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농촌진흥청, 남미서 생명공학기술로 ‘가뭄에 강한 콩’ 개발 한창

  • 등록일2025-11-20
  • 조회수75
  • 분류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발간일
    2025-11-20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공학기술
  • 첨부파일
    • hwp 20-2_농촌진흥청생명공학기술로남미서가뭄에강한콩개발한창(농과... (다운로드 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x 20-2_농촌진흥청생명공학기술로남미서가뭄에강한콩개발한창(농과... (다운로드 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20-2_농촌진흥청생명공학기술로남미서가뭄에강한콩개발한창(농과... (다운로드 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농촌진흥청, 남미서 생명공학기술로 ‘가뭄에 강한 콩’ 개발 한창

농촌진흥청, 우루과이와 협력해 가뭄 저항성 콩 현지 평가

- 주요 콩 생산국과 협력 확대할 계획

- 기술 기반 지속 가능한 농업 모형 수출 성공 사례 될 것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우루과이 3개 지역에서 실시한 가뭄 저항성 콩 현지 적응성 1차 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2026년 4개 지역으로 확대해 최종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루과이는 2018년 가뭄으로 농업 생산성이 줄어 국내총생산(GDP)의 3% (약 5억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봤다. 우루과이 정부는 2022년 한국에 농업생명과학기술 협력을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2023년 농촌진흥청과 우루과이 축산농업수산부가 농업기술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그 일환으로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 우루과이 현지에 협력 연구실을 설치했다. 이어 국내 생명공학기업 ㈜라세미아와 협업해 한국이 자체 개발한 생명공학 기반 가뭄 저항성 콩을 우루과이 현지 기후와 토양에 맞는지 확인차 현지 적응성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 현지에서 자란 콩은 품종개량에 사용했던 모 품종과 같은 농업 특성이 있었으며, 현지 재배 환경에서 조기 수확할 수 있는 조생종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은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 우루과이 정부에 농업 생명공학 작물 심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촌진흥청은 △국제공동연구 확대 △생명공학 기술 고도화 △해외 현지 맞춤형 품종 개발 △시장 공급망 구축 등 남미 지역의 기후 특성과 시장 수요를 반영한 단계적 진출 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은 기술이전과 연구개발 지원 확대 등 국제 협력 과제(프로젝트) 총괄을 맡고, 국립농업과학원이 민관과 협력해 생명공학 기술 활용 품종 개선 연구를 담당한다. 민간기업은 현지 생산‧유통망을 확보해 상용화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국의 가뭄 저항성 콩 연구개발이 남미에서 실용화되면 가뭄으로 인한 작황 불안을 완화하고 세계 식량 수급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규 농업시장 진출로 수출 기반 강화는 물론 국내 생명공학 산업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 이기종 과장은 “이번 협업은 단순한 품종 개발을 넘어 한국의 농업생명공학 기술이 세계 식량 위기 해법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브라질 등 주요 콩 생산국과의 협력도 확대해 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농업 모형을 수출한 성공 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