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

백신 전망(1) : 글로벌 백신 개발 현황

  • 등록일2020-02-18
  • 조회수6709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종류
    Conference
  • 발간일
    2020-02-18
  • 키워드
    #백신#글로벌 백신
  • 첨부파일

 

[No.55 BioINglobal] 백신 전망(1) : 글로벌 백신 개발 현황



작성자 : 유향숙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명예연구원)


 

출처: Nature Outlook 2019. 11. 28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Vaccines ;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3635-9,  )
          Arming the immune system ;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3636-8)
          Research round-up : Vaccines ;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9-03637-7)

 

 

<개 요>


● 백신은 일반적인 건강 유지에 주는 유익한 점이 마치 안전한 수돗물을 먹는 것처럼 인간의 보건의료 측면에서 그 영향력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백신을 제때에 사용하는 것이 아직 완전하지 않아 매년 2백만~3백만명이 감염병으로 생명의 손실을 발생하고 있다. (WHO 예측)


●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감염병들이 수없이 많고, 특히 어린이 및 노인들은 백신의 효과가 약해 현재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생명을 잃고 있다.


● 모기 및 기생충에 의한 감염 질병(예;말라리아)에 대한 백신 개발은 아직은 어렵고 불완전하여 이를 해결하는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


● 백신 접종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 그룹들로 인해 적절한 백신 접종이 거부되고 있어 질병 퇴치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 백신을 둘러싼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전망에 대한 논의가 GlaxoSmithKline plc의 후원으로 수행되어, 그 내용이 Nature Outlook (2019.11.28.) 발표됨

 

 

 

1. 면역체계 및 백신 현황

 

□ 면역체계(IMMUNE SYSTEM)


○ 1796년 제너(Edward Jenner)가 최초로 천연두(small pox)에 대한 백신을 개발한 이래 많은 질병들을 위한 백신이 개발되어 수 백 만명의 생명을 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감염병(예; HIV, SAS, MERS 등)을 정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 백신은 경구, 비강 또는 주사로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된 백신은 면역 반응을 자극하여 신체가 동일한 병원체에 대해 신속하게 방어할 수 있도록 한다.


○ 면역 체계는 1) 외부에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분자들인 항원이 생체 내 혈액으로 유입되면, 2) 생체 내에 항원-표시하는 세포(antigene-presenting cell, APC)가 이를 잡아 소화시켜 이 중 일부를 APC 세포의 표면에 제시한다. 3) 이 APC가 면역 세포 클러스터(Immune celI cluster) 쪽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T-helper 세포를 활성화 시켜 Killer–T 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B 세포를 성숙시킨다.


○ 4a) Naive killer-T세포는 그 항원에 특이적인 활성화된 killer-T세포가 된다. 5a) 만약 백신이 세포에 감염된 살아있는 약화된 바이러스를 포함한다면 Killer-T 세포가 이를 타겟으로 하여 이 세포를 파괴시킨다. 이 세포는 memory killer T 세포가 된다
- 4b) Naive B 세포는 T-helper 세포 또는 항원에 의해 직접적으로 활성화되어 이 항원에 특이적인 혈장 B 세포가 된다. 5b) 혈장 B 세포는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고, 이들이 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고 항원이 Killer-T 세포에 의해 파괴되도록 한다. 이 세포는 Memory B 세포가 된다.
- 이에 백신을 맞은 사람들이 이러한 항원(병원균)을 다시 만나게 되면, 이 memory 세포들은 신체로 하여금 좀 더 빨리 강하게 방어하도록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