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 등록일2025-08-11
- 조회수715
- 분류종합 > 종합
-
종류
Conference
-
발간일
2025-08-11
-
키워드
#합성생물학#정책 과제#혁신 기회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김민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24 February 2025
https://www.oecd.org/en/publications/synthetic-biology-in-focus_3e6510cf-en.html
【요약】
○ [합성생물학 정의와 현황] - 합성생물학은 생명 시스템을 설계·재설계·제조·변형하는 과학, 기술, 공학이 융합된 분야로, 유전자 편집, AI, 자동화 등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발전 - 건강, 식량,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각국은 바이오경제 전략 강화 추세
○ [주요 응용 및 기대효과] - (인간 건강) 맞춤형 유전자 및 세포치료, 신속한 백신 개발, 진단 혁신 - (식량안보 및 토양 복원) 고영양 작물, 미생물 비료, 지속가능한 농업 - (순환경제 및 탄소 감축) 바이오 기반 소재 및 연료, 폐기물 자원화, 탄소 포집 및 저장 - (AI 및 자동화 융합) 연구·생산의 속도 및 효율성 극대화, 설계 자동화 - (분산·분권형 제조) 지역 맞춤형 생산, 공급망 회복력 강화
○ [정책 및 거버넌스 핵심 과제] - (혁신 생태계 조성) 연구·산업 연계, 인프라·투자 확대, 기술 상용화 지원 - (인재·역량 개발) 기술·제조·데이터 융합형 인재 양성, 국제 교류 및 재교육 - (형평성·접근성) 국가 간 격차 해소, 인프라·기초연구·데이터 접근성 강화 - (선제적 가치 기반 거버넌스) 민첩하고 예측적인 규제, 공공참여, 윤리·사회적 가치 내재화
○ [정책 제언] - (책임 있는 합성생물학 발전 권고안 마련) 국제적 표준 및 가이드라인 제정, 형평성·공공참여 등 가치 반영 - (거버넌스·기술평가 모범사례 공유 허브)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 정책·기술 평가 및 위험관리 경험 교류 - (정책·기술 영향 평가 지표 개발) 경제·환경·사회적 효과 측정을 위한 고도화된 통계 및 지표 제공 - (혁신적 금융·투자 모델 분석) 공공·민간 투자, 기후 대응 연계, 신흥 및 기존 산업의 상생 모델 제시 - (AI·자동화 등 융합 대비) 미래 융합기술에 대한 정책·거버넌스 선제적 대응 지원
○ [정리] - 합성생물학은 건강, 식량, 환경, 산업 등에서 혁신적 변화를 촉진할 범용 플랫폼 기술로 부상 - 형평성, 안전성, 거버넌스 등 복합적 도전과제가 병존하므로, 책임있는 혁신 생태계 조성, 포용적 성장,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민첩한 정책 설계와 국제 협력이 필수 |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목차
1. 서론
2. 미래를 주도할 기술 전망과 주요 적용 분야
2.1 응용영역(Application area)
① 인간 건강 및 생명과학
② 식량 안보 및 토양 재생
③ 순환성 및 온실가스 감축
2.2 지속 가능한 기술 육성
2.3 산업 분야 (Sector)
① AI 및 자동화와의 융합
② 탈중앙화 및 분산형 제조
3. 주요 정책 및 거버넌스 테마
3.1 강력하고 탄력적인 혁신 생태계
3.2 기술 및 인력 개발
3.3 형평성 및 접근성
3.4 생물학적 안보 및 안정성
3.5 선제적 거버넌스 및 책임 있는 혁신
① 선제적 거버넌스를 위한 도구 및 과제
② 합성생물학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 있는 혁신의 필요성
4. 정책적 시사점 및 전망
4.1 거버넌스 이슈 및 기회
4.2 연구 및 혁신을 위한 과제
5. 정리
◈본문
1. 서론
□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생명 시스템(또는 그 유래 화합물)을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하는 다학제적 생명공학 분야로 유전자·생명체·기타 생물학적 시스템의 이해, 설계, 재설계, 제조 및 수정 등을 과학·기술·공학적으로 수행
◯ 지난 20년간 DNA 시퀀싱 및 합성 비용 급감, CRISPR 등 유전자 편집 기술과 같은 기초 기술의 성장, AI·자동화와의 융합을 통해 발전 가속화
- 개인 맞춤형 유전자 치료, 대체 단백질, 바이오 연료 등 지속 가능하며, 실질적이고 획기적인 혁신이 이미 실현 중이며, 국가별로 바이오경제 전략, 인재 양성, 투자, 규제 등 정책적 대응이 활발
□ 전 세계 60여 명의 전문가가 합성생물학의 기술적 발전, 사회적 영향, 정책적 도전 과제 및 기회에 대해 2023~2024년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OECD에서 과학기술산업 워킹페이퍼(‘25.3) 작성
◯ 본 원고에서는 OECD 보고서가 제시한 합성생물학의 다양한 분야별 혁신적 잠재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및 거버넌스 전략을 중점적으로 소개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바이오 진출을 위한 아시아 전략
지식
- BioINpro [합성생물학 동향]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 동향 2025-07-21
- BioINpro [합성생물학 동향] 장기적 관점에서 본 합성생물학 성장 전략과 정책적 고려사항 2025-07-15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