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미국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전략계획 등
- 등록일2018-07-24
- 조회수7314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종류
Conference
- 원문링크
-
발간일
2018-07-24
-
키워드
#미국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유전자 시퀀싱#DNA#NHGRI
- 첨부파일
[BioINglobal No.11] BioINglobal 글로벌 동향 보고서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해외 각국의 보고서 및 언론기사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시각으로 집필한 원고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작성자 : 김정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보스턴대학 방문연구원)
[내 용]
Ⅰ. 미국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전략계획
Ⅱ. 유전자 시퀀싱이 의약품의 미래
Ⅲ. 미래 도서관은 DNA로 만들어질 것이다
Ⅰ. 미국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전략계획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번역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En Route to a “2020 Vision for Genomics”: The Next Round of NHGRI Strategic Planning)
1. 배경
○ 1990년 10월 1일 출범한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2018년 2월 10,000일이 경과함
○ 10,000일 동안 유전체학은 상당히 발전하여 성숙단계에 접어듦
○ NIH, 민간부문, 그리고 전세계에서 바이오메디컬 연구의 모든 분야에서 유전체학이 이용되고 있음.
○ 유전체 의학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고, 향후 10년 내에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NHGRI는 지난 10,000일 동안 유전체학을 선도해 옴.
○ 하지만 NHGRI는 더 이상 유전체 연구의 메이저 펀딩기관이 아님.
2. 1부 : NHGRI의 정체성 재설정 - 유전체학 생태계에서 NHGRI의 현 위치
정의하기
가. 수립 프로세스
○ 범 NHGRI 차원에서 운영팀(steering team)을 설치함
○ 내부직원 의견 수렴 : 40명 인터뷰(모든 보직자 및 모든 부서)
○ 외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 학계, 산업계, 정책, 병원 등 관계자
○ 유사 기관 분석
나. NHGRI의 주요 성과
○ 유전체학의 발전 가속화
- NHGRI는 유전체학이 시작된 시점부터 지금까지 통합적 리더십을 발휘
○ NHGRI는 학습, 협력, 지원의 모델
- 세계 수준의 학제적 연구그룹들이 복잡한 생물학적 난제들을 다루고 있음.
- 팀 문화가 NIH에서 협력을 촉진시켰고, 바이오메디컬 연구의 문화를 바꿈.
- NHGRI는 물론 전체계 연구기관에서의 중요한 프로젝트에 연구비를 제공
- 유전체 연구성과를 질병치료로 연결할 수 있는 도구와 데이터를 공유하여 이 분야의 발전을 촉진
○ 환자치료 향상 : NHGRI는 환자를 진료하는 최전선에서 일상적인 환자치료에 유전체학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음.
- 헬스케어 전문가들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 희귀 및 통상 질환(common disease)을 연구하고, 유전체학 기반에서 질병에 대한 지식을 넓히기 위한 파트너십을 형성
- 이전에는 병명이 알려지지 않았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함으로써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