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022년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가. 발간 개요
○ 본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22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를 취합.정리 하였습니다. BT 관련 주요 연구성과를 계속적으로 취합.정리, 축적하여 연구자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BT연구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나. 대상
○ 생명공학분야 R&D 성과의 주요 부처 및 유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게놈 안정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경로 규명
2. 침습형 첨단 의료기기, 만능 재주꾼 물 옷을 입다
3. 내성 슈퍼박테리아 퇴치할 수 있는 원리 밝혀
4.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 제시
5. 새로운 조현병 원인 유전자 찾았다
6. 세포 생존과 사멸의 상반된 운명을 결정하는 신호인자 첫 규명
7.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펩타이드 접근성 조절 가능 시스템 개발
8. 돌연사 주범 신부전 원인 규명
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 기전 최초 규명
10. 위암 원인균 헬리코박터의 cagA 암유전자 복제 수 변화 기전 규명
11. 섬유화 메커니즘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12.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신속한 현장 검출을 위한 분자진단 기술 확보
13. 표면 특성 조절로 성능 향상된 체내 이식형 전극
14.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
15. 소리로 효소반응을 조절하다
16. 백신이 만든 기억 T세포, 오미크론에 강한 면역반응
17.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18. 구동 속도 빨라진 형상기억합금 인공근육
19. 후성유전 조절의 핵심 분자기전 발견
20.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수문장(Gatekeeper) 단백질 발견
21. 면역활성 나노입자와 전기자극으로 면역 항암 치료법 개발 실마리
22. 식물 에너지 분배 촉진을 통한 토마토 생산성 향상 기술 제안
23. 뇌 속 반응성 별세포의‘요소회로’, 치매의 새 원인
24. 문신 전극 기반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무선 뇌-인공지능 자동 제어 인터페이스 개발
25. 감염으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면역세포 발견
26. 면역반응 제어를 통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과정 규명
27. B세포(면역세포)만 쏙쏙 찾아내는 형광분자 개발
28. IBS, 성장 조절하는 인슐린유사성장인자의 비밀을 밝히다
29. 온도에 따라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활용한 압력센서 표면 형태 제어 원천기술 개발
30. 항생제를 활용한 고효율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31. 두개골 속 신경망 투시하는 홀로그램 현미경 개발
32. 주사 바늘보다 얇은 초미세 3D 내시경 개발
33.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세포사멸 조절 기전 찾아내
34. 돌연사의 주범, 부정맥을 실시간 진단·치료하는 심장 부착형 전자패치 개발
35. 자폐 진단·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36. 인지장애 동반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새로운 치료 표적 발견
37. 피부암 발생 높이는 DNA 손상 복구하는 핵심 단백질 작용 규명
38. 바닷속 나노플라스틱, 해양 먹이사슬로 식자원까지 전이 가능
39. 토양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개발
40. 병원체와 싸우는 선천면역세포만 식별하는 형광물질 개발
41. 항생제 콜리스틴 무력화하는 내성 기전 발견
42. 부스터 백신 접종, 다양한 코로나 변이주에 면역 효과 입증
43. 로봇, 바이오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하이드로젤 전극,작동장치 개발
44. 바이오연료 후보 미생물 찾았다
45.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박테리아의 새로운 생존 전략 규명
46. 식중독균 리스테리아의 편모 생성조절 기전 찾았다
47. 벌개미취, 더덕 등 자생식물서 천연 항바이러스 물질 발견
48. 뿌리혹병 저항성 가진 배추 유래 유전자 기능 밝혀
49. 동고동락하던 쌍둥이 분자, 소리로 격리시킨다
50. 유전체정보 기반 당뇨 고위험군 예측 가능해져
51. 손상된 DNA 복구하는 세포 내 방어시스템 규명
52. 사회적 고립에 의한 사회성 변화 작동 원리 규명
53. 타인을 공감하는 뇌 신경회로 원리 규명
54. 광합성 관여 유전자 ‘PITP7’ 기능 밝혀
55. 간암 치료제의 조기 내성 규명
56. 암 전이 억제 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물 개발
57. 한 장의 사진으로 뇌혈관 혈류 속도 측정한다
58. 바다 식물 플랑크톤은 기후변화 피해 막는 ‘방어막’
59. ‘살충제 다이아지논 분해 미생물’ 최적 배양 조건 찾았다
60. 약물 상호작용 예측하는 美FDA수식, 틀렸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