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24 정부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2024 정부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 발행일 2025-03-31
  • 출처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지예 ( 042-879-8388 / jiyekim@kribb.re.kr )
  • 조회수 93
  • 첨부파일

개요

2024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개요



가. 발간 개요

○ 본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24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를 취합.정리 하였습니다.

○ BT 관련 주요 연구성과를 계속적으로 취합.정리, 축적하여 연구자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BT연구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나. 대상

○ 생명공학분야 R&D 성과의 주요 부처 및 유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목차

1. 뇌 속 노폐물 청소하는 뇌척수액 배출 허브(Hub) 찾았다

2. 만병의 근원인 만성염증, 생체모사 장기칩으로 확인한다

3.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4. KBSI, 약물 내성 극복으로 암과의 ‘공존의 길’ 제시

5. 실명 유발하는 망막 질환 획기적으로 늦추는 치료법 개발

6. 오미크론 변이 따라 진화하는 면역세포, 새 변이에도 맞선다

7. 국내 최초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영상화 성공

8. 유전성 하지마비 질환의 유전자치료 기술 개발

9. 세포의 ‘식료품 창고’에서 벌어지는 일 실시간 관찰

10. 환경오염 대응하는 생체 스트레스가 내장비만 촉진

11. 베타-글루칸 주사로 면역훈련, 폐손상 막는다

12. 국내 발생 고병원성 조류독감, 인체감염 가능성 있다

13. ‘자기장’ 이용해 무선으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14. 완두가 흡수한 미세플라스틱, 열매 통해 후세대로 전달

15.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미생물 대사 과정 풀었다

16. 피부재생과 감각전달이 동시에 가능한 인공피부 개발

17. KBSI-상계백병원, 폐경기 여성에 새로운 골다공증 예방·치료제 개발 발판 마련

18. 중증하지허혈로 인한 절단 막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19. 간암 치료 장애물 ‘SIRT7 단백질’ 억제로 기존 치료제 내성 극복한다

20. 발달장애·지적장애 원인유전자 ZFX 발견

21. 뇌파 패턴 초음파로 뇌질환 치료한다

22. 단백질 ‘생산 설계도’보호하는 RNA 조절 기전 찾았다

23. 고효율 바이오에너지 생산 가능한 합성 미생물 생태계 플랫폼 개발

24. 신속한 음주진단 가능한 고성능 에탄올 센서 개발

25. 과불화화합물 종류에 따라 뇌에 다른 영향 미쳐

26. 나노소용돌이로 병원체 및 핵산 포획, 질병 조기에 잡는다

27. 오가노이드에서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기술 개발

28. 절단된 신경 ‘밴드로 감아서’ 1분 만에 치료한다

29. 두개골에 그리는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지평 연다

30. 멍게 추출 ‘항암 치료제’의 숨겨진 메커니즘 찾았다

31. 한의학연, 종양면역 치료 후보물질 발굴 이어가

32.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현장 신속진단 플랫폼 개발

33. 나일론 필수원료를 생산하는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

34. 장내미생물로 당뇨병성 인지 장애 치료한다

35. KBSI, 3차원 하이드로젤 관련 새로운 연구결과 잇따라 발표

36. 염증성 피부손상, 자가면역 유도해 깨끗하게 재생

37. 저산소증 활용한 뇌 혈류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38. 퇴행성 뇌질환의 비밀 풀어줄 열쇠 찾았다

39. 새로운 세포사멸법 ‘캐리옵토시스’규명

40. 초미세플라스틱이 자녀의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

41.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한다

42. 한의학연, 신품종 대홍산사 추출물 효능 검증

43. 뇌과학의 진화, 생각 속 ‘감정’까지 읽어내다

44. 젊어진 ‘미세아교세포’의 치매 치료 가능성 확인

45. 환각 상태의 뇌는 어떻게 다를까?

46. 오가노이드가 상처 재생을 돕는다

47. 최적의 항암제 투약용량과 기간을 계산으로 예측한다

48. 한의학연, 백선피에서 알레르기성 천식 개선 효능 확인

49. 땀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질병 모니터링 가능해진다

50. 심장 미세환경까지 구현한 미니 장기 ‘오가노이드’ 나왔다

51. 마이크로RNA를 이용한 간암 성장 제어기술 개발

52. 코로나19, 메르스, 사스 바이러스의 가지각색 감염 전략

53. 맞춤형 암 치료 가능한 암 백신의 등장 머지 않았다

54. 실시간 세포 추적 이미징으로 전이성 폐암 질환을 공략하다

55. 자폐스펙트럼장애,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56. 장내 미생물 속 단백질이 장 건강을 지킨다

57. 개인 맞춤형 정밀 의학 정확도 높일 ‘렌즈’개발

58. 헬리코박터균, 빛으로 쏘고 직접 공격해 치료

59. 과산화수소 감지로 암 진단, 신개념 조영기술 개발

60. 치료 표적 없는 비흡연 폐암 치료의 길 열린다

61. 체내에서 임무 수행하고 스스로 없어지는 다기능 소프트 의료로봇 개발

62. 식물 합성생물학 활성화 앞당길 담배 표준유전체 구축

63. 온실가스 주범 메탄·아산화질소 동시에 제거하는 습지미생물 발견

64. 한의학연,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에 한 발 더 다가서

65. 태반과 배아의 심혈관계 발달 조절 메커니즘 발견

66. 혈액 한 방울로 전립선암 진단부터 치료 예측까지 통증과 쾌락의 뇌 속 ‘교차점’ 찾았다

67.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 두뇌 발달의 ‘열쇠’ 찾았다

68. 통증과 쾌락의 뇌 속 ‘교차점’ 찾았다

69. 새로운 나노입자 개발, mRNA 백신의 안전성 높인다

70. 곤충의 산소전달, 기존 학설 뒤엎는 새로운 발견

71. 공기 중 이산화탄소로 지구 살리는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한다

72. 코로나19 바이러스 빠른 대량 증식 원리 신규 규명 및 치료 후보물질 확대 가능성 제시

73. 자기장으로 뇌 자극해 행동·감정 조절에 성공

74.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75. 뇌세포 속 우체국, ‘골지체’ 작동시키는 핵심 이온 채널 밝혔다

76. 한의학연, 한약재 효능 강화하는 신가공포제 기술 개발

77. 아침형·저녁형 수면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규명

78. 항암 치료 시, 심근장 독성 유발하는 새로운 치료 타깃 발굴

79. KIST, 폴리에틸렌 생분해 효소 개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실현 앞당긴다

80. DNA 손상복구의 비밀, ‘손상우회 스위치’ 찾았다

81. 한의학연, 유사 효능 한약재의 복합 처방 근거 밝혀

82. 새로운 세포 청소부, 뇌 속 별세포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가능성 높인다

83. 의료 낙후지역에서도 HPV를 손쉽게 진단한다

84. 표준연, 국내 대학병원과 함께 환자 부담 덜어줄 질병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

85. 비브리오균이 면역체계를 무력화하는 기전 규명

86. 신약 후보 물질 합성의 새로운 전략 제시

87. 항암제 내성 생긴 흑색종, 그 원인 찾았다

88. 조연에서 주연으로, ‘혈관’의 화려한 등장

89. 뇌질환 치료의 전환점, 전자패치-초음파 기반 전자약으로 맞춤치료

90. 단백질 밸런스 강화해 노화 진행 막는다

91. 통증의 비밀 : 통증 예측과 외부 자극이 통합돼 나타나

92. 도파민과 유사한 DA-HA의 ‘저독성’ 확인해

93. 말기콩팥병 부르는 당뇨병콩팥병 원인 밝혀냈다

94.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 바이오프린팅 생산성 높인다

95. 전염병 확산 예측하는 더 정확한 수학 공식 나왔다

96. 과불화화합물(PFAC), 저농도에서‘갑상선암’전이 유발시켜

97. 뇌의 타고난 순간 의사 결정 돕는 뇌 회로 원리 규명

98. 고무처럼 유연한데 자동차 무게 견디는 인공근육

99. 뽕나무 추출물로 암세포 성장을 저해한다

100. 성별 특이적인 자폐 연관 유전자 발굴

101. 탈모 치료하는 양자점-OLED 패치 나왔다

102. 유전자가위 기반 고감도 암 진단 플랫폼 개발

103. 차세대 신약 엑소좀 치료제 임상 속도낸다

104. 한의학연, 태반 추출물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완화 효능 찾아

105. 헬리코박터균 감염 치료 후보물질 발굴

106. 고품질 오가노이드의 대량 생산 기반 기술 확보

107. 웨어러블 기기로 내일 기분 미리 안다

108.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의 후성유전학적 변화 규명

109. 3대 실명 질환 황반변성, 주사 대신 점안제 형태의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110. 심혈관 질환의 스텐트 시술 부작용, 새로운 레이저 패터닝 기술만으로 해결한다

111. 잘 찢어지지 않는 자가치유 소재 개발

112.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타우단백질 제거 기전 규명

113. 방광암 조기 진단, 이제 집에서도 간편하게

114. 리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의 새로운 열쇠 될까

115. 교모세포종의 항암제 내성 극복할 단서 찾았다

116. ‘플라스틱 환경지킴이’가 될 꿀벌부채명나방

117. 알칼리 이온의 재발견, ‘구경꾼’ 오명 벗었다

118. 수학적 알고리즘으로 생체 반응의 숨겨진 코드를 풀다

119. 실내 곰팡이독소가 반려동물 아토피 악화시킨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