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 유전체학 연구 개요
◆유전체학이란?
유전체학의 정의 및 특징
유전체학(genomics)은 생명체의 유전물질 전체의 구조와 기능, 전체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과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임
▶좁은 의미의 유전체학은 유전자 자체의 정보, 즉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말함
-DNA 염기서열 정보의 해독(genome sequencing)은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고 선천적 유전자 이상과 관련된 유전자 결함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 핵심
*유전체(genome, 게놈)는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가 합성된 용어로서 한 생명체의 DNA의 총체, 즉 유전정보 전체를 말함
▶게놈프로젝트의 완료 후, 유전체학의 범위는 DNA 염기서열 해독 및 구조분석 중심의 연구에서 더욱 확대되어 유전적 정보의 발현체인 전사체 및 단백질체 연구, 후성 유전체, 유전자 작용 및 발현조절 메커니즘을 비롯한 유전체의 기능 규명 등의 포스트 게놈에 관한 연구로 확대
-하지만 생명정보의 가장 기초가 되는 DNA의 염기서열 해독을 비롯한 유전체 데이터 분석은 이후의 연구범위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 단계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은 지속적으로 발달되어야 하는 분야임.....................계속
목차
1. 유전체 선정 근거
2. 유전체학 연구 개요
가. 유전체학이란?
1) 유전체학의 정의 및 특징
2) 인간유전체 연구
3) 유전체 분석기술
나. 인간유전체 연구의 활용 : 개인 맞춤의학 분야로의 활용 기대
3.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분야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분야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4. 기술개발동향
가. 유전체분석 기술개발동향
나. 세계동향
1) 글로벌 프로젝트 동향
2) 주요국 연구 및 정책동향
3) 해외 산업체 동향
다. 국내동향
1) 국내 프로젝트 동향
2) 정부투자 분석 및 정책동향
3)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성과
5.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가. 국내 경쟁력 현황
나. SWOT 분석
다. 기대효과 및 시사점
■ 참고문헌
지식
동향


155권_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및 활용기술.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