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야생조류(분변)에서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최종 확인
- 등록일2024-10-14
- 조회수25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
발간일
2024-10-11
-
출처
환경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야생조류#H5N3형#조류인플루엔자
- 첨부파일
야생조류(분변)에서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최종 확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하 중수본)는 지난 10월 2일 전북 군산(만경강)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조류인플루엔자 정밀검사 결과, 10월 11일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AI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8개 유전자중 HA와 NA의 조합으로 바이러스의 혈청아형을 구분함. HA는 H1~16아형이 있으며, NA는 N1~9아형이 있음
** 시료채취(10.2) → H5형 확인(10.8) → H5형 고병원성 확인(10.9) → H5N3형 고병원성 최종 확진(10.11)
중수본은 국내에서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며, 이번에 확인된 H5N3형 바이러스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H5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야생조류 유래 N3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재조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상세한 바이러스 정보는 전장 유전자 분석, 동물병원성 실험** 등을 통해 확인해 나갈 예정이다.
* 최근 5년간 해외 H5N3 검출현황 : 야생조류 15건(독일9, 덴마크2, 아일랜드1, 프랑스1, 영국1, 네덜란드1)
** 폐사율, 전파율, 반수치사농도 등
중수본은 H5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에 따라 가금류 농장 종사자와 관계자는 농장 출입 차량·사람 대상 소독, 축사 출입 전 장화 갈아신기 및 손 소독, 축사 내·외부 매일 소독·청소 등 기본 차단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강조하였다.
농식품부 최정록 방역정책국장은 “새로운 유형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된 만큼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금류 농장 종사자는 사육 중인 가금에서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등 주요 의심증상 뿐만 아니라 경미한 증상*이 확인되어도 즉시 방역 당국으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 사료섭취 저하, 침울, 졸음, 호흡기 증상, 녹변(녹색 설사)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