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3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23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발행일 2023-12-26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이현희 ( 042-879-8368 / lhh0301@kribb.re.kr )
  • 조회수 2649
  • 첨부파일

개요

2023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23년 하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목차

  • 1.Bio-inspired 기술 효소의 구조를 모방한 합성 촉매(높은 효율로 메탄을 메탄올로 전환)

  • 2.서서히 밝혀지는 사이키델릭 의약품의 메커니즘 

  • 3.ISSCR 2023을 통해 본 줄기세포 R&D 트렌드 

  • 4.단일세포 수준에서 단백질 합성의 공간 아틀라스 (Spatial Atlas)를 생성하는 분석기술 개발

  • 5.더 싸고더 효과적인 비만치료제의 게임체인저 

  • 6.새로운 발견을 이끌 우리 몸 속 세포 지도(아틀라스) 

  • 7.GUINEA PIGBOTS : 행동 연구에서 AI 챗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 8.유전체편집기술로 질병 저항성과 생산량이 증가된 벼품종 개발 

  • 9.美 OSTP, 미래 바이오 인력 구축을 위한 바이오기술 및 제조 일자리 경로 확대 계획 수립  

  • 10.Human Virome Program(HVP), 미국 NIH Common Fund의 새로운 프로그램

  • 11.고성능 프라임 에디터(유전자가위)를 설계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 12.2년 내에 치료법을 발굴하는 ARPA-H의 첫 번째 프로그램, NITRO 

  • 13.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를 돕는 조절 T세포

  • 14.미국 NIH의 체세포 유전체편집 프로그램 (Somatic Cell Genome Editing, SCGE) 2단계 진입 

  • 15.합성배아(배아모델)의 티핑 포인트를 준비하기 위한 논의 필요성 제기

  • 16.노년에 발생할 수 있는 치매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까? 

  • 17.발생 중인 인간 배아의 실시간 이미징 분석 

  • 18.전기 자극에 의한 유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인슐린 임플란트 

  • 19.키메라 배아로 돼지에서 인간화 신장 배양

  • 20.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 21.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을 위한 뇌 바이오-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계획 

  • 22.암 전이와 관련된 새로운 유형의 줄기세포 발견 

  • 23.2023년 상반기 국내 VC 투자 및 특례상장 기업 현황

  • 24.이식형 생체전자 시스템을 통한 장기 이식 거부반응 모니터링 

  • 25.mRNA 코로나 백신 개발에 기여한 2명의 과학자,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 26.망막 이미지로 안질환과 파킨슨병 위험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개발 

  • 27.뇌질환 커뮤니케이터두개골(skull) 골수세포 

  • 28.알파폴드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AFDB)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 29.글로벌 바이오제약산업 2023 프리뷰 및 2028 전망 

  • 30.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스페르미딘(spermidine) 

  • 31.유전체의 절반 이상이 합성 DNA인 효모 균주 

  • 32.미국 NSF의 TIP 본부기초연구 성과의 Lab to Market 촉진 노력 

  • 33.영국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 34.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 35.유선의 화학적 시냅스가 아닌 무선의 뉴로펩타이드 신경망이 새롭게 발견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