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푸드테크 발전을 위한 표준화작업 본격 가동

  • 등록일2024-12-31
  • 조회수24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농림수산식품학,  생명 > 생물공학,  제품 > 바이오식품
  • 발간일
    2024-12-30
  •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푸드테크#표준화#농식품#대체식품#업사이클
  • 첨부파일
    • hwpx (식품산업정책관-푸드테크정책과) 푸드테크 발전을 위한 표준화작... (다운로드 2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식품산업정책관-푸드테크정책과) 푸드테크 발전을 위한 표준화작... (다운로드 2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푸드테크 발전을 위한 표준화작업 본격 가동


- 3대(식물성 대체식품, 식품 업사이클링, 식품 3D 프린팅) 분야, 한국산업표준 4종 신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12월 31일(화) 식품산업의 신(新)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푸드테크 분야에서 최초로 한국산업표준*(KS) 4종**을 제정하여 고시한다.

* 2024년 12월 기준 식품 분야 KS는 총 532종, 세부 내용은 붙임 1 참조

** ①식물성 대체식품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②식물성 대체식품, ③업사이클 식품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④식품 3D 프린팅 기술로, 세부 내용은 붙임 2 참조


농식품부는 푸드테크 핵심기술의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지난해부터 국내외 기준‧기술 동향, 제품을 분석하고,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거쳐 식물성 대체식품, 업사이클 식품, 식품 3D 프린팅 기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의 정의, 분류 기준 및 구비 요건, 기술 제조공정 및 성능 지표, 표시 방법 등을 정립하였다.


업계 전문가는 “이번 신(新)식품 기술에 대한 표준화로 기업의 기술개발 투자의 불확실성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관련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대표적인 예시로, 식물성 대체식품 표준은 제조‧가공 기준, 품질기준에 따른 종류와 등급 등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어, 식품의 품질 향상 및 소비자의 권익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내년에도 당뇨환자용 영양조제식품 등 푸드테크 분야 한국산업표준 3종을 제정할 계획이다.”라며, “소비 유행 변화가 푸드테크 산업 발전을 견인하고, 푸드테크가 신(新)성장 산업으로 부각되는 만큼 푸드테크 분야의 한국산업표준 제정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