강조하였다.


  이어, 행사에 참석한 뉴욕대 총장(린다 밀스), 뉴욕시 경제개발공사 회장(앤드류 킴볼) 등 미국측 참석자들도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개소와, 나아가 한·미 간 긴밀한 인공지능 동반관계 구축 등에 대한 축하를 전하였다.


또한, 미국 대표연구자인 뉴욕대 얀 르쿤 교수*가 ‘인공지능이 나아갈 방향과 한·미 인공지능 협력의 중요성’을, 한국의 대표연구자인 포항공과대학교 한욱신 교수**가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를 통한 한·미 인공지능 협력방향’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였다.

  * 세계적 인공지능 4대 석학 중 한명으로,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공동소장 역임 계획

**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의 3개 분야 국제공동연구 과제 중 신뢰 인공지능 분야 연구책임자


마지막으로, 양측 참석자들은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 현장을 찾아, 연구자와 소통했다. 특히 유상임 장관은 연구진들과 인공지능의 미래, 인공지능 연구 협력방향 등에 관한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었으며, 연구진은 △원천 인공지능, △신뢰 인공지능, △의료·건강돌봄 인공지능 분야의 국제 인공지능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인공지능 연구 성과 창출 등에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소식은 한국과 미국 간 인공지능 연대를 위한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국제 인공지능 개척자 연구소(글로벌 AI 프론티어랩)가 한·미 양국 간 과학기술동맹 강화 및 국내 인공지능 기업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