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일본 문부과학성, 게놈의료 실현을 위한 바이오뱅크 활용 추진 등
- 등록일2017-09-04
- 조회수6402
- 분류종합 > 종합
-
종류
Conference
- 원문링크
-
발간일
2017-09-04
-
키워드
#동향#미국#유럽#중국#일본
- 첨부파일
[Trends No.2] BioINglobal 글로벌 동향 보고서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해외 각국의 보고서 및 언론기사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시각으로 집필한 원고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Ⅰ. 미 국
1. 유전체학 기반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새로운 항암제의 승인 및 병용치료 확대
□ 차세대 항암제, 면역항암제 병용치료 확대
□ 신약개발에 유전체 정보의 활용 확대, 정밀의학으로 이행
2.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원 연구비 운용 계획 조정
□ NIH 신진연구자, 중견연구자 연구비 혜택 조정
□ 소수의 기관이 NIH 의 알짜 연구비 수혜를 받고 있는 실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 (Relatively few NIH grantees get lion’s share of agency’s funding)
Ⅱ. 유 럽
1. EU의 Horizon 2020 projects –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48억 유로 (약 80조원)투자
□ EU의 과학 기술 연구 분야 투자 역사
□ Horizon 2020 계획 (과학 기술 혁신 계획) 추진
□ 연구과제 선정 기준 및 연구비 지원 절차
□ 연구과제 관리기관 현황
□ 투자 성과
2. 생명공학 핵심기술의 역량 강화 극대화 워크숍 보고 : Maximising the impact of Key Enabling Technologies (KET) Biotechnology
□ 워크숍 개최 : European Commission (EC)의 연구혁신국(Directorate 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주관
□ 핵심생명공학 프로젝트 현황 (HORIZON 2020 Biotechnology)
□ 프로젝트별 연구 목표 (Research and Innovation Action Scheme, 17과제)
□ 프로젝트별 연구 목표 (협력 및 지원, ERA-NET 공동지원 분야 4과제)
3. EU의 H2020 후속 프로그램의 차기 예산 두 배 증액 요구 – 단순 명료, 친 시민적인 포스트 2020 제안
□ 2021년부터 시작되는 차기 과학 연구 지원 프로그램 (Framework Programme Nine, FP9)의 예산 2배 증액 요구
4. 옥스포드에서 떠오르는 톱 10 바이오벤쳐 회사들
□ “Golden Triangle”, 캠브릿지·런던·옥스퍼드를 연결한 영국의 생명공학산업의 중심
Ⅲ. 중 국
1.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에너지 발전 방안
□ 바이오 에너지 발전 규모 및 전망
2.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 간쑤성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 길림성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 대련시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 산시성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 광시자치구 보건의료 시스템 개혁
Ⅳ. 일 본
1. 의료분야 R&D 추진, 30개 사업에 총 153억 엔 배정, 생명과학 분야 최대
□ 일본 건강·의료전략추진본부1)는 2017년 의료분야 연구개발 관련 예산으로 확보하고 있는 조정비 175억 엔 중에서 153.3억 엔을 30개 사업에 배분하기로 결정
□ 의료분야 연구개발관련 조정비는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배분하는 예산 중 하나로 AMED에서 검토방침을 정함
2. 문부과학성, 게놈의료 실현을 위한 바이오뱅크 활용 추진
□ 일본 문부과학성은 제4차 ‘게놈의료 실현을 위한 연구기관의 충실·강화에 관한 검토회’를 개최하고, 바이오뱅크 활용 추진을 위한 국가정비를 결정
3. 일본, ‘미래투자전략 2017-Society 5.0 실현을 위한 개혁’ 발표
□ 일본에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고 관련 기술들을 활용한 사회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한 ‘미래투자전략 2017’을 발표
□ ‘건강수명 연장’을 첫 번째 전략 분야로 제시, 4차산업혁명 관련 기술적 혁명을 통해 고령화 시대 대비를 추진
□ 미래투자전략 2017의 의의 및 전망
...................(계속)
BioINglobal은 해외의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시각에서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