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019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BioINwatch로 살펴본 주요 이슈]
□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국가별 대규모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추진
○ 일본, 암에 대한 개인 맞춤의료 실현을 위해 암 환자 10만명의 전장 유전체 분석(WGS, Whole genome sequencing)을 추진할 계획 발표
○ 유럽, 2022년까지 최소 100만명의 유전체 분석을 추진하는 ‘100만 게놈 이니셔티브(1+ million genomes initiative)’ 발족
※ EU 20개국은 질병 예방, 개인 맞춤치료, 새로운 임상 연구를 위해 각국의 유전자 정보 및 건강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
➤ BIoINwatch 19-43 참고
□ CRISPR 유전자편집 기술은 DNA 교정, 분자 진단, 바이오소재 개발 등에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 활용 범위 및 기능 향상 연구로 지속적 발전
○ DNA가 아닌 RNA를 편집할 수 있는 크리스퍼 플랫폼을 개발(’19.7). RNA 수준의 편집은 가역적인 변경으로 다양한 연구에 활용 가능
○ CRISPR–Cas9 시스템의 비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라임 편집(Prime editing) 기술 개발(’19.10)
※ 프라임편집은 DNA의 단일가닥만을 잘라 편집하는 기술로 유전자편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 시키며, 다양한 방법으로 유전자를 편집 할 수 있음
➤ BIoINwatch 19-17, 19-18, 19-60, 19-73, 19-76 참고
□ (영국)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 합성 및 검증까지의 기간을 46일 이내로 단축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19.9)
○ 인실리코 메디슨, AI를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AI 시스템 ‘GENTRL’ 개발
※ 기존의 프로세스에는 8년 이상의 시간과 수백만 달러가 소요되는 반면 GENTRL은 46일에, 15만 달러(약 1.8억원) 정도의 비용에 가능
➤ BIoINwatch 19-67 참고
□ (일본)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이용한 척추 손상, 각막 이식 등 임상시험 세계 최초로 허가 및 실시
○ 후생노동성, 게이오대학 연구진의 척추손상 치료를 위해 타인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한 임상시험을 허가(’19.2)
※ 그동안 치료가 어려웠던 뇌신경 손상 치료 및 기능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오사카대학 연구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각막 세포를 환자의 눈에 이식하는 임상 시험 실시, 수술 후 시력이 크게 회복했다고 밝힘(’19.8)
➤ BIoINwatch 19-16, 19-66 참고
□ CRISPR 유전자편집 치료제 개발, 실험실 수준에서 임상시험으로 전환
○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도구를 활용하여 암, 유전/혈액 질환, 에이즈 등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추진
※ CRISPR Therapeutics와 Vertex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크리스퍼 기반 치료제 초기 임상시험(베타지중해성빈혈, 낫적혈구장애 환자)에서 긍정적인 결과 발표(‘19.11). 펜실베니아대학 연구진, 크리스퍼 기반 치료제로 암 임상연구 실시
➤ BIoINwatch 19-8, 19-15 참고
□ 글로벌 건강 및 경제에 큰 위협이 되는 (신종)전염병, 다재내성균에 대한 경고, 관련 치료제 및 백신 허가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항생제 내성 진균 칸디다 아우리스(C. auris)의 글로벌 확산을 경고(’19.4)
※ 지구 온난화가 새로운 곰팡이 출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 발표
○ 약물내성 및 다제내성 폐결핵 치료제 프레토마니드(Pretomanid)가 3종 약물 병행요업으로 미국 FDA 승인(’19.8)
○ 세계 최초의 에볼라 예방백신 ’ERVEBO(머크)’ EU 승인(’19.11)
➤ BIoINwatch 19-8, 19-56, 19-64, 19-83 참고
□ 전세계 합성생물학 인프라 협력 플랫폼인 ‘글로벌 바이오파운드리 연합(GBA)’ 결성
○ 합성생물학 연구 활성화를 위해 국가별로 개별 구축・운영되고 있던 바이오파운드리의 통합적 협력을 위해 ‵글로벌 바이오파운드리 연합(GBA, Global Biofoundries Alliance)′을 결성(’19.5)
➤ BIoINwatch 19-52 참고
□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학술 논문에 대한 오픈엑세스(Open Acess) 강화 추세
○ 독일 학술기관 컨소시움인 Project DEAL은 Wiley 출판사와‘출판 및 읽기(Publish and Read)’모델의 오픈 엑세스 계약을 체결(’19.1)
○ 유럽연합은 2020년까지 국가 지원 연구논문을 오픈 엑세스화 하는 Plan S를 발표(’18.9), 2020년 1월 이후 가입기관의 지원으로 발표된 학술 논문의 즉각적인 오픈 엑세스 의무화
※ 최근 WHO는 의료연구의 개방적 접근을 위해 WHO 자금이 지원된 모든 의료연구 결과를 온라인에서 즉시 무료로 접근토록 하는 Plan S 참여 발표(’19.8)
➤ BIoINwatch 19-2, 19-13, 19-72 참고
□ 국내 벤처캐피탈의 신규 투자의 약 28%가 바이오/의료 분야에 집중 되어 있으며, 기술특례상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음
○ 2019년 하반기(10월 말 기준) 국내 벤처캐피털 신규 투자의 최대 투자 업종은 바이오/의료 분야로 투자액은 9,841억원. 지난 한해 총 투자액(8,417억원)을 상회하며 최고치를 갱신
※ 업종별 VC 신규 투자 비중은 바이오/의료 27.9%, ICT서비스 22.2%, 유통/서비스 20.1%, 영상/공연/음반 8.6%, 전기/기계/장비 4.5%, ICT제조 3% 순
○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도입된 2005년 이후 최근까지 전체 기술특례상장에서 바이오/의료 분야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78.6%
➤ BIoINwatch 19-84 참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번호 | 바이오인왓치 번호 | 바이오인왓치 제목 | Page |
1 | BioINwatch19-45 | 글로벌 제약산업 2019년 프리뷰 및 2024년 전망 | 1 |
2 | BioINwatch19-46 | 일본, 키메라 장기 연구에 관한 규제 개선 | 6 |
3 | BioINwatch19-47 | 전지구적 해양 바이러스 다양성 연구의 초석, Global Ocean Viromes 2.0(GOV2.0) 구축 | 18 |
4 | BioINwatch19-48 | Human Cell Atlas 7th General meeting 참관기 | 20 |
5 | BioINwatch19-49 | 영국 생어연구소, 동물실험실 폐쇄 결정 | 24 |
6 | BioINwatch19-50 | 2018년 일본 바이오벤처 현황 조사·분석 | 26 |
7 | BioINwatch19-51 | 바이오 인공장기를 위한 핵심기술, “오가노이드(Organoids)” | 29 |
8 | BioINwatch19-52 | 합성생물학의 인프라 협업체계, 글로벌 바이오파운드리 연합(GBA) 결성 | 33 |
9 | BioINwatch19-53 |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19 발표 | 36 |
10 | BioINwatch19-54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향후 연구방향 | 39 |
11 | BioINwatch19-55 | 세계경제포럼 선정 2019년 10대 미래유망기술 | 42 |
12 | BioINwatch19-56 | 다제내성균, 칸디다 아우리스(C. auris)의 위협 | 45 |
13 | BioINwatch19-57 | 일본 바이오⋅제약 기술 및 산업현황 | 48 |
14 | BioINwatch19-58 | 미국, 암 사망으로 연간 944억 달러 손실 | 54 |
15 | BioINwatch19-59 | ISSCR 2019를 통해 본 줄기세포 R&D 트렌드 | 56 |
16 | BioINwatch19-60 | RNA 편집이 가능한 새로운 CRISPR 플랫폼 | 60 |
17 | BioINwatch19-61 | 미국인들의 과학자에 대한 신뢰도 설문조사 | 62 |
18 | BioINwatch19-62 | 미국 FDA에서 허가한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의 데이터 조작 이슈 | 65 |
19 | BioINwatch19-63 | 일본,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을 위한 바이오전략 2019 | 67 |
20 | BioINwatch19-64 | 미국 FDA, 다제내성 결핵치료제 Pretomanid 승인 | 70 |
21 | BioINwatch19-65 | 첨단재생바이오법으로 임상연구 활성화 및 안전관리 강화 기대 | 72 |
22 | BioINwatch19-66 | 일본, iPSC로 만든 각막이식 성공 | 76 |
23 | BioINwatch19-67 | 인공지능(AI)를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서 검증까지 46일로 단축 | 78 |
24 | BioINwatch19-68 | 2020 혁신상(Breakthrough Prize) 수상자 발표 | 83 |
25 | BioINwatch19-69 | 2019년 노벨생리의학상, 세포의 산소이용을 연구한 과학자들이 공동수상 | 85 |
26 | BioINwatch19-70 | 경쟁과 우수성을 강조하는 연구문화에 대한 의문 (A kinder research culture is possible) | 88 |
27 | BioINwatch19-71 | 피어스바이오텍, 15대 혁신적 바이오기업 선정 | 91 |
28 | BioINwatch19-72 | WHO, 의료연구의 개방적 접근 위해 Plan S에 합류 | 93 |
29 | BioINwatch19-73 | 유전자편집기술인 크리스퍼를 활용하여 진단 및 약물전달이 가능한 바이오소재 개발 | 96 |
30 | BioINwatch19-74 |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 98 |
31 | BioINwatch19-75 | 네이처 인덱스, 세계 175대 신진대학 선정 | 103 |
32 | BioINwatch19-76 | 새로운 유전자편집기술, 프라임 편집(Prime editing) | 106 |
33 | BioINwatch19-77 | 미국 FDA, 기술현대화 사업계획(TMAP) 발표 | 109 |
34 | BioINwatch19-78 | 암젠, 중국 바이오제약기업 베이진에 27억 달러 투자 | 112 |
35 | BioINwatch19-79 | 구글 헬스, NHS Trust와 의료 데이터 공유 계약 체결 | 114 |
36 | BioINwatch19-80 | 네이처 출간 150주년 기념, 발표된 논문 중 가장 중요한 10대 과학적인 발견 | 116 |
37 | BioINwatch19-81 |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20가지 이유 | 121 |
38 | BioINwatch19-82 | 미국 DARPA BTO의 역할 및 기능 | 124 |
39 | BioINwatch19-83 | 최초의 에볼라 예방백신 ERVEBO, EU 승인 | 128 |
40 | BioINwatch19-84 | 바이오 VC투자 동향 및 기술특례상장 현황 | 130 |
41 | BioINwatch19-85 | 2020년부터 미국 GMO 식품 표기방안 변경 | 135 |
42 | BioINwatch19-86 | 일본의 해외 바이오 연구시스템 벤치마킹 | 1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