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3년 BioINpro 모음집

2023년 BioINpro 모음집

  • 발행일 2023-12-26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이현희 ( 042-879-8368 / lhh0301@kribb.re.kr )
  • 조회수 3627
  • 첨부파일

개요

2023년 BioINpro 모음집 

 

대전환 시대의 디지털 바이오

- 2022년 바이오미래포럼 주요 내용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한 이후, 첨단 과학기술은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봇 등 첨단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대전환’은 일상생활부터 사회 전 분야에서 이뤄지는 추세다. ‘과학’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우주·항공, 물리, 화학 등 다양한 과학연구에서도 첨단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이제 당연한 것이 됐다.

  반면 국내 ‘생명과학’ 연구 분야의 경우, 이런 변화의 흐름에 다소 뒤처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생명과학자는 엉덩이로 연구를 한다’는 말이 있듯, 생명과학은 오랜 시간 관찰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학문이다. 때문에 오랫동안 쌓아온 연구 노하우나 데이터, 기술을 쉽게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세계는 이미 거대한 4차 산업시대라는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파도에 탑승한 상태다. 특히 지난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시작된 ‘뉴노멀’ 시대는 가장 보수적인 과학분야인 생명과학 분야도 바꿔놓고 있다. AI는 그동안 풀지 못했던 DNA의 비밀을 찾아내고 있다. 또 수백 년에 걸쳐 쌓아왔던 막대한 양의 연구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센터에서 모든 연구자들이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되고 있다.

  이 같은 시대적 흐름을 우리나라 생명과학 연구자들 역시 주목해야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를 위해선 바이오 기술의 융합 토대 마련과 플랫폼 기술 개발, 오픈이노베이션의 활성화, 규제 선진화, 글로벌 진출 방안 마련 등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2022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개최된 ‘2022 바이오 미래포럼’에서 국내 생명과학분야 전문가들이 진행한 발표를 살펴보고 ‘K-바이오가 나아가야 할 혁신 방향과 도약의 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2022년 바이오 미래 포럼 이슈

대전환 시대의 디지털 바이오 - 2022년 바이오미래포럼 주요 내용

.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바이오 성과전시 주요 내용

2. 생물학적(효소적플라스틱 분해 연구동향 

생물학적(효소적플라스틱 분해 연구동향

웰니스 바이오융합생체소재 개발 동향 및 전망

3. 2023년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동향

2023년 국내 BT 투자 및 정책동향 첨단 바이오 육성을 통한 바이오 강국 도약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4. 디지털바이오 대전환

. (특집) 2023년 CES 참관 후기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중심

디지털 바이오를 위한 데이터 스테이션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 의료

5.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 AI 기반 인공단백질 설계 개요 및 연구동향

개인 맞춤형 암백신 현재와 미래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6.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대체육 생산의 고도화 (Advancement of technology for producing alternative meat)

미세플라스틱의 특성과 생체영향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7. 바이오 제조 행정명령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과 과제

안보통상공급망 관점의 초격차 바이오 전략기술 육성 전략

8. 2023년 WG 이슈페이퍼

생물학적 CCU 기술 개요 및 주요 동향

합성생물학 핵심기술 및 활용 현황

9. 핵산치료제 연구동향

10. 바이오신약(Biologics) 

고형암 치료의 게임 체인저: CAR-M 세포치료제의 연구 및 임상 동향

신약개발을 위한 인간화마우스의 연구 동향

표적 단백질 분해기술(TPD)을 활용한 신약 개발 전략

11. 플랫폼 바이오 

단일세포 다중오믹스 분석

긴 리드 해독 기법 중심으로 살펴보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 산업 적용 가능성

12. 미세플라스틱 분석과 생체영향 연구동향

13. Biosafety의 현황 및 패러다임 변화

14. New GPT 시대의 바이오기술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및 시사점

과학기술 위크시그널과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기술다양성과 바이오기업의 수익성 간 관계

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가노이드 기술 현황(KRIBB Organoid technology)

16. 유전자편집치료제 최신동향

17. 면역제어 기술

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정밀의학으로서 신생항원 에피토프 예측기술의 중요성

18. de novo 단백질 디자인 기술의 발전 현황 II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