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도전·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및 첨단 바이오 기술 역량 강화

  • 등록일2024-12-24
  • 조회수35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12-24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혁신적#연구개발#첨단 바이오
  • 첨부파일
    • hwpx [보도참고자료]+도전·혁신적+연구개발+추진+및+첨단+바이오+기술... (다운로드 3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보도참고자료]+도전·혁신적+연구개발+추진+및+첨단+바이오+기술... (다운로드 3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도전·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및 첨단 바이오 기술 역량 강화


- 2025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2조 1,047억 원 지원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2월 20일(금) 오전 10시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공동위원장 :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및 조명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개최하고, 2025년 5개 부처(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의 보건의료 주요 연구개발(R&D) 예산 2조 1047억 원을 보고받았다.


○ 이는 2024년 보건의료 주요 연구개발(R&D) 예산인 1조 8324억 원 대비 2723억 원 증액된 규모로, 정부 주요 R&D 예산 24.8조 원의 약 8.5%를 차지한다.


○ 특히 전년 대비 보건의료 R&D 연구개발 예산 증가율은 14.9%로,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13.2%를 상회하여 보건의료 R&D에 대한 높은 국가적 관심과 정부의 투자 의지가 반영되었다.


□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 ▲데이터·AI가 선도하는 미래의료,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혁신의 5대 분야를 중심으로,

○ 총 141개 사업 중 신규사업 33개(1545억 원 규모), 계속사업 108개(1조 9502억 원 규모)를 지원할 계획이다.


○ 각 분야별 주요 연구개발 사업 및 예산은 다음과 같다.


< ❶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 (’24년 3008억 원→ ’25년 3179억 원) >


○ (질환 극복) 소아·희귀질환 연구와 임상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중개연구 지원으로 질환연구 역량을 근본적으로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희귀질환 진단치료 기술개발(복지부, 41억 원)

· 신규 소아질환 극복 연구개발(복지부, 53억 원)

· 신규 저출산 극복 기술개발사업(복지부, 56억 원)

· 계속 임상현장 수요연계형 중개연구(복지부, 81억 원)


○ (사회문제해결) 돌봄 기술을 통해 장애인·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마약·자살 등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를 지속 확대한다.


2025년도 주요 증액사업


· 계속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복지부, 87억 원)

· 계속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사업(복지부, 62억 원)

· 계속 마약·자살 등 정신건강 관련 사회문제 대응 기술연구(복지부, 40억 원)


○ (감염병) 미래 팬데믹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의료현장 감염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mRNA백신 및 백신 후보물질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의료현장 감염대응 역량 고도화 기술개발(복지부 10억 원, 질병청 14억 원)

· 신규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질병청, 254억 원)

· 신규 우선순위감염병대유행대비신속개발기술구축 지원사업(질병청, 34억 원)

· 계속 감염병 관리기술 개발연구(질병청, 383억 원)


< ❷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24년 9545억 원→ ’25년 9947억 원) >


○ (첨단 재생의료) 질병의 근원적 치료를 위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과 첨단재생의료 분야 임상진입을 촉진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사업


· 신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 지원(복지부, 79억 원)

· 신규 유전자, RNA 및 후성유전체 편집기술 기반의 유전차 치료제 개발(복지부, 23억 원)

· 신규 첨단바이오의약품 맞춤형 비임상기술 플랫폼 산업 고도화(복지부, 29억 원)

· 신규 첨단바이오의약품 비임상 유효성평가기술 및 제품개발(산업부, 21억 원)


○ (바이오제조) 바이오 연구의 고속화·대량화·저비용화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및 핵심 장비 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및 활용기반 구축사업(과기부 62억 원, 산업부 57억 원

· 신규 바이오파운드리 핵심기기 및 장비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과기부 24억 원, 산업부 42억 원)

· 신규 바이오파운드리기반기술개발(과기부, 45억 원)

· 계속 합성생물학핵심기술개발(과기부, 98억 원)


< ❸ 데이터·AI가 선도하는 미래의료 (’24년 1516억 원→ ’25년 2302억 원) >


○ (AI 기반) AI 기반의 의료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하고, 고품질의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개발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첨단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의료데이터 합성기술 및 의료 인공지능 기술기반 디지털의료제품 개발(산업부, 28억 원)

· 계속 디지털전환기반 의약품 지능형공정혁신 기술개발(산업부, 48억 원)

· 계속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복지부 44억 원, 과기부 31억 원)


○ (데이터) 산재된 바이오 데이터를 통합하고, 보건의료 데이터 표준화·고도화를 통한 사용자 중심 활용체계 강화를 추진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NGS패널데이터 기반 암 정밀의료 기술개발(복지부, 69억 원)

· 신규 치매전주기 데이터 수집 및 빅데이터 통합시스템 구축(복지부, 26억 원)

· 신규 보건의료데이터 상호운용성 기술개발(복지부, 57억 원)

· 신규 보건의료데이터 통합활용 기술개발(복지부, 17억 원)

· 계속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복지부 334억 원, 과기부 334억 원, 산업부 211억 원)


< ❹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혁신 (’24년 578억 원→ ’25년 760억 원) >


○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혁신 기술을 확보하고, 미래 감염병 대비 항바이러스제 및 다양한 질병에 활용 가능한 첨단재생의료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2025년도 주요 증액사업


· 계속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복지부, 632억 원)

· 계속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복지부 23억 원, 과기부 33억 원)

· 계속 RNA바이러스 감염병(DiseaseX) 대비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복지부, 73억 원)


< ❺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 (’24년 3678억 원→ ’25년 4859억 원) >


○ (지역의료 역량 강화) 지역의 공공·필수의료 부족을 해결하고, 지역 주도로 첨단 바이오헬스 연구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사업


· 신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복지부, 110억 원)

· 신규 지역의료혁신 연구개발 사업(복지부, 18억 원)


○ (글로벌·인재양성) 미국, 영국, 스위스 등 선도국과의 글로벌 협력·공동연구를 확대하고, 우수한 의사과학자와 인공지능, 규제과학 특화 인재 양성에 투자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증액사업


· 신규 의료 인공지능 특화 융합인재 양성(복지부, 45억 원)

· 계속 글로벌 연구협력 지원사업(복지부, 347억 원)

· 계속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복지부, 768억 원)

· 계속 규제과학 인재양성 및 글로벌 협력연구(식약처, 83억 원)


○ (인프라) 병원 중심의 임상-연구 현장 연계 인프라를 확대하고, 첨단 의료기술 현장 실증을 지원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도모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사업


· 신규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지원(복지부, 45억 원)

· 신규 첨단의료산업 선도기반 실증지원 사업(복지부, 71억 원)


○ (규제과학) 새로운 건강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글로벌 수준의 식품·의약품 규제과학 마련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안전 관리 고도화 등에도 지원을 강화한다.


2025년도 주요 신규사업


· 신규 백신 품질관리 동물대체 평가기술 기반 구축(식약처, 18억 원)

· 신규 화장품 글로벌 규제대응 안전성평가 기술개발(식약처, 18억 원)

· 신규 바이오헬스 제품화 규제지원 사업(식약처, 8억 원)

· 신규 한미 차세대 항암제 평가기술 개발 국제공동연구(식약처, 18억 원)


□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조명찬 공동위원장(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은 “최근 보건의료기술이 빠르게 혁신하며 난치 질환 극복 등 인류의 오랜 염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이 커지는 상황으로, 연구개발 결과가 기술적 성과에서 그치지 않고 상용화까지 이어지도록 정부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내년 정부의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증가는 세계적인 위기의 출현에 대비하고, 보건의료 분야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변함없는 의지를 시사한다”라며,


○ “국민께서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개발을 독려하고 글로벌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대한민국이 보건의료 산업의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2025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 부처별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사업의 내용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및 부처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