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발행일 2023-07-27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4295
  • 키워드
    #BioINwatch
  • 첨부파일

개요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1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책자신청 선착순 170명] 2023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2023년 8월 23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회원대상 170 책자신청을 받습니다.


https://www.bioin.or.kr/bkletPblancView.do?num=316763&cmd=view&bid=req_rep&cPage=1



◑ BioINwatch로 살펴본 주요 이슈 ◐


□ 2023년 바이오는 디지털 기술로 연구개발(R&D)을 혁신하는 ‘디지털바이오 전환’이 가속화되고 이런 변화와 함께 바이오경제를 정의, 측정 및 모니터링을 강조


○ 디지털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정밀의료, 유전자편집, 바이오파운드리 등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기술과 공정을 활용한 바이오산업과 혁신된 연구개발 결과를 소개

※ (예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기술수요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치료제, 원격의료 플랫폼으로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모든 유전체 정보가 데이터화되고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시대로 전환


○ 화석기반 경제에서 재생가능한 바이오제조(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 하기 위해선 바이오기술과 디지털기술과의 융합이 중요

※ (예시) 바이오제조기술 혁신으로 생물학적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설계-구축-시험-학습 사이클 수행하는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디지털 기술로 바이오경제 모니터링

➤ BioINwatch 23-2, 23-4, 23-5, 23-9, 23-10, 23-11, 23-14, 23-19, 23-29, 23-30, 23-32, 23-36, 23-38, 23-46


□ 네이처, 사이언스, MIT 등에서 2023년 주목해야 할 과학 이벤트 및 2023년 10대 혁신기술을 발표(23.1)


○ 네이처, 사이언스에서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 가속화,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신약 등 바이오 분야를 포함하여 전망한 주요 과학 이벤트를 소개

※ (바이오 분야) 최초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신약 승인 전망 및 그 외 크리스퍼 신약개발 현황, 뎅기열, 엠폭스, 결핵, 헤르페스 등 다양한 감염병 극복을 위한 노력,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전망


○ MIT는 세계적으로 연구되는 기술 중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는 ‘2023년 10대 혁신기술’을 발표, 바이오 관련 기술은 4개 기술을 소개

※ 바이오 관련 혁신기술 : ①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크리스퍼 기술, ②원격진료를 통한 임신중절, ③주문형 장기 이식, ④고대 유전자(DNA) 분석


➤ BioINwatch 23-1, 23-3, 23-15, 23-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네이처 선정, 2022년을 선도한 인물과 활동

2. 영국과 뉴욕시의 신생아 게놈 시퀀싱 프로젝트

3. 네이처, 2023년 주목해야할 과학 이벤트 전망

4. 디지털화된 바이오경제 : 바이오경제-디지털경제 시장 간 융합 현상

5. CES 2023으로 살펴본 디지털 헬스케어 동향

6. 옥수수 알갱이는 왜 단백질이 적을까? : 야생 옥수수로부터 잃어버린 유전자를 찾다.

7. 운동욕구와 능력을 향상시키는 장내 미생물

8. 과학기술의 통합적 혁신성과 파괴적 혁신성

9. ChatGPT와 같은 AI 챗봇이 과학기술에 끼치는 영향

10. 미국 ARPA-H 조직 구성 및 예산 현황

11. 미국 바이오경제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전망

12.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22 발표

13. 노화세포 분리기술과 단일세포 시퀀싱기술로 체내(in vivo)에서 노화세포의 특성을 규명

14. 바이오데이터 Ready, Set, Share

15. 사이언스, 2023년 화제가 될 과학 뉴스 전망

16. 심장과 뇌의 연결고리, 광유전학으로 연구하다

17. MIT, 2023년 10대 혁신기술 선정

18.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기술, 유전적 예방 접종 시대를 열까?

19. 미국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바이오제조 정책 권고

20. 합성생물학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유전자 방화벽

21. 44개 핵심기술에서 한국은 글로벌 4위를 차지

22. 미국 NIH Common Fund에서 지원하는 SenNET 프로그램

23. 정치적 양극화 해결을 위한 과학적 연구와 기술적 개입

24. Bio-inspired 기술 : 갑각류 유충에서 발견한 광학 솔루션

25.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26. Bio-inspired 기술 : 자가 매립 씨앗 운반체

27. Biorisk(생물위험) 관리에 대한 국가별 점수

28. Sweet medicine : 설탕 대체 감미료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가능성

29. EU 바이오경제 모니터링 프로젝트와 시스템

30.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31. 단백질 혼합물을 모방한 합성고분자 앙상블

32. 디지털 바이오, 유전체 시퀀싱 및 데이터의 의미

33. ChatGPT 치료사를 만날 결심?!

34. 성체줄기세포 기본 원리(dogma)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McSC(melanocyte stem cell)

35. 2022년 미국 FDA 신약 승인 현황

36. 시간과 위치에 따른 폐암 진화의 분자적 초상화

37. 단일염기편집기술(Base editing)로 척수성근위축증을 영구적으로 치료

38. 바이오 분야의 AI(인공지능) 연구 트렌드

39. 노화에 따라 빨라지는 전사(DNA->RNA) 속도와 낮아지는 복제 정확도

40. 뉴노멀 시대, 2023년 주목할 11개 기술 트렌드

42. 영국, 정밀육종생물체에 대한 비례규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유전기술(정밀육종)법 제정

43. 박테리아 주사기(syringes)를 이용한 약물전달

44. 미국 ARPA-H의 첫 번째 프로그램은 “골관절염 조직 재생을 위한 새로운 혁신”

45. 바이든 행정부, 2024 회계연도 예산안 개요

46. 바이오 분야의 AI(인공지능) 특허 현황

47. 산모의 미생물이 아기의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