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022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2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중국,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에서 연구 수행
◉중국 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CAS)은 실험 풍선으로 만든 우주생물학 플랫폼(CAS-BAP)에서 세계 최초로 자기방사성 박테리아 실험 수행. 지구와 가까운 우주에서 우주생물학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지구 생명체의 생존 및 적응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Astronomy, Astrobiology at altitude in Earth’s near space, 2022.2.18., Laitimes, Lin Wei/Liu jia et al. - NA&SB : A series of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study of astrobiology in near space, 2022.4.14. |
▣ 지구 근접 우주 고도에서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인 CAS-BAP(Chinese cademy of Sciences Balloon-Borne Astrobiology Project)를 성공적으로 가동
○ 2018년 중국과학원은 근거리 우주 연구용 과학 풍선 플랫폼과 관련 분석 기를 개발하기 위해 5년 프로젝트를 시작
- 근거리 우주 과학 실험 시스템(the Scientific Experimental System in Near Space, SENSE) 프로젝트는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학연구소와 항공우주정보혁신연구소 중심으로 중국 본토 인접 우주공간에서 수행
○ CAS-BAP는 근거리 과학 실험 시스템(SENSE)의 지원하에 아래 세 가지 현장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
- (1) 생물학적/화학적 샘플을 근접 우주 환경에 노출, (2) 바이오에어로졸 및 먼지의 현장 수집 달성, (3) 주변 환경 매개변수의 현장 측정
※ 자체 개발한 생체 반응 탑재체(Biological Samples Exposure Payload, BIOSEP), 온도제어 생체 반응 탑재체(Temperature-Controlled BIOSEP, TC-BIOSEP), 바이오에어로졸/먼지 수집(Bioaerosols and Dusts Sampling, BANDS) 탑재체 및 자외선 분광계(Ultraviolet Spectrometer, UVS) 활용, 지구 근접 우주 공간의 감지 연구 수행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중국,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에서 연구 수행
2. 논문으로 살펴본 데이터의 제한적 공유 현황
3. 합성생물학,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
4. 일본의 ‘연구 디지털전환(DX) 전략’
5. 한 걸음 더 가까워진 이종장기 임상시험
6. 단백질 구조 예측 AI 활용과 가능성
7. 미래의 초소형 기계에 적용 가능한 DNA 나노모터
8. WHO, 신기술의 이중용도 연구(dual-use research of concern)로 우려되는 미래이슈 탐지
9. 음식물 쓰레기 및 농업 폐기물로 지속 가능한 항공기 연료를 만들 수 있을까?
10. EU의 DataBio 프로젝트,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림수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11.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전장 유전체 시퀀싱 프로젝트 첫 번째 분석 결과 발표
12. 미국 백악관,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2.0을 위한 확장된 Cancer Cabinet 구성
13. 세포 내 현상을 기록하는 DNA 테이프
14. 줄기세포, 인공자궁 기술로 만든 합성배아
15. 아마존, 1차 진료 제공기업 원메디컬 인수
16. 바이오(질환 극복)가 메타버스(가상현실)를 만났을 때
17. 의약물질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성생물학 기반의 미생물 공급망
18.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rejuvenation) 연구 활기
19. 2022년 상반기 VC 투자 및 기술특례상장 동향
20. 미국의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관계부처의 주요 추진방향
21. 미국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에 따른 국방부 추진방향
22. 법의학, 생물다양성 연구에 대한 eDNA의 잠재력
23. 차세대 무세포 합성생물학의 새로운 규제 과제
24. 생물학 탐색 영역을 한 차원 넓힐 성(性)의 차이
25. 유전체 분석에 따른 정밀의료 프레임워크 설계 및 치료효과 향상에 관한 보고
26. 미국 감사원, FDA의 COVID-19 진단 테스트에 대한 성과감사보고서 발간
27. 미국의 캔서 문샷,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
28. 2022년 선정한 게임 체인저 기술과 스타트업
29. 글로벌 바이오제약산업 2022 프리뷰 및 2028 전망
30. 충성스러운 장내 미생물(Loyal gut microbes)
31. 탄소나노튜브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혈액검사로 난소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바이오기술
32. 보그(Borg)라고 불리는 미생물 DNA의 가능성
33. 미국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증거 기반 실험실 생물위험 관리 과학기술 로드맵’ 개발
34. 유전독소(genotoxins)를 분비하는 장내 미생물
35. 레트로바이러스 유래 유전자의 항바이러스 활성
36. 유전자 편집 CAR-T에 의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
37. 플라스틱 쓰나미,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38.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치료용 박테리아 플랫폼
39. 합성생물학에 힘입은 세포 엔지니어링의 잠재력
40. eDNA(환경DNA)로 밝혀낸 200만년 전 생태계
41. 흡연 및 음주에 대한 유전적 연관성 발견
42. 미국 NIH, 평판 편향 및 지원 격차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연구비 심사체계 초안 발표
43. 미국, 연구를 위한 마리화나 활용에 관한 법안 마련
44. 사이언스 선정, 2022년 과학기술 혁신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