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인공지능(AI)·반도체부터 바이오·양자까지 민·관이 함께 지식재산(IP)으로 스타트업 육성

  • 등록일2025-05-19
  • 조회수454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5-05-19
  • 출처
    지식재산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지식재산#스타트업#바이오
  • 첨부파일
    • pdf 144 [특허청] 인공지능(AI)·반도체부터 바이오·양자까지 민·관이... (다운로드 1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x 144 [특허청] 인공지능(AI)·반도체부터 바이오·양자까지 민·관이... (다운로드 1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인공지능(AI)·반도체부터 바이오·양자까지 민·관이 함께 지식재산(IP)으로 스타트업 육성

2025년 민관협력 지식재산(IP)전략지원에 참여할 7개 민간 운영사 선정 -

- 35개 지식재산(IP)창업기업을 선정해 투자 및 지식재산 전략 전폭 지원 -


허청(청장 김완기)은 인공지능(AI)·반도체첨단 바이오사이버보안·양자 등 첨단 기술 새싹기업(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는2025년 민관협력 IP전략지원 사업(CIPO*프로그램) 참여할 민간 운영사 7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CIPO(Chief Intellectual Property Officer, 최고IP경영자) : 기업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전략수립 및 관리(R&D, IP포트폴리오라이선싱권리보호거래소송금융 등)

 

올해는 특히 인공지능(AI)·반도체첨단바이오사이버보안·양자 전문트랙을 처음 도입해기술역량이 특화된 운영사들의 참여를 유도했다총 149건의 입찰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8:1, 인공지능(AI)·반도체 분야는 12: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퓨처플레이아이피온, 특허법인 비엘티준성특허법률사무소에스와이피(SYP), 로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특허법인 알피엠이다.

 

민관협력 지식재산(IP)전략지원 사업 운영사 >


 

분야

주관운영사

공동수급 업체

1

AI·반도체

퓨처플레이 

위포커스 특허법률사무소

2

첨단바이오

아이피온

데일리파트너스와이드앤파트너스,케이엘피특허법률사무소

3

사이버보안·양자

특허법인 비엘티 

스케일업파트너스테크디엔에이

4

전분야 

준성특허법률사무소

엘앤에스벤처캐피탈원익투자파트너스

5

전분야 

에스와이피(SYP)

마그나인베스트먼트

6

전분야 

로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젠엑시스한양대기술지주

7

전분야 

특허법인 알피엠

와이앤아처


 

민관협력 IP전략지원(CIPO 프로그램)은 민간 투자기관과 정부가 함께 발굴한 유망 새싹기업(스타트업)을 대상으로지식재산(IP) 기반의 성장전략 수립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전 방위로 지원하는 새싹기업(스타트업성장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기업에는 지식재산(IP) 전략수립 컨설팅특허 및 디자인 출원시작품 제작 및 검증IR 자료 제작 및 피칭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연계 등 기업별 맞춤형 패키지 지원(최대 7천만 원 상당)이 제공된다특히 올해부터는 전문트랙을 통해 첨단 기술 특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정밀 분석하고분야별 특화 전략을 집중 지원하는 체계를 갖췄다.

 

2024년 한 해 동안 CIPO 프로그램을 통해 유치된 민간 투자금은 338억 원에 달했으며 글로벌 진출특허출원매출 증대 등 가시적인 성과도 함께 나타났다. 2025년에는 전문성 강화와 참여기업 확대를 통해 더 높은 투자 연계성과 사업화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민관협력 지식재산(IP)전략지원 사업 추진() >




민간기관(투자+CIPO)

허청(IP제품 사업화 패키지)









1개 민간기관 당 지식재산(IP)창업기업 5개사 발굴 및 민간투자금 3.5억원(최소특허청 3.5억원 매칭

 

특허청 김정균 산업재산정책국장은 기술창업 초기기업이 지식재산(IP) 보유하는 것은 생존 필수 전략이라며 민간과 정부의 지원이 시너지를 발휘하여우수한 스타트업이 지식재산(IP) 기반으로 국내 뿐 아니라 국외 경쟁력까지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본 사업과 관련해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사업화실(02-3459-2937)로 문의하면 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