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 발행일 2023-12-15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이지연 ( 042-879-8376 / jylee1@kribb.re.kr )
  • 조회수 5592
  • 키워드
    #합성생물학 #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 첨부파일

개요

 

 

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Synbio Monthly Information 2023-1

1.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3.1월)


01 언론 모니터링


1) 과기정통부, 2023년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약 5,600억 투자 확정

- 합성생물학 분야에 760억 투입

◉︎ 정부는 올해 첨단 뇌과학,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등 미래 유망한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594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 핵심산업육성(1,689억 원), 미래유망기술확보(1,225억 원), 국민건강증진(1,394억 원), 연구·활용 생태계 구축(1,285억 원) 등을 사업 축으로 진행

- 더불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국산 신약 개발에 총 571억 원을 투입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플랫폼 고도화 및 구축 등 혁신 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을 계획

- 의료기기(656억 원)와 재생의료(462억 원)을 투자해 재생의료를 대비하기 위한 줄기세포 데이터(ATLAS)를 사전 구축 예정

◉︎ 합성생물학을 미래유망기술 분야로 꼽아, 관련 분야에 760억 원을 투입하고,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난치성 질환과 항암 치료의 원천기술개발에도 56억 원을 투자할 계획

◉︎ 또한,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서 감염병과 뇌과학 분야에 1,394억 원을 투자하고 백신 개발에 필요한 기초원천 연구와 생물안전도 3등급(BL3) 시설 확충

◉︎ 바이오 분야에 AI·빅데이터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국가의 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지원할 예정

출처 : 머니투데이, 23.01.03


2) 생명연, 국내 출연연 최초의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 바이오 분야 신기술로 주목받는 합성생물학은 생명과학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등의 공학적 기술을 더해 생명체 구성요소를 설계, 제작, 합성하는 기술로,

- 합성생물학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 ‘바이오파운드리’는 바이오산업에 중요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 가속화를 가능하게 함

◉︎ 유전자증폭 장비, 시료 분사 장비, DNA 자동추출 장비 등 여러 장비를 통합해 자동화 시스템 구축, 대량 생산까지 도움

◉︎ 바이오파운드리는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 속도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이지만, 개별 기업이 고가의 장비를 사들여 자동화한 인프라를 갖추기는 어려운 실정

◉︎ 대기업의 경우 자체 바이오파운드리를 운영하기도 하나, 정부 출연연구기관이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한 것은 생명연이 최초 사례로,

-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와 함께 자동화 실험 장비를 만들기도 하고 기존 실험장비에 머신러닝을 적용하거나 데이터를 저장·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힘

◉︎ 후발주자인 한국은 향후 구축될 국가 공공 바이오파운드리를 활용하는 데도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 환경오염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박테리아 개발 등 한국이 강점을 보이는 대사공학, 유전자회로 기술을 합성생물학에 적용해 선도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

출처 : 동아사이언스, 23.01.20


3) 생명연, 항생제 없이 바이오 제조공정 유전자재조합 세포 선별

◉︎ 유전자재조합 기술은 특정 유전자 배열 순서를 바꾸거나 다른 유전자와 조합을 통해 만든 새로운 유전자를 '플라스미드'라는 데옥시리보핵산(DNA) 운반체에 싣고, 이를 적절한 숙주 세포에 넣어 유용한 물질을 대량생산하는 것으로,

- 이 기술은, 최초의 바이오의약품인 인슐린을 대장균으로 만들었고, 바이오 화합물, 효소, 단백질 의약품 등의 다양한 바이오원료를 생산

◉︎ 항생제 선별법을 통해 플라스미드를 선별하지만, 항생제 저항성 돌연변이 발생과 이에 따른 알레르기 반응 유발, 제조 단가 상승 등의 단점을 보유

◉︎ 생명연 이대희 센터장 연구팀은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항생제 없이 바이오 제조 공정에 사용할 유전자재조합 세포를 고감도로 선별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힘

◉︎ 플라스미드 선별 마커(표지자)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아닌 160 염기쌍 정도의 리보핵산(RNA)을 사용하기 때문에 DNA 백신 개발에 활용 가능

◉︎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을 무항생제 바이오 제조 공정에 적용하면 안전성을 높이고 연관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출처 : 연합뉴스, 23.01.19


4)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여 성장 방향을 바꾸는 인공 물질 시스템 개발

◉︎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연구팀에서 버섯의 성장을 모사해 스스로 성장 방향을 바꾸는 인공 물질을 개발

◉︎ 식물과 버섯이 영양분이 풍부한 곳을 탐지해 성장하는 것과 식물의 화분관과 뿌리털의 세포, 곰팡이는 모두 끝 부분에서만 성장이 이루어진다는 특성을 고분자 용액의 ‘비용매 유도 상분리 현상(NIPS)’*과 결합해 적용

* 고분자를 용매에 녹이고 비용매(상온에서 액체인 유기 화합물)에 가라앉힌 뒤 용액의 조성 변화로 고분자를 침전

◉︎ 기존 외부 자극 반응 시스템과는 달리 인지 및 연산 과정을 배제하고 스스로 성장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 적용 범위가 넓을 것으로 예상

◉︎ 성장 방향 조정을 통해서 물질을 이송하는 관 혹은 회로 연결 전선으로 활용, 물과 섞이는 액체를 유출 없이 수송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확인

◉︎ 스스로 환경을 탐사하고 물질 이송까지도 가능한 만큼 극한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동아사이언스, 23.01.0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1

2.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2

3.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3

4.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4

5.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5

6.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6

7.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7

8.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8

9.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09

10.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10

11.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023.11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