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 본 보고서는 온라인 배포용입니다.
창약 선진국은 자국 내에 경쟁력 있는 제약산업을 확립하기 위해 여러 이노베이션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생명과학 분야에의 연구개발 투자의 중점화, 앞으로의 최첨단 연구를 담당할 이공계 인재의 육성, 중개연구나 임상연구의 강화 등, 이노베이션의 기점이 되는 과학기술 강화와 그 성과를 창약에 연계시키는 구조 정비가 그러한 정책의 중심에 있다.
노동 인구의 감소, 초고령화 사회의 도래라는 큰 구조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일본 역시 이러한 세계적 추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국가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서 제약산업의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제약산업은 공공정책의 보호, 적극적인 외국기술도입, 왕성한 설비투자, 비약적인 의약품수요의 신장에 의해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는 고도성장을 달성하였는데 의약품 생산액은 1965년 이래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세계 전체의 의약품 시장규모가 급속히 성장하는 추세속에서 일본 제약시장의 규모는 약가저하정책에 의해 정체되었고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급속히 저하되고 있으며, 소수의 메이저기업을 제외하고는 세계적인 제약산업의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일본 제약산업의 발전과정과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공공정책 및 향후 일본 제약산업의 미래상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목차
서언
Ⅰ. 일본 제약산업의 발전과정
1. 1945년 이전 : 도입기
2. 1945년 ~ 1959년 : 도약기
3. 1960년 ~ 1974년 : 고도성장기
4. 1975년 ~ 1989년 : 연구개발의 촉진기
5. 1990년 ~ 현재 :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 성숙기
Ⅱ. 일본 제약산업의 공공정책
1. 의약품의 안정성, 유효성, 품질의 규제
2. 경쟁정책
3. 가격규제
4. 유통정책
5. 기술정책
6. 일본의 공공정책 및 제약기업의 문제점
Ⅲ. 일본 제약산업의 미래상
1. 일본 제약산업의 미래상에 대한 개요
2. 2015년을 향한 일본 제약산업의 역할
3. 2015년을 향한 일본 제약산업의 전략 포인트
참고자료 : 일본 제약산업 현황에 대한 관련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