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바이오제약 R&D 생산성 혁신을 향한 방향
- 등록일2024-11-27
- 조회수1758
- 분류종합 > 종합
-
종류
-
발간일
2024-11-27
-
키워드
#바이오제약#RnD#생산성혁신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제약 R&D 생산성 혁신을 향한 방향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McKinsey&Company. 2024. 7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Making more medicines that matter), https://www.mckinsey.com/industries/life-sciences/our-insights/making-more-medicines-that-matter
【요약】
○ [R&D 생산성 저하]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은 지난 10년간 R&D 생산성 저조가 나타남 - 임상시험 성공률 하락, 신약 개발 비용 상승, 파이프라인 감소 등에서 기인 - R&D 성과는 대형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집중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는데 어려움이 있음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 R&D 생산성 향상을 위해 8가지 필수 전략을 제안 - 효과적인 자산 및 프로그램 전략, 투자 최적화, 프로세스 간소화, 외부 생태계와의 협력 강화,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차별화된 인재 모델 수립, 공급업체와의 파트너십 간소화
○ [지속적 혁신 필요성] R&D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수적 - 이를 이룬 기업만이 가시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음 - 반면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 높음
○ [외부압력에 대한 대응] 바이오제약 기업은 증가하는 외부 압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투자 전환이 요구됨 - 파이프라인 재조정, 역량 강화, 신규 파트너십 구축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이러한 대응이 성공하면 R&D 생산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기대가 업계 전반에 확산 중 |
◈ 목차
1.바이오제약 산업의 R&D 생산성 현황
2.R&D 성공을 위한 전략
3.전략 세부 사항
4.혁신을 통한 성과 개선 방향
◈본문
1. 바이오제약 산업의 R&D 생산성 현황
□ 글로벌 바이오 제약 산업은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로 인한 수익률을 제외하면 지난 10년 동안 R&D 생산성이 감소
○ 파이프라인 감소율, 개발 일정, 임상시험 비용 등 투자 대비 비용을 거의 회수하지 못함
(참조: 그림 1. 신규 분자 의약품(NME) 출시를 위한 투자 자본 수익률 추이)
- 임상시험의 성공률 하락, 신규 분자 의약품(New Molecular Entity, NME)의 시장 출시 비용 증가가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
- 업계 상위 15위 기업 분석 결과, R&D 지출과 NME 수익 사이의 큰 상관관계 없음
(참조: 그림 2. 상위 15위 기업의 블록버스터 자산 성과)
- R&D 성과는 주로 ‘블록버스터’ 의약품*이 결정하며 해당 자산이 지난 10년 동안 전반적인 생산성을 주도
*연간 매출 10억 달러 이상 의약품
(참조: 그림 3. 제품군별 R&D 생산성 점유율)
그림 1. 신규 분자 의약품(NME) 출시를 위한 투자 자본 수익률 추이
출처 : McKinsey&Company, Making more medicines that matter, 2024.7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