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 등록일2025-08-28
  • 조회수288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5-08-27
  • 출처
    국토교통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오송#국가산업단지
  • 첨부파일
    • hwpx 250828(조간)_오송_제3생명과학_국가산업단지_지정(산업입지정책... (다운로드 1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250828(조간)_오송_제3생명과학_국가산업단지_지정(산업입지정책... (다운로드 1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 대한민국 미래 100년 책임질 바이오 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향한 전환점 -

 

 □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승인(8.28)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개요 

 

 

 

(위 치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

(면 적4,119,584(약 125만평)

(사 업 비) 23,481억원

(치업종)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 및 기간) 한국토지주택공사 / ’25년 ~ ’30


□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ㅇ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충청북도 간 통합조정회의(’23.8월)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고, 정부와 사업시행자, 지자체 등 관계기관 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산단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단은 412만㎡ 부지에 K-바이오를 선도할 핵심 거점이자, “한국판 켄달스퀘어”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대학원 등 유치)를 중심으로 주거 및 문화 기능이 어우러진 바이오 허브로 조성할 계획이다.

    * (켄달스퀘어)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세계 최고의 바이오 클러스터(화이자‧모더나 등 입주)


 ㅇ 조성 초기부터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바이오 기업, 주거 및 상업 시설을 함께 배치하여, 연구개발(R&D)부터 사업화에 이르는 전주기 혁신시스템을 갖춘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하여,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오송은 이미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바이오폴리스 등 기존 바이오 산업단지가 조성된 지역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을 비롯해, 바이오 기업과 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등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다.


 ㅇ 여기에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까지 추가로 조성되면, 오송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중추 거점이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바이오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특히, 바이오메디컬 캠퍼스와 국가 의료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해, 연구개발 인력 양성과 혁신 성장기업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이며, 산단 조성으로 1조 7,968억원 생산유발 효과와 1만 1,562명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30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부터 토지보상 등 후속 절차를 본격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은행 지역 간 사업연관 모형(IRIO, Inter-Regional Input Output Model)으로 분석


□ 국토교통부 김지연 국토정책관은 “이번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바이오 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ㅇ “단순한 산업시설의 집적을 넘어, K-바이오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고, 연구 활동과 근로자의 이 조화를 이루는 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