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

EU 바이오경제전략의 진행현황 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 등록일2023-04-05
  • 조회수3221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종류
    Conference
  • 발간일
    2023-04-05
  • 키워드
    #바이오경제전략#EU
  • 첨부파일

[BioINglobal No.68]

EU 바이오경제전략의 진행현황 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작성자 김경남 (KIST Europe 방문연구원)




출처: European Commission. 2022. 6.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European bioeconomy policy : stocktaking and future developments : report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22, https://data.europa.eu/doi/10.2777/997651)



 

◈ 목차

1. 개요

2. 바이오경제란 무엇인가?

3. 유럽 바이오경제 발전 현황

4.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관련 EU 바이오경제 전략 목표

5. EU 바이오경제 전략 실행계획에 따른 바이오경제 활동의 진행 상황

6. 바이오경제 기회를 열기 위한 제언

7. 결론

 

 

◈본문

요약

 

○ EU는 유럽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을 통해 2050년까지 기후 중립이 되는 것을 목표로 인류와 지구를 보호하고 번영을 가져오겠다는 비전을 설정함

환경건강웰빙에 초점을 맞추고 현대적이고자원효율적이며경제체제의 번영과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경제의 모든 부문에 걸쳐 심층적이고 광범위한 전환 조치가 필요

○ 유럽 이사회는 유럽 집행위원회에 ‘EU 2018 바이오경제 전략의 이행에 대한 진행 보고서를 제공하고 2022년까지 전략 및/또는 그 실행 계획의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할 것을 요청

○ 바이오경제 전략은 기후 중립성과 환경경제 및 사회적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 바이오경제는 생태계 서비스를 포함하여 생물 자원을 생산사용처리배포 또는 소비하는 모든 부문과 관련 서비스 및 투자를 포함이는 유럽 그린딜 이행의 자연스러운 과정이자 결과임


바이오경제 정책은 정책 일관성을 개선하고 토지 및 바이오매스 수요와 같은 상충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교차 부문적인 관점을 취함

바이오경제 정책은 환경경제사회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지속가능성을 모두 아우르는 바이오경제 구축에 기여함

(1) 환경생태적 경계 내에서 토지와 생물 자원의 관리

(2) 경제지속 가능한 가치 사슬과 소비

(3) 사회사회적 공정성과 공정한 전환(just transition)

- 2018 바이오경제 전략은 부문별 정책을 보완하고 국가와 지역들이 도전과제와 기회에 따라 전환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비규범적이고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프레임워크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 본 진행 보고서는 바이오경제 전략의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줌

많은 국가/지역 바이오경제 전략이 부문 간 협력과 지속가능성 원칙을 촉진하고 바이오경제 혁신에 투자하고 있음

- EU 펀딩과 신규 포럼/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중부/동부 유럽 국가에서 바이오경제 전개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식품 및 기타 바이오 기반 산업에서 민간 투자와 연구/혁신이 증가하며 유망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음유럽은 바이오 기반 화학 물질 및 재료의 세계 시장에서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 또한 본 검토보고서에서는 현재 실행 계획과 목표 간 추가 조치가 필요한 격차(gap)를 식별하였음

첫째기후 중립적인 유럽에서 환경 및 경제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토지 및 바이오매스 수요를 보다 잘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 증가

둘째환경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비 패턴을 위해 노력

○ 유럽의 친환경적이고 공정한 전환에 기여하기 위해 바이오경제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

- EU 바이오경제 전략은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동 계획의 지속적인 실행은 생물 자원의 더 나은 관리와 지속 가능한 소비 패턴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춰야 할 것임


보고서 소개

 

○ 유럽은 세계적으로 바이오경제(Bioeconomy)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지역으로 관련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바이오경제 시스템이 정착·보급되는 과정

본 보고서는 ‘EU 2018 바이오경제 전략 3대 실천계획 및 14개 주요활동* 대해 현 시점(2022년 6)의 진행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공

 

<‘EU 2018 바이오경제 전략’ 3대 실천계획 및 14개 주요활동>

1. 바이오 기반의 규모 확대 및 강화
(Scaling up and strengthening the bio-based sectors)

 

유럽경제와 산업의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바이오경제의 잠재력 발휘 노력 추진

① 지속가능한 바이오기반 솔루션의 개발 및 파급에 이해관계자의 참여

② 1억 유로(100 million)의 순환형 바이오경제 테마 투자 플랫폼 런칭

③ 바이오기반 혁신 구현을 위한 원동력과 병목 현상 분석

④ 바이오 기반 제품의 표준라벨 및 시장 이해 촉진과 개발

⑤ 지속가능한 새로운 바이오리파이너리 개발 촉진

⑥ 바이오기반 플라스틱 대체재를 포함한 새로운 생분해성 제품 개발

2. 유럽 전역에 바이오경제를 신속하게 확산(Rapidly deploying bioeconomies across Europe)

 

중부 및 동부 유럽의 회원국들과 지역들은 충분히 이용되지 않은 대규모 바이오매스와 폐기물 해결을 위한 조치를 추진

⑦ 지속가능한 식량 및 농업 시스템임업 및 바이오 기반 제품을 위한 전략적 배치 아젠다(Strategic Deployment Agenda) 발굴

⑧ 시골해안 및 도시 지역의 바이오경제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실시

⑨ 지역 및 회원국의 바이오경제 전략 개발 지원

⑩ 바이오경제 전반에 걸친 기술 및 훈련교육을 장려

3. 바이오경제의 생태계적 경계를 이해(Understand the ecological boundaries of the bioeconomy)

 

생태계는 인구증가기후변화 및 토지 황폐화와 같은 심각한 위협과 도전에 직면생태계 이해 및 모니터링 조치를 추진

⑪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대한 지식 강화

⑫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로의 진전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EU 차원의 모니터링

⑬ 안전한 생태계적 한계 내에서 바이오경제를 운영하는 지침을 제공하고 우수사례를 장려

⑭ 1차 생산에서 생물다양성의 혜택 강화

출처 : European Commission, Bioeconomy: the European way to use our natural resources

- Action plan 2018, 2018.10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18-78(10.25) 지속가능한 유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경제 전략” 에서 재인용 (https://www.bioin.or.kr/board.do?num=282623&bid=issue&cmd=view)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