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0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20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발행일 2021-02-10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6085
  • 키워드
    #바이오 #이슈 #Biotechnology #issue
  • 첨부파일

개요

 

2020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0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BioINwatch로 살펴본 주요 이슈 ◑

 

□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더믹 관련, 원인 분석부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시대를 전망 

 

○ 코로나19, 동물을 거쳐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 가능성을 추정하고, 코로나19 이후 번창할 산업 분야 및 주요 24개 기술을 소개

※ (예시) 헬스케어 산업 : ⑴Telehealth technology, ⑵Continuous & remote diagno-stics, ⑶Teletherapy, ⑷Virtual fitness & gyms, ⑸Senior care & aging in place

 

○ 미국 대통령 당선자 조 바이든, 최우선 국정과제로 ‘코로나19 퇴치계획’ 발표(20.11) 및 일본, 코로나19 대응 및 후속조치를 위한 「바이오전략 2020」 발표(20.6) 등

➤ BIoINwatch 20-11, 20-16, 20-19, 20-21, 20-24, 20-26, 20-28, 20-30, 20-34, 20-36, 20-38, 20-42, 20-44, 20-46, 20-55, 20-65, 20-67, 20-70, 20-80, 20-81 참고

 

□ 네이처, 사이언스 등에서 2020년 과학기술 트렌드 및 2020년 주목할 바이오분야 7개 기술 소개(20.1)

 

○ 네이처, 사이언스에서 인공효모 합성, CRISPR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한 암, 유전질환 치료 등 바이오분야를 포함하여 전망한 2020년 과학기술 트렌드를 소개 

※ (바이오분야) CRISPR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한 암, 유전질환 치료 및 이종이식에 대한 임상시험 활성화, 생물다양성 확보 및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 인공효모 합성, 쥐를 이용한 인간세포 배양(Humice) 등

 

○ 네이처(Nature)에서 7명의 바이오 전문가들에게 2020년 주목해야 할 기술에 대해 인터뷰하고 올해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되는 7개 기술을 소개 

※ 7개 기술 : ①cryo-EM 시료 제작기술, ②RNA 분석기술, ③마이크로바이옴 해독, ➃암 컴퓨팅/가상 종양, ➄유전자 치료기술, ➅단일세포 시퀀싱 플랫폼, ⑦유전체 구조와 기능 연계

➤ BIoINwatch 20-3, 20-4, 20-7 참고 

 

□ 세계경제포럼(WEF), 2020년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20.12)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과 Scientific American 합동으로 마이크로 니들, 디지털 의료, 저탄소 시멘트, 전체게놈 합성 등의 바이오 관련 기술을 포함한 “2020년 10대 미래유망기술(Top 10Emerging Technologies of 2020)”을 발표 

※ 10대 미래유망 기술 : ①마이크로 니들, ②태양열 기반 화학, ③가상 환자, ➃공간적 컴퓨팅, ➄디지털 의료, ➅전기항공, ⑦저탄소 시멘트, ⑧양자 센서, ⑨그린 수소, ⑩전체 게놈 합성

➤ BIoINwatch 20-84 참고 


□ CRISPR 유전자편집기술,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20.10)하는 등 유전자편집기술이 생명과학 분야에 혁명적인 영향


○ 노벨상위원회는 선정 소개에서 “이 유전적 도구가 기초과학에 혁명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획기적이면서도 새로운 의학적 치료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된다는 점을 강조

 

○ 최근 연구 성과로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을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혈액유전질환 치료결과 발표하고 환자 조혈모세포를 유전자편집기술로 교정하는 치료 방법은 근본적으로 질병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

➤ BIoINwatch 20-14, 20-18, 20-78, 20-91 참고 


□ 디지털 기술(Digital Tech.), 기초과학, 헬스케어 및 농업,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접목이 가시화


○ 구글 DeepMind 프로그램인 알파폴드(AlphaFold), 생물학의 난제 중 하나인 아미노산 서열에서 3차원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한층 진보된 신약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


○ CB insights에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150개 발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하여 AI 활용 및 여성·노인 건강 관련 수요 증가, 원격의료 투자 증가 등이 주요 이슈로 분석

※ 미국(116개)기업이 가장 많이 선정되었으며, 뒤이어 중국(7개), 이스라엘(4개) 순이며 한국기업으로는 루닛(Lunit)이 이미지를 활용한 진단 분야로 유일하게 선정


○ 바이오의약산업에서도 AI, 로봇, 가상현실 등 4차 산업기술이 융합된 Biopharma 4.0 패러다임이 전개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Insilico Biotechnology사는 ‘Digital Twins’ 개발을 통해 바이오제조 (biomanufacturing)에 대한 ‘스마트 프로세스’를 제안


○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 디지털 농업과 같은 시스템 구축에 노력. 특히 디지털 농업에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디지털 농업 사례) 토양, 기후 및 유전자원을 모니터링, 평가 및 관리하는 디지털 및 지리적 공간 기술을 농업에 활용

➤ BIoINwatch 20-5, 20-6, 20-41, 20-44, 20-90 참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코로나19, 동물을 거쳐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 가능성 추정

2. 머크(Merck),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에 펀딩

3. Long-read 시퀀싱을 통한 슈퍼푸드 토마토 유전자 속에 숨겨진 새로운 사실 발견

4. 2040년 포스트팬데믹 세계(world)에서 온 뉴스

5. 미국 NIH Common Fund(공통연구비) 프로그램

6. 합성생물학으로 만든 바코드 미생물(Barcoded Microbes)을 활용한 식품의 이동경로 추적

7. 미국 NIH Common Fund에서 지원하는 Cryo-EM 프로그램

8. 일본 JST에서 발표한 바이오 R&D 추진방향

9. 응축물(Condensates)을 이용한 신약개발 전략

10. 코로나19 팬데믹 속 출판 전 논문(Preprints)의 역할

11. 산업 생명공학(Industrial biotechnology)에 세포농업(cellular agriculture) 개념 도입

12. All of Us 프로그램, 연구플랫폼 베타테스트 시작

13. 글로벌 제약산업 2020년 프리뷰 및 2026년 전망

14.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를 지키기 위해 미국 NSF에서 NSTF로의 변화 시도

15. 1억 년 전 심해 미생물 존재 확인 및 재생, 생명(수명)의 한계에 대한 연구 추진

16. 2020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스타트업

17. 산림황폐화가 팬데믹 발생 가능성 높여

18.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기술을 통한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의도치 않은 게놈편집 야기

19.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으로의 발전

20. 코로나19 시대 치명적인 감염병(에이즈, 말라리아, 결핵)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방안

21. 식물의 광합성 효율 촉진을 통한 작물 생산성 향상

22. 코로나19 이후 번창할 산업 및 주요 24개 기술

23. 줄기세포를 활용한 피부 오가노이드, 대머리 치료의 새로운 해결책 제시

24. 글로벌 바이오산업 시장현황 및 전망

25. 일본, 코로나19 대응 및 후속조치를 위한 「바이오전략 2020」 발표

26.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27. HIV를 제어하는 슈퍼 면역인 '엘리트 컨트롤러'

28. 2021 혁신상(Breakthrough Prize) 수상자 발표

29. 인간의 장내 Virome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령별 다양한 Virome 패턴 확인

30. 미국, 질병 유발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한 유전자조작(GM) 모기 방출 실험 승인

31. 2019년 중국의 생명·의료 분야 우수성과

32. 유전자 재설계 효모를 이용한 의약물질 생산

33. 바이오 분야의 핵심공통기술 중 하나인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 노벨화학상 수상

34. LifeTime,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로드맵 발표

35. 미국 대통령 당선자 조 바이든, 최우선 국정과제로 ‘코로나19 퇴치계획’ 발표

36. 코로나19 백신 가격 전망 및 가격 결정모델

37. 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HeLa 세포의 가치와 의의

38. 21세기 인간 면역학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

39. WEF, 2020년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40. Time지, 2020년대 헬스케어와 의학을 변화시킬 12가지 혁신사례 전망

41. Zoonomia 프로젝트, 대규모 포유류 유전체 분석결과 발표

42.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

43. 후성유전학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마우스의 노화된 시력 개선 연구결과 발표

44. 미국 인간유전체연구소, 미래전략(The Forefront of Genomics) 발표

45. 구글 AI 알파폴드(AlphaFold), 단백질 3D 구조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개선

46.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한 혈액유전질환 치료결과 발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