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 확대, 공유와 협력 통한 연구 촉진

  • 등록일2024-12-31
  • 조회수217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4-12-31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병#빅데이터#민간개방#협력
  • 첨부파일
    • hwpx [12.31.보도참고자료]+감염병+빅데이터+민간+개방+확대+공유와+... (다운로드 3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12.31.보도참고자료]+감염병+빅데이터+민간+개방+확대+공유와+... (다운로드 2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 확대, 공유와 협력 통한 연구 촉진


- 감염병 누리집(dportal.kdca.go.kr)을 통해 민간에 맞춤형 정보 제공 확대

- 통계 대시보드, OpenAPI 등 다양한 형태로 국민께 데이터 개방 예정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데이터 개방 대상을 민간까지 확대하고 민간 연구진들이 신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지난 6월 개통한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은 질병관리청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통계 자동산출이나 맞춤형 분석 등을 통해 방역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22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K-COV-N)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더해 자체적 데이터 개방 체계를 구축하여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수집된 주요 데이터 중 전수감시 감염병 64종*을 추가 공개한다. 

*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제외하고 제1급(17종), 제2급(20종), 제3급(27종)


 연구진이 감염병 누리집(dportal.kdca.go.kr>알림·자료>공지사항)에서 신청한 서류(연구계획서, 자료이용신청서 등)를 심의하여 가명처리 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12월 12일부터 표 형태로만 제공되어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웠던 기존 감염병 통계를 대시보드로 구축하여 막대나 선그래프 등 시각화된 형태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고 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OpenAPI*를 제공하는 등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서비스나 데이터를 개방하여 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인터페이스


 질병관리청은 올해 ‘의약품 수급 위험 예측모델 개발(식품의약품안전처)’, ‘K-CURE(국립암센터)’, ‘코로나19 환자치료 격차 분석(강원도 감염병관리지원단)’ 등 세 건을 이용하여 감염병 빅데이터플랫폼 데이터의 개방을 시작하였다.


undefined

기관명

목적

제공 데이터

식품의약품안전처

충북대학교

의약품 수급 위험 예측모델 개발

감염병 신고보고 데이터

국립암센터

암 공공 라이브러리 구축

코로나19 발생 데이터

강원도

감염병관리지원단

코로나19 환자치료 격차 분석

로나19 발생 데이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감염병 정보의 개방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연구성과가 도출되어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하며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 개방을 확대하여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