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1세기는 생명공학의 시대라고 합니다. 머지않아 바이오경제시대(Bio-economy) 시대가 도래하고 있어 무엇보다 미래 변화에 대한 발빠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이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 정보포털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는 국내외 바이오 연구개발 및 산업화에 필요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기술과 산업의 주요 트렌드를 분석하여
이슈&특집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0년 이슈&특집 보고서는 최근 우리나라의 바이오시밀러 관련 투자기업들이 세계적 경쟁을 뚫고 성공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바이오베터에 기반한 저개발국 시장공략을 위한 방법과 2020년까지 계속 진행될 바이오의약품 특허만료로 인한 시장성장률의 감소와 임상파이프라인의 점진적인 고갈 등 연구개발 생산성의 위기로 인해 비롯된 세계 바이오의약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들을 묶어 보았습니다.
특히 3~5년 이후에 도래하게 될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경쟁에서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할 것인지 판단하려면 현재 진행되는 구조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 글로벌 선진기업들은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함께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파머징 국가들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분석과 항체신약 기술개발의 최신 흐름을 짚어보고, 각종 오믹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블록버스터 모델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맞춤형의약에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함께 점검해 보았습니다. 특히 경쟁력 중심 기술이 아닌 지식으로 이동함에 따라 향후 그 가치가 더욱 높아질 과학기술기반 지식서비스의 중요성 역시 눈여겨 보아야 할 이슈라고 판단됩니다.
본 보고서는 134번째로 발간되는 총서로서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이슈와 쟁점이 제기될때마다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심층적인 분석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해당 자료는 온라인 발간판으로 인쇄책자를 제작하지 않았습니다.
목차
I. 바이오 슈퍼시밀러,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ⅰ. 바이오시밀러 시장 개요
ⅱ. 주요 국가별 바이오시밀러 가이드라인 현황
ⅲ. 항체중심의 슈퍼시밀러 타겟전략
II. 세계 바이오의약산업 2011
1. 총 론
2. 파머징국가의 성장
3. 연구개발생산성의 위기
4. 항체신약의 새로운 흐름
5. 분자진단과 맞춤형 치료
6. 비즈니스모델 변화와 지식서비스시장의 성장
※ 첨부된 파일의 이미지나 표가 잘보이지 않을경우 아래의 파일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바이오 슈퍼시밀러,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내용보러가기 클릭~)
지식
- BioINpro Bioin WebZine 2013년 36호 : 생명연구자원 활용의 시대 2013-09-25
- BioINpro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5 : BT와 ICT 융복합을 통한 일자리 창출 2013-09-04
- BioINpro Bioin스페셜 WebZine 2013년 35호 : 천연물 신약 개발 동향 2013-07-30
- BioINpro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4 : 바이오(BT)와 ICT 융합_창조경제의 희망 2013-06-11
- BioINpro Bioin 이슈&특집 2013년 Vol.23 : 식량안보, 스마트폰보다 중요하다 2013-03-20
동향


2010년_바이오인_이슈&특집.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