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바이오경제는 이미 세계적인 추세이며, 특히 BT를 기반으로 한 IT, NT분야와 의료․제약 분야의 융합을 통한 신기술 개발이 경제․사회 전범위에 걸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 각계는 BT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창출될 신 시장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으므로 신시장 선점을 위하여 BT 분야 시장동향에 대한 분석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이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2011년도 글로벌 산업동향’ 보고서를 발간하여 교육과학기술부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바이오인프라 분야의 생명공학정책정보지원 연구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합니다. 본 보고서에는 BT 분야의 핵심기술별 시장동향, 주요 국가 R&D 활동현황 및 정책 추진현황, 국내외 기술동향과 전망 등에 대한 유용한 시장정보를 수록하였습니다.
본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보고서는 163번째로 발간되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산업동향보고서로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끝으로 본 보고서 작성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를 비롯하여 많은 조언과 지도를 해주신 분들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목차
■ BioINdustry 글로벌 산업동향 개요
● BioINdustry-No.25 제약회사 전망 2015
● BioINdustry-No.26 미국 및 EU 조직 진단(Tissue Diagnostics) 시장
● BioINdustry-No.27 주요 Top10 제약기업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라이센싱 트렌드
● BioINdustry-No.28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
● BioINdustry-No.29 중국/러시아/브라질 제약 및 헬스케어 시장
● BioINdustry-No.30 바이오인포매틱스와 신약개발
● BioINdustry-No.31 Global Biotech 산업의 주요 사건 (1986-2010)
● BioINdustry-No.32 주요 제약 기업(PFE,MRK,GSK,NVS) 분석 1
● BioINdustry-No.33 주요 제약 기업(LLY, J&J, RCH) 분석 2
● BioINdustry-No.34 주요 바이오기업(AMG, BG, BXT, GZY) 분석
● BioINdustry-No.35 신경과학(neuroscience) 연구 포커스
● BioINdustry-No.36 골다공증 치료제 전망
● BioINdustry-No.37 줄기세포 기술투자 동향
● BioINdustry-No.38 우리나라 제네릭․바이오시밀러 시장
● BioINdustry-No.39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