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미국 제약기업 및 바이오벤처의 성장전략

미국 제약기업 및 바이오벤처의 성장전략

  • 발행일 2008-08-10
  • 출처 산업동향2008-2(총서 제79권)
  • 담당자 윤동섭 ( 042-879-8367 / yoonds@kribb.re.kr )
  • 조회수 18948
  • 키워드
    #미국 제약 #미국제약
  • 첨부파일

개요

※ 본 보고서는 온라인 배포용입니다.

 

제약 사업은 여러 가지 면에서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우선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간단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이테크, 인터넷, 미디어 등 일부 서비스 기업들은 사업 영역이 명확하지 않아, 현재 사업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것도 그 중요한 성장 전략 중 하나가 된다. 이에 반해 제약 사업의 경우 각 회사들이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양질의 의약품을 사회에 제공한다”는 중요한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므로, 그 사업 영역이 명확하다.

따라서 제약 사업의 성장전략은 획기적인 의약품을 연구 개발하고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마케팅 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제약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중요한 것은, 간단명료하지만 이를 얼마나 적절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사업수행에 연결시키는가가 관건이다. 이런 사업 수행 능력을 통해 경쟁사에 대한 경쟁 우위성을 가질 수 있다.

제약 사업이 제품 개발에서 판매까지 10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걸리는 반면, 성공 확률은 5,000~10,000분의 1 정도로 리스크가 매우 높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또한 제품으로서 의약품을 정의하자면 미세가공을 거친 제조품으로, 각종 단백질의 체내작용과 여러 가지 약리정보가 첨부된 일종의 소프트웨어 제품이다.

그런 의미에서 의약품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정보 집약적인 제조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제약 사업은 산업계에서 가장 리스크가 높은 비즈니스인 동시에 연구개발을 중시하는 고부가가치의 고수익 비즈니스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제약 사업에서는 높은 리스크를 감당하기 위해(거액의 연구개발 비용을 안정적으로 지원받기 위해) 얼마 되지 않는 기회를 살려 출시에 성공한 ‘비장의 제품’의 상업적 가치를 최대화하고자 한다. 일단 상품으로 출시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 수행 능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약 사업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아웃소싱이다.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간단한 비즈니스 모델 외에도 제약 사업에서는 아웃소싱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제약 산업은 비교적 성장률이 높은 거대 산업으로, 아웃소싱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는지에 따라 주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제약 회사의 아웃소싱 활용률은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제약 회사들이 전략적으로 중시하는 신약 개발의 연구기술에 있어서는 아웃소싱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기초로 미국 거대 제약회사의 전략동향에 대해서 확인 하였으며, Amgen 사례를 통해 바이오벤처의 발전과정과 성장전략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목차

Ⅰ. 미국 제약산업의 현황과 분류
1. 현황
2. 미국 의약품산업의 분류


Ⅱ. 미국 제약기업의 전략동향
1. 대상별 마케팅 전략
2. 개발 파이프라인 보충에 전력을 기울이는 구미 의약품 메이커
3. 외부 제휴의 적극적인 활용
4. 성장전략의 일환인 인수・합병 전략의 빛과 그림자


Ⅲ. 바이오벤처의 성장전략(Amgen 사례)
1. 바이오벤처의 탄생 배경과 필요성
2. Amgen(http://www.amgen.com)사의 설립과 기업비전
3. Amgen사의 총괄현황
4. Amgen사의 성장단계별 특징

 

<참고자료 1> Genentech사의 개요
<참고자료 2> Gilead사의 개요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