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18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2018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 발행일 2019-03-05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7051
  • 키워드
    #연구성과 #2018년 연구성과
  • 첨부파일

개요

 

2018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발간 개요]

○ 본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18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를 취합.정리 하였으며,

○ BT 관련 주요 연구성과를 계속적으로 취합.정리, 축적하여 연구자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BT연구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액체방울 자유롭게 조종하는 나노 계면활성제 발명

  • 1.

    태양광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전환기술 개발

  • 2.

    미생물 효소들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 후보물질 생산

  • 3.

    유방암 표적치료제의 효과적 병용요법 제시

  • 4.

    플라즈마를 활용한 종양치료 기술 개발

  • 5.

    패혈증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 6.

    미생물로 플라스틱 만들고폐플라스틱 분해도 가능해진다

  • 7.

    유전자 발현을 지배하는 화학요동법칙 발견

  • 8.

    자폐증 원인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견

  • 9.

    생체 탐침의 고효율 형광증폭 기술 개발

  • 10.

    폐에 축적되는 나노물질로 폐암 치료효과 향상

  • 11.

    새로운 항암면역 유전자 역할 규명 및 응용

  • 12.

    무전원 초정밀 인공피부센서 개발

  • 13.

    피부세포를 신경전구세포로고효율 직접분화 성공

  • 14.

    '감귤바이오겔', 혈관치료 의료용 소재로 '합격점'

  • 15.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로 신약 원료 감마-락탐 합성 성공

  • 16.

    파동에너지 기반 간편한 혈액응고 진단기술 개발

  • 17.

    상부 기도에 존재하는 미생물 차이가 소아 천식에 영향 미친다!

  • 18.

    구리와 파킨슨병의 연결고리 규명

  • 19.

    피부에 부착하는 OLED로 상처치유 기술 개발

  • 20.

    루푸스 맞춤 치료제의 작동 원리 규명

  • 21.

    비강으로 뇌에 전달하는 뇌염바이러스 치료물질 개발

  • 22.

    체내 이식형 약물전달 플랫폼으로 항암면역치료 효과 향상

  • 23.

    세포막을 이용하여 고정밀 혈당측정기 개발

  • 24.

    고분자 나노입자로 혈관확장 유도

  • 25.

    알츠하이머병의 염증종결 타겟 발견

  • 26.

    줄기세포-나노약물 결합한 폐암 치료물질 개발

  • 27.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장소 규명

  • 28.

    홀로그래픽 현미경인공지능 기반 적혈구의 노화 진단 기술 개발

  • 29.

    면역세포 미토콘드리아가 당뇨병 유발한다

  • 30.

    고지혈에 의한 루푸스 발병기전 규명

  • 31.

    영아의 장 내 미생물이 아토피피부염 발달시켜

  • 32.

    눈에서 47종의 시각 채널을 찾다

  • 33.

    브로콜리 성분의 치매 단백질 제거 효과 규명

  • 34.

    과일 속 포도당으로 메모리 소자 구현

  • 35.

    사춘기 신체성장 조절 원리 규명

  • 36.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제작

  • 37.

    식물이 추위를 견디는 과정 규명

  • 38.

    철 농도 조절을 통한 세균감염 억제방법 규명

  • 39.

    식물 생산성 높이는 에너지 분배 단백질 규명

  • 40.

    나노입자를 통한 생분해성 임플란트의 염증 억제

  • 41.

    암 전이와 증식의 연결고리를 밝히다

  • 42.

    세계 최초 남극 해양미생물 활용 혈액 동결보존제 개발

  • 43.

    남방큰돌고래 생명의 신비를 해독하다

  • 44.

    장내 세균의 영양결핍상태 신호전달과정 규명

  • 45.

    투과성 양성자를 이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기술 개발

  • 46.

    피부 부착하는 투명 접착성 전도체 개발

  • 47.

    암 전이 촉진하는 세포 간 핵심신호 규명

  • 48.

    바이오필름 제거하는 나노복합체 개발

  • 49.

    DNA의 3차 구조 형성 핵심요인 규명

  • 50.

    항생제가 장내 미생물에 남긴 상처가 오래가는 이유

  • 51.

    정자의 머리-꼬리 잇는 단백질 발견

  • 52.

    식물을 두껍게 생장시키는 줄기세포의 신호전달 과정 규명

  • 53.

    뇌신경질환 치료용 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

  • 54.

    급성심장질환에 동반된 외상후증후군(우울증치료를 통하여 심장질환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감소

  • 55.

    광합성 반응을 모사한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 56.

    PC 한 대로 간편하게 그래핀 신경세포칩 설계

  • 57.

    세포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자식작용 개시 단백질 복합체 기능 규명

  • 58.

    B형 간염바이러스 제거하는 신규 단백질 발굴 및 원리 규명

  • 59.

    고저병원성 AI 바이러스 신속 진단기술 개발

  • 60.

    의약품 속 동물 유래 시알산 분석법 제시

  • 61.

    신개념 DNA 나노입자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 62.

    파킨슨병 진행 기전 규명

  • 63.

    암세포 주변 세포도 제어항체 암치료제 효능 향상

  • 64.

    실시간 뇌 속 도파민 농도 측정기술 개발

  • 65.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구조-활성 상관성 규명

  • 66.

    세포사멸 유도 복합체의 형성 규명

  • 67.

    인체 이식형 전자소자 개발

  • 68.

    항암제 내성 유방암의 새로운 신규 치료법 발견

  • 69.

    인슐린이 간암세포를 성장시킨다

  • 70.

    고위험병원체 현장분석용 고감도 검출기술 개발

  • 71.

    미토콘드리아 효소 조절을 통한 당뇨병 치료 규명

  • 72.

    노화 치매의 뇌혈관장벽 조절 타깃 발견

  • 73.

    폐광물 흙에서 세균 유전자 확인생명공학 이용 기대

  • 74.

    병에 강한 식물에는 '보디가드 미생물'이 있다

  • 75.

    유사 단백질 선별하는 신소재 분리막 개발

  • 76.

    종양 스페로이드를 활용한 암 표적치료 혁신의 길 열려

  • 77.

    유해한 일산화탄소를 치료용 수화젤로 사용

  • 78.

    세계 최초 알레르기 저감 밀 오프리’ 개발

  • 79.

    뇌에서 충동성을 조절하는 신경회로 규명

  • 80.

    녹조류 세포 필름에서 광합성 전류 추출 기술 개발

  • 81.

    특정 유전자 발현 억제하는 RNA 간섭 효율 증가

  • 82.

    인체 근육조직을 모사한 나노-근섬유 개발

  • 83.

    히스톤 탈아세틸화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과정 규명

  • 84.

    원자보다 작은 움직임을 관찰하다

  • 85.

    산소 없이 살아가는 미생물의 생존원리 규명

  • 86.

    화학성분 차이로 식물 종 구분항산화 물질도 밝혀내

  • 87.

    항암바이러스로 면역함암제 치료효과 향상

  • 88.

    저급 유지를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는 경제적인 촉매 개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