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불가사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콜라겐 추출

  • 등록일2003-02-17
  • 조회수1659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3-02-17
  •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불가사리로#기능성 화장품

 

 

불가사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콜라겐 추출

 

 

■ 천연의 콜라겐 생산으로 이용의 다양화와 안전성 확보

■ 콜라겐 국내 소비량 1,400톤 수입 대체 효과 거양


□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안국전)은 우리나라의 연안어장에 서식하여 패류 양식장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불가사리에서 칼슘 생산기술을 개발, 민간업체에 특허기술을 이전하여 산업화를 이루었으며 이어서 불가사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인 콜라겐을 추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국내 연간 소비량 1,400톤 수입대체 효과와 식품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발표하였다.


□ 콜라겐은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사이를 메우고 있는 아주 중요한 섬유상태의 경단백질로서 피부의 진피층과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며 또한 뼈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중 90% 그리고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1/3을 점유하고 있는 성분이 콜라겐이다. 이에 따라 콜라겐은 세포를 유지하게 하여 피부를 팽팽하게 하며, 신체를 본래의 상태로 유지하고 노화를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소, 돼지 및 그 외 유사 반추동물의 뼈나 껍질로부터 추출된 콜라겐이 화장품 및 식품용 원료로 이용되어 왔지만 광우병 발병을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그 안전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므로 선진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육상동물에서 추출한 콜라겐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바, 광우병이 없는 안전한 천연의 해양원료로부터 콜라겐 대체소재의 개발이 시급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는 해삼 등의 극피동물에서 콜라겐의 추출·이용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불가사리에서 콜라겐을 추출하여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불가사리에서 추출된 해양 콜라겐은 분자량을 3,000∼10,000 정도로 저분자화함으로써 가용성이 우수하고,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또한 기포성, 보습성, 보호콜로이드성 등으로 착색성이 뛰어나고, 제품의 팽창을 방지하는 효과와 용해온도가 육상동물의 콜라겐보다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콜라겐은 화장품 분야에서는 보습 로션, 마스크팩, 비누, 식품분야에서는 식품첨가제, 음료, 의학분야에서는 골다공증, 주름살 제거, 지혈제 원료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콜라겐 양은 연간 1,400톤 정도로 특히,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거의 수입품임을 감안할 때 콜라겐 생산기술이 조기에 산업화 추진이 이루어 진다면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시장 규모가 국내외적으로 급속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여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추출에 성공한 콜라겐으로 화장품, 건강음료 등을 실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2년내에 개발하여 관련업계에 이전, 산업화 할 계획이다.


□생명공학연구단 신물질 개발실(연구관 윤호동(hdyoon@nfrdi.re.kr)/ 연구사 박희연)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