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백신 개발 위한 국제표준물질 개발 착수(5.15.목)

  • 등록일2025-05-16
  • 조회수115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종합 > 종합
  • 발간일
    2025-05-16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 #국제표준물질
  • 첨부파일
    • pdf [5.15.보도참고자료]+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백신+개발... (다운로드 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x [5.15.보도참고자료]+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백신+개발... (다운로드 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백신 개발 위한 국제표준물질 개발 착수(5.15.목)

- 국제백신연구소, 영국 의약품 규제당국과 감염병대비혁신연합의 SFTS 국제표준물질 개발 프로젝트에 공동 참여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감염병대비혁신연합(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에서 추진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의 국제표준물질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밝혔다이번 과제는 국제백신연구소(IVI,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영국 의약품 규제당국(MHRA,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이번 공동연구는 SFTS 백신 개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표준물질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며이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표준물질로 지정할 계획이다.

 

SFTS는 2013년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3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으며, 연간 200*의 환자가 발생하는 치사율(약 18%)이 높은 감염병이다. 주된 발생 시기는 4~11 사이이며SFTS 바이러스 보유 작은소피참진드기 의해 감염된다다만현재까지 상용화된 백신이 없어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 2024년 12월 기준 누적 확진자 수 2,065명 중 사망자 381

 

현재까지 SFTS 국제표준물질 없기 때문에 우수한 후보물질을 선별하기가 어려우며 신뢰성 높은 효능 평가도 불가능한 상황이다이에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SFTS 환자의 회복기 혈장 수집하고이 중 중화항체가 높은 혈장 시료를 선별하여 표준물질을 개발할 계획이다.


혈장 수집은 전남대학교 병원의 기승정 교수 연구팀이 주관하며확보된 고중화능 혈장은 MHRA 산하 국립생물학표준통제연구소(NIBSC,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s and Control)에서 제형화 및 장기 안정성 시험을 시행할 계획이다이후 WHO의 승인을 받아 국제표준물질로 지정되면국내·외 SFTS 백신 개발 기업 및 기관에 제공될 예정이다.

중화항체 감염이나 백신접종으로 체내에 형성된 항체 중 감염력을 중화(무력화)하는 항체

 

국제백신연구소 제롬 김 사무총장은, “SFTS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속적인 공중보건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IVI는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한 글로벌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SFTS 등 신종 및 재출현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CEPI의 지원과 국립보건연구원의 긴밀한 협력에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장희창 소장은 이번 국제 공동연구는 생물자원 확보부터 표준물질 인증까지 전 과정 글로벌 파트너 협력하는 사업으로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핵심적인 기반 역량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