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바이오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하는20대 이슈 등
- 등록일2018-05-16
- 조회수9053
- 분류종합 > 종합
-
종류
Conference
- 원문링크
-
발간일
2018-04-30
-
키워드
#BioINglobal#바이오 이슈#바이오
- 첨부파일
[Trends No.9] BioINglobal 글로벌 동향 보고서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해외 각국의 보고서 및 언론기사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시각으로 집필한 원고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작성자 : 김정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보스턴대학 방문연구원)
[내 용]
Ⅰ. 바이오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하는20대 이슈
Ⅱ. BIO 대표가 미 하원에서 바이오혁신생태계에 대해 증언
Ⅲ. 보스턴 바이오도 버블인가?
Ⅰ. 바이오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하는20대 이슈
○ 바이오분야 이슈도출을 위한 7단계 호라이즌 스캐닝(Horizon scanning)
*출처: Wintle et al. eLife 2017;6:e30247. DOI: https://doi.org/10.7554/eLife.30247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번역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A transatlantic perspective on 20 emerging issues in biological engineering)
1. 목적
바이오(Biological engineering)는 실생활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학에서부터 생물학적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아이디어와 기술을 응용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합성생물학, 특히 유전자교정 기술에서의 진보가 바이오의 역량을 크게 높였다. 마치 정보기술과 로보틱스 분야와 같은 진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진보로 인해 생기는 문제와 기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보들을 모으고,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매기는 시스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호라이즌 스캐닝(Horizon scanning)은 다양한 정보원천을 필터링하여 어떠한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약한 신호를 찾아내는 하나의 방법이다(Amanatidou et al., 2012; Saritas and Smith, 2011). 호라이즌 스캐닝은 또한 초기 단계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는 이슈들이 잘 드러나게 한다. 따라서 연구자, 기업가, 정책결정자들이 미래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유형의 미래 예측방법들은 서로 다른 분야의 사람들을 모아 한 분야의 연구가 다른 분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 예를 들어, 자연보존가(conservation practitioners)들은 2012년에 합성생물학이라는 말을 거의 들어본 적도 없었지만 2013년에 자연보존가들과 합성생물학 전공자들이 2013년에 함께 모여 합성생물학과 보존이 미래 자연이 어떻게 될 것인가를 논의했다(Redford et al., 2013). 같은 해에 호라이즌 스캔으로 자연보존학계에서 관심을 가질만한 새롭게 부상하는 이슈(Sutherland et al., 2014)로 유전자 교정을 이용하여 외래 종이나 질병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감지했다. 그 이후 CRISPR/Cas9를 이용하여 질병을 매개하는 모기(Adelman and Tu, 2016)와 외래 종(Esvelt et al., 2014)을 통제하는 연구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여기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나 응용이 호라이즌 스캐닝을 통해 우리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의 산물이라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슈가 널리 알려지기 전에 해당 커뮤니티가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혁신이 수반하는 잠재적인 위험이나 기회를 연구하고 관리할 전략을 개발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해 우리는 더 모험적인 예측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몇 가지 기술적 장애들이 남아있다. 예상치 못한 돌파구가 연구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어떠한 방향은 나아가기에 너무 위험할 수도 있다. 우리는 또한 다양한 분야의 이슈 전체를 조망하다보면 깊이가 부족하다는 것도 인정한다. 그래서 우리는 소화할 수 있을 만큼의 요약본과 이슈와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 해당 이슈에 대해 더 탐구할 수 있는 출발점을 제공한다. 우리는 여기 제시된 각 이슈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위험과 기회와 같은 시사점을 요약하려고 한다.
이러한 미래예측 활동이 미래에 유용하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이와 비슷한 구조로 남극 과학에 관한 호라이즌 스캐닝을 한 결과로 혁신기술, 물류, 인프라, 국제협력의 윤곽을 제시하는 로드랩이 작성되었다(Kennicutt et al., 2014). 이 결과는 이후 국가 프로그램의 투자를 유인하는데 사용되어 왔다(National Academies, 2015). 이와 유사하게 영국의 자연환경연구회(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는 보존 분야에서 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매년 호라이즌 스캐닝을 해오고 있다(Sutherland et al., 2014 등 참고)
한번의 호라이즌 스캔은 단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 첫 걸음에 불과하다. 몇 번 더 스캐닝을 하여 얻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유용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