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2년 BioINpro 모음집
- 발행일 2023-02-21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3454
-
키워드
#BioINpro #바이오인프로
개요
2022년 BioINpro 모음집
Pax Technica 시대 K-바이오
- 2021년 바이오 미래포럼 주요 내용 -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2년째 지속되는 가운데 'K-바이오' 산업은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찾아 분주한 한 해를 보냈다.
지난해 국내 바이오산업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53.1%라는 역대급 성장세로 10조원을 돌파했고,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 역시 약 17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8.2%의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국내 바이오산업은 기존 의약품 분야는 물론이고, 코로나19 방역에서 진면목을 발휘한 체외 진단 시장의 폭발적 성장으로 의료기기 시장 역대 대폭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백신 생산에서 진가를 발휘한 위탁개발생산(CDMO) 산업은 대한민국을 이끌 차세대 먹거리로 부상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Pax Technica 시대 K-바이오
가. 2021년 바이오 미래포럼 주요 내용
2. 2022년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동향
가. 2022년 국내 BT 투자 및 정책동향 - 바이오헬스 산업의 지속 성장 및 주력산업화
나. 2022년 해외 BT 투자 및 정책동향
다. 2022년 중국 BT 투자 및 정책동향 - 중국 14·5 계획 바이오 기술혁신 전략 중심
3. DELT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
4. 2022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상)
가. 세포외 소포체 기반 약물전달기술 - 연구개발 및 산업 동향 그리고 전망
나. mRNA 기반 차세대 백신-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5. 2022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중)
가. 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나. 이종간 키메라기술 기반 바이오인공장기-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6. 2022년 바이오미래유망기술(하)
가. 후성유전체 편집기술의 개요 및 시사점
나. 차세대 유전체 합성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7. 바이오 기업 M&A를 위한 법제도의 개괄
8. 디지털 대전환과 바이오
가. 생체모방 기술개요
나. 바이오산업분야 디지털트윈의 활용방안
9. 우주 생명과학
가. 우주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의생명 연구동향
나.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사유하는 항공우주의학 규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