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혁신신약 발굴을 위한 학계-제약기업 파트너십 : 필수인가, 선택인가 등~
- 등록일2018-08-24
- 조회수655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종류
Conference
- 원문링크
-
발간일
2018-10-26
-
키워드
#신약#제약#바이오제약기업
- 첨부파일
[BioINglobal No.12] BioINglobal 글로벌 동향 보고서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해외 각국의 보고서 및 언론기사 등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시각으로 집필한 원고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작성자 : 김정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보스턴대학 방문연구원)
[내 용]
Ⅰ. 혁신신약 발굴을 위한 학계-제약기업 파트너십 : 필수인가, 선택인가
Ⅱ. 데이터 기반 평가 : 제약 파트너십 성공의 열쇠
Ⅲ. 오픈 이노베이션 모델 실행하기 : 협력이 바이오제약기업의 경쟁력의 열쇠
Ⅰ. 혁신신약 발굴을 위한 학계-제약기업 파트너십 : 필수인가, 선택인가
*출처: Michelle Palmera and Rathnam Chaguturub
EXPERT OPINION ON DRUG DISCOVERY, 2017, VOL. 12, NO. 6, 537-540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번역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Academia-pharma partnerships for novel drug discovery: essential or nice to have?)
https://doi.org/10.1080/17460441.2017.1318124
1. 도입
제약산업은 개발 비용은 계속 증가하는데 반해 R&D 생산성은 크게 낮아지는 위기에 처해 있다. 반면, 많은 핵심 의약품들은 특허만료를 앞두고 있다. 타겟 검증에서부터 선도물질 선정까지 초기 발굴연구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혁신 신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신약개발에 10년 이상이 걸리고 실패율은 95%가 넘는다.
이렇게 지속가능하지 못한 모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약기업들은 신약발굴에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것이 학계와 제약기업 간의 보다 강력한 협력이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제약기업이 학계에 지원하는 연구도 선별된, 호기심 기반의, 질병 생물학 프로젝트에서 치료제 개발을 더 중요시하는 대규모 통합 프로그램으로 바뀌었다.
제약기업들은 또한 혁신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기초연구가 강한 지역에 지역/글로벌 과학 허브를 구축했다. 협력에 참여하는 학계 연구기관이나 기업의 특정 니즈에 따라 연구과제(그랜트, 수탁과제)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모델을 통해 협력이 이루어진다. 과제계약시 논문, 로열티 계약, 지식재산권 등의 조건을 결정한다.
하지만, 학계 과학자는 기업지원 연구가 시장 지향적이고 기초과학과 학문의 자유를 저해한다고 경계한다. 기업의 연구과제 지원이 치료제 개발 중심으로 바뀐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과 함께 우려도 있다. 학계 과학자들에게 연구과제의 과학적 가치와 기업의 시장가치 간의 불일치는 좁혀지기 어려운 간극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픈 이노베이션은 지난 수년 동안 견고하게 자리 잡았고, 제약기업 R&D 활동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었다. 기업 내부에서 혁신이 일어난다는 생각에서 전략적으로 새로운 지식재산을 외부에서 도입한다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문제가 공유되면 해결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