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global

BioINglobal (BioIN + Global + Trend) : 해외 바이오 동향 및 행사 관련 정보 제공

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 등록일2025-08-11
  • 조회수715
  • 분류종합 > 종합



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김민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24 February 2025
https://www.oecd.org/en/publications/synthetic-biology-in-focus_3e6510cf-en.html


요약

 

○ [합성생물학 정의와 현황]

합성생물학은 생명 시스템을 설계·재설계·제조·변형하는 과학기술공학이 융합된 분야로

유전자 편집, AI, 자동화 등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발전

건강식량환경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각국은 바이오경제 전략 강화 추세

 

○ [주요 응용 및 기대효과]

- (인간 건강맞춤형 유전자 및 세포치료신속한 백신 개발진단 혁신

- (식량안보 및 토양 복원고영양 작물미생물 비료지속가능한 농업

- (순환경제 및 탄소 감축바이오 기반 소재 및 연료폐기물 자원화탄소 포집 및 저장

- (AI 및 자동화 융합연구·생산의 속도 및 효율성 극대화설계 자동화

- (분산·분권형 제조지역 맞춤형 생산공급망 회복력 강화

 

○ [정책 및 거버넌스 핵심 과제]

- (혁신 생태계 조성연구·산업 연계인프라·투자 확대기술 상용화 지원

- (인재·역량 개발기술·제조·데이터 융합형 인재 양성국제 교류 및 재교육

- (형평성·접근성국가 간 격차 해소인프라·기초연구·데이터 접근성 강화

(선제적 가치 기반 거버넌스민첩하고 예측적인 규제공공참여윤리·사회적 가치 내재화

 

○ [정책 제언]

(책임 있는 합성생물학 발전 권고안 마련국제적 표준 및 가이드라인 제정, 형평성·공공참여 등 가치 반영

(거버넌스·기술평가 모범사례 공유 허브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정책·기술 평가 및 위험관리 경험 교류

(정책·기술 영향 평가 지표 개발경제·환경·사회적 효과 측정을 위한 고도화된 통계 및 지표 제공

(혁신적 금융·투자 모델 분석공공·민간 투자기후 대응 연계신흥 및 기존 산업의 상생 모델 제시

(AI·자동화 등 융합 대비미래 융합기술에 대한 정책·거버넌스 선제적 대응 지원

 

○ [정리]

합성생물학은 건강식량환경산업 등에서 혁신적 변화를 촉진할 범용 플랫폼 기술로 부상

형평성안전성거버넌스 등 복합적 도전과제가 병존하므로책임있는 혁신 생태계 조성포용적 성장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민첩한 정책 설계와 국제 협력이 필수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목차

1. 서론

2. 미래를 주도할 기술 전망과 주요 적용 분야

2.1 응용영역(Application area)

① 인간 건강 및 생명과학

② 식량 안보 및 토양 재생

③ 순환성 및 온실가스 감축

2.2 지속 가능한 기술 육성

2.3 산업 분야 (Sector)

① AI 및 자동화와의 융합

② 탈중앙화 및 분산형 제조

3. 주요 정책 및 거버넌스 테마

3.1 강력하고 탄력적인 혁신 생태계

3.2 기술 및 인력 개발

3.3 형평성 및 접근성

3.4 생물학적 안보 및 안정성

3.5 선제적 거버넌스 및 책임 있는 혁신

① 선제적 거버넌스를 위한 도구 및 과제

② 합성생물학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 있는 혁신의 필요성

4. 정책적 시사점 및 전망

4.1 거버넌스 이슈 및 기회

4.2 연구 및 혁신을 위한 과제

5. 정리


◈본문

1. 서론


  □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생명 시스템(또는 그 유래 화합물)을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하는 다학제적 생명공학 분야로 유전자·생명체·기타 생물학적 시스템의 이해설계재설계제조 및 수정 등을 과학·기술·공학적으로 수행

◯ 지난 20년간 DNA 시퀀싱 및 합성 비용 급감, CRISPR 등 유전자 편집 기술과 같은 기초 기술의 성장, AI·자동화와의 융합을 통해 발전 가속화

개인 맞춤형 유전자 치료대체 단백질바이오 연료 등 지속 가능하며실질적이고 획기적인 혁신이 이미 실현 중이며국가별로 바이오경제 전략인재 양성투자규제 등 정책적 대응이 활발

 

  □ 전 세계 60여 명의 전문가가 합성생물학의 기술적 발전사회적 영향정책적 도전 과제 및 기회에 대해 2023~2024년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OECD에서 과학기술산업 워킹페이퍼(‘25.3) 작성

◯ 본 원고에서는 OECD 보고서가 제시한 합성생물학의 다양한 분야별 혁신적 잠재력과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및 거버넌스 전략을 중점적으로 소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