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국내외 바이오제약기업의 R&D 현황 분석

국내외 바이오제약기업의 R&D 현황 분석

  • 발행일 2011-08-20
  • 출처 산업동향2011-2(총서 제156권)
  • 담당자 이재형 ( 042-879-8364 / melcam@kribb.re.kr )
  • 조회수 21650
  • 키워드
    #바이오제약기업 #제약기업
  • 첨부파일

개요

 

※ 본 산업동향분석 보고서는 온라인 발간으로 책자는 배포되지 않습니다.

가.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 (Pharmaceuticals and Biotechnology Market)
★ ''10년 전세계 바이오제약 시장규모는 8,250억 달러로 추정됨
○ ’09~’12년 동안 전세계 바이오제약 시장 규모는 연평균 6.6%로 성장하여, 7,500억 달러에서 9,090억 달러를 이룰 것으로 전망됨


★ 주요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 도래로 인한 기회와 위협
○ 톱셀러 의약품의 특허만료로 인한 타격을 상쇄하기 위하여, 각 기업들은 활발한 임상실험을 통한 파이프라인 구축 등 차세대 의약품을 준비 중이며, 기술력을 갖춘 중소 바이오텍 및 제약기업과 M&A 및 라이센싱 계약 등의 노력을 보이고 있음


★ 신약개발 R&D 비용 증가 및 연구생산성 악화
○ R&D 투자비용의 지속적 증가로 기업 내부의 투자수익이 급감함에 따라 각 기업들은 라이센싱 및 M&A 등으로 투자비용을 절약
○ 신약후보물질이 실패하는 이유 (2009)
­ -그에 대한 가장 많은 이유로 기업의 ‘전략’ 부족이 44%를 차지함

 

나. 국외 바이오제약 기업 현황
○ 연구개발 투자 규모
­ -최근 5년간 바이오제약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비용은 소폭 상승 추세

 

○ 연구개발 주력 분야
­ -국외 주요 Big-Pharma가 주력할 질환은 종양 관련 제품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다음으로는 감염질환(ID), 심혈관(CV) 질환 그리고 중추신경계(CNS) 질환 의약품 순임
­ -국외 주요Biotech(바이오 회사)은 내분비질환(Endo) 관련 및 종양(Onco) 관련 의약품을 중점적으로 생산할 것으로 전망임


○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의 연구개발 전망
­ -저분자 관련 제품은 제네릭 의약품의 출시로 그 비중이 감소해, 향후 15년에는 단일 클론 항체 및 치료용 단백질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브랜드 의약 VS 제네릭 의약
­ -특허 만료 ‘황금 시대’가 지난 후, 제네릭 산업의 양상은 변화할 것이며, 제약산업 전체가 범용상품화 될 전망임
­ -의약품의 범용상품화 추세에 따라 대형 제약사들은 주요 선진국보다 신흥국가에서의 성장을 위해 제네릭 의약에 투자를 늘릴 것으로 예상되며, 보다 적은 규모의 브랜의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으로 전망됨


○ 바이오제약 시장 질환별 파이프라인
­ -바이오제약 분야 관련 기업의 질환별 파이프라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은 ‘암’ 질환으로 전체의 35.8%를 차지하고 있음

 

..................계속

 

 

목차

1. 연구배경: 국내․외 바이오제약 산업 트렌드 
 가.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  
     (Pharmaceuticals and  Biotechnology Market)
 나. 국외 바이오제약 기업
 다. 국내 바이오제약 시장
 
2. 연구목적 및 분석 방법
가. 연구 목적
나. 기업 선정 근거 및 분석 방법

 

3. 국외 바이오제약기업 R&D 현황 분석
가. Amgen
나. Biogen Idec.
다. Cephalon
라. Eli Lilly & Co.
마. F. Hoffman-La Roche Ltd
바. GlaxoSmithKline
사. Merck & Co.
아. Novartis AG
자. Pfizer Inc.
차. Sanofi-Aventis

 

4. 국내 바이오제약기업 R&D 현황 분석

가. 녹십자
나. 동아제약
다. 셀트리온
라. 유한양행
마. 중외제약
바. 한미약품
사. LG 생명과학

 

5. 시사점

가. 국외 주요 바이오제약 회사의 특허 만료/출시 현황 및 전망
나. 국외 주요 바이오제약 기업의 SWOT 분석
다. 우리나라 바이오제약 기업의 SWOT 분석
라. 바이오제약 기업, 혁신적 R&D 모델의 필요성
마. 신약개발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세계적 움직임

 

6. 참고문헌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