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바이오산업 베이비붐 등
- 등록일2019-06-27
- 조회수5280
- 분류종합 > 종합
-
종류
Conference
- 원문링크
-
발간일
2019-06-27
-
키워드
#바이오산업#독일 윤리위원회#인간 유전자편집
- 첨부파일
[No.46 BioINglobal] 바이오산업 베이비붐 등
차민경 글로벌 통신원
(기술경영경제정책 석사)
[Contents]
Ⅰ. 바이오산업 베이비붐
Ⅱ. 독일 윤리위원회, 인간 유전자 편집에 개방적인 입장 표명
[No.46-1 BioINglobal] 바이오산업 베이비붐
출처: Nature, 2019.05.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Biotech’s baby boom)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7-019-0112-4
<요약>
➊ 2018년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가 많이 일어남. 초기 자금, A라운드 투자 또는 첫 자금 조달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며, 투자자와 바이오기업 간 많은 티켓 거래(ticket deals)가 일어남.
➋ 회사 설립부터 IPO로의 빠른 전환이 많았으며, IPO를 통해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였음
➌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활용한 바이오 기업에 많은 자금 조달이 이루어짐.
➍ 아시아 투자자들 및 아시아 기업에 대한 투자가 주목할 만함.
- 2018년 다양한 요인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가 많이 일어남.
- 민간 기업은 전년보다 더 많은 자금을 조달했으며, 가용 가능한 전체 주식 자금 규모는 23억 240억 달러에 달해 2017년보다 50% 증가함
□ 베이비붐
- 초기 자금, A라운드 투자 또는 첫 자금 조달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
- 해마다 바이오기업 밴처 라운드의 총수는 2010년 이후 두 배로 늘어난 반면, A라운드 투자의 수는 같은 시간 동안 절반 이상 증가하는데 그침. 하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투자자들이 초기 자금조달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것이 아님. 오히려 2010~2012년에는 라운드 벤처 투자에서 모금된 평균 금액이 약 800만 달러였고, 2017년에는 두 배였으며 2018년에는 거의 세 배인 2,100만 달러로 증가하였음...................(계속)
[No.46-2 BioINglobal] 독일 윤리위원회, 인간 유전자 편집에 개방적인 입장 표명
출처: STAT News, 2019.05.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German ethics council expresses openness to eventual embryo editing)
https://www.statnews.com/2019/05/13/germline-editing-german-ethics-council/
<요약>
➊ 독일의 윤리위원회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배아나 생식세포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것에 개방적인 입장을 표명함.
➋ 윤리위원회는 유전자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목표로 생식 세포의 유전자 변형이 이루어진다면 정당한 윤리적 목표라고 언급함.
➌ 그간 독일이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거나 우생학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경계해왔기에 윤리위원회의 생식 세포 변형에 대한 입장은 주목할 만함.
- 최근 독일의 윤리 위원회(German Ethics Council)에서 인간 생식세포(human germline)은 “불가침(inviolable)” 하지 않다고 만장일치로 동의했으며 인간 배아, 정자 또는 난자의 DNA에서 유전적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CRISPR와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을 거부하였음.
- 또한,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11월 중국의 한 과학자가 CRISPR를 이용하여 2개의 체외수정 배아의 유전자를 변형한 사실은 인간 생식계에 보다 쉽고 정확하게 개입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발표하였음.
- 26명의 윤리학자, 법학자, 과학자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인간의 생식 세포 변형에 있어 설득력 있는 철학적 주장은 없다고 만장일치로 동의했지만, 윤리적으로는 무책임하다고 결론지음...................(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