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농업발전과 농업유전자원센터

  • 등록일1997-08-01
  • 조회수1243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1997-08-01
  • 출처
    생명공학동향
  • 원문링크
농업발전과 농업유전자원센터


조은기 농업연구관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유전자원 과 식량자원 연구실장



목 차

1. 농업유전자원의 중요성

2. 농업유전자원의 연구현황과 문제점

가. 세계의 유전자원 현황
나. 우리나라의 유전자원 현황
다. 유전자원의 국내외 활용 현황
라. 유전자원 관련 국제쟁점 사항과 문제점


3. 농업유전자원 관리 방향과 목표

가. 농업유전자원의 관리 방향
나. 농업유전자원의 관리 목표
다. 접근전략


4. 농업유전자원 관리 종합 체계화 방안

가. 유전자원 사업의 종합화
나. 역할분담
다. 연구인력 및 조직 개편
라. 연구사업 추진체제 및 연구기반 재정비
마. 산·학·관 공동협력 연구 강화
바. 유전자원관리 Network 구축


5. 21세기 농업발전에 있어서 유전자원의 역할

참 고 문 헌





1. 농업유전자원의 중요성

 

농업유전자원은 각지역, 국가에서 정착된 오랜 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적 및 인위적 선택을 통하 여 축적되어온 우량유전자의 집적으로 형질과 형태를 다음 세대에 넘겨줄수 있는 동, 식물의 종자, 정액, 영양체, 수정란, 포자와 미생물과 2포 자, 균사 그리고 유전자와 세포주 등을 총칭한다고 보면 살아있는 모든 생물체의 부분들이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농업유전자원은 생명의 원천이며 인간 생존의 기원으로 자연 생태계의 작용과 인간의 물질적 요구를 뒷 받침하고 농업발전 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 국민 복지는 농업유전자원 보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상의 모든 농업유전자원은 40억년간 진화의 산물로서 한번 소멸하면 재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농업유전자원은 인류의 문명발전과 반비례하여 급속한 환경파괴로 매년 5∼10만종의 생물이 지구상에서 멸종되는 것으로 추계되고 있고, 지구상의 현존 종수는 천만종으로 추산하고 있으나, 2000년까지 50∼100만종이 사라질 것으로 보 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농업유전자원 다양성이 소멸되어 가면 머지않아 자연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되고 따라서 인류의 멸망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세계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보다 우수한 다수성 식량작물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고, 이러한 작물 육종의 토대는 우수한 유전자원의 활용만이 가능한 일이다. 특히 야생 유전자원은 식량 뿐만 아니라, 의약품, 연료, 섬유, 향신료 등 인간생활에 필요한 종들의 유전 적 변이성을 다양하게 유지하여 생물학적 구제, 항생물질개발, 천연신소재 물질개발 등의 목적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간의 생활을 보 다 풍요롭게 정신적 안정과 위안을 줄 수 있다. 최근 육종기술 생물공학의 발달은 야생종 및 근연종들의 유용식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유전 자원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되어 가고 있다.

 

농업유전자원의 중요성을 일찍 깨달은 소련,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은 100여년 전부터 농업유전자 원 확보를 위해 국력을 기울여와서 세계적으로 주요자원을 대부분 확보한 실정이나, 후진국은 자국원산의 유전자원 마저 확보하지 못하고 선 진국에서 가져간 재래종이나 야생종을 역으로 수입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형편이다. 1992년 브라질 리우 환경 정상회의에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세계 165 개 국가가 서명하여 1993년 12월부터 발효하게 되어 범세계적 운동으로 추진케 되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환경부 주도하에 생물다양 성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국제간 대책을 범부처적으로 총괄처리 하지 못하고 연구자에 일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제 에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국내외 연구현황을 알아보고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관리 방향과 목표을 잡 고 종합 체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코자 한다.



2. 농업유전자원의 연구 현황과 문제점

 

가. 세계의 유전자원 현황

* 자원 보존 선진국의 유전자원 수집 보존 연구

 

유전자원 탐색수집의 역사는 원시시대로 소급될수 있겠지만 경제식물의 탐색수집의 의의와 그 필요성 을 인식하고 방법론을 확립하여 수집을 실천한 사람은 N. I. Vavilov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세계 각지에 있는 유전자의 지리적 분포를 조사하 여 유전자 변이의 집적과 재배식물의 기원과의 관계를 밝혀 재배식물의 유전변이의 8대 중심지를 지적하면서 유전자원 탐색수집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주요작물의 재배품종을 일찍부터 체계적으로 수집한 것은 주요작물의 재래종을 갖고 있지 않던 미국으 로 1862년 USDA가 창설되면서부터 외국에 주재하는 영사관에 작물 도입의 임무를 부여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47년 제정된 종자법에 의하 여 종자의 생산, 보존, 분배, 도입 등을 규제하면서 식물유전자원의 탐색, 수집, 보존에 점증적으로 노력을 기울여 1979년 초현대적 저장시 설을 완비하고 있다.

 

세계 고등식물은 30∼50만종이 있다고 추정되나 이중 분류 동정된 종은 약 25만종이며 식용 가능한 종 은 3만종이고 이중 재배되는 종은 7000여종이나 주요작물은 30여종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 유전자원 보존현황을 보면 현지내 보존이 9800개 소에 9억3천만ha에 달하고 있으며, 현지외 보존은 시험포장 보존이 537천점, 기내보존 38천점, 식물원 1500개소, 종자은행 1320개 소 615만 점수가 분산 보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표 1>과 같다.


표 1. 지역별 유전자원 보유현황

(단위 : 천점)

지 역 점 수 % Genebank
아프리카 354 6 124
중 남 미 642 12 227
북 미 762 14 101
아 시 아 1,534 28 293
유 럽 1,935 35 496
근 동 328 6 67
소 계 5,555 100 1,308
CGIAR 593 100 12
총 계 6,148 - 1,320



* CGIAR산하 국제 농업연구센터의 유전자원

 

국제 농업연구센터로서 농업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기관은 10개로서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농업유전 자원수는 총 593,367점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표 2>.


표 2. 국제농업연구센터 보유 유전자원 현황

센 터 명 (영명) 소 재 지 설립 연도 보 유 자원수 주 대상작물
국제열대농업센터
(CIAT)
Colombia, Cali 1967 70,940 벼, 카사바, 목초, 콩, Beans
국제감자연구소
(CIP)
Peru, Lima 1970 13,911 감자, 고구마, Andean roots
국제밀·옥수수연구소
(CIMMYT)
Mexico, Mexico 1966 136,637 밀, 옥수수, 보리, 귀리, Triticale
국제건조농업연구소
(ICARDA)
Syria, Aleppo 1975 109,029 보리, 렌틸, 밀, 칙피, 사료작물
국제반건조농업연구소
(ICRISAT)
India, Andhra P. 1972 110,478 수수, 진주조, chick pea, Groundnut
국제열대농업연구소
(IITA)
Nigeria, Ibadan 1967 39,756 카사바, 옥수수, 마, 콩 Cowpea, 벼
국제축산연구소
(ILRA)
Kenya, Nairobi 1974 13,470 목초 (화본과 및 두과)
국제바나나연구소
(INIBAP)
France, Montfellie 1984 1,051 바나나, 플란테인
국제미작연구소
(IRRI)
Philippine, Laguna 1960 80,646 벼, 야생종벼
서아프리카쌀개발협회
(WARDA)
Cote'd Voire 1970 17,440 벼, 야생종벼
- - 593,367 -



* 주요 지역권의 유전자은행, 유전자원 보존 현황 <표3>


표 3. 주요지역권 유전자은행 보유 유전자원 현황

유전자은행명 소 재 지 설립 연도 보 유 자원수 주 대상작물
열대농업연구훈련센타 (CATIE) Costa Rica 1976 35,056 오이, 고추, 커피, 코코아
아시아채소연구개발센타 (AVRDC) Taiwan 1971 37,618 토마토, 고추, 콩, mungbean
노르딕유전자은행 (NGB) Sweden 1979 27,303 화곡류, 과수, 사료작물, 서류, 채소, 근채류, 유지작물
남아프리카개발협회 식물유전자원센타 (SPGRC) Zambia 1988 5,054 Base Collection
아랍산성, 건조지역연구센타 (ACSAD) syria 1971 - 과 수
- - 105,031 -




* 주요국의 농업유전자원 보유 현황

 

미국, 러시아 등은 1800년대부터 식물유전자원을 확보하기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중요한 자원을 다량 확 보하였고, 뒤이어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이 세계 유전 자원 확보 경쟁에 참여하였으며, 개도국들은 20세기 후반에 와서 중요성을 깨 닫고 유전자원을 수집하기 시작하였으나 이미 중요한 재래종의 상당부분이 소멸되고 난 이후의 일이었다. 그러나 일부 자원대국들은 후발국임에 도 불구하고 단시일에 많은 자원을 확보하였고 앞으로도 계속 이 분야를 강화할 추세이다<표 4>.



표 4. 주요국의 농업유전자원 보유 현황

국 명 보 존 내 용
미 국(ARS) 1,366속 8,600종 448,065점을 25개소에 분산 보관
러시아(VIR) 304속 2,539종 349,460점을 10개 부서에 보관
중 국(CAS) 160속 500종 283,264점
일 본(NIAR) 26,159점을 14개소에 분산 보존
북 한(NGB) 38,288점을 보유
한 국(RDA) 135,005점 (1개소)




나. 우리나라의 유전자원 현황

 

* 농촌진흥청 종자은행 농업유전자원 보존 현황

 

종자식물은 농업용 유전자원을 주축으로 농촌진흥청 종자은행에 1548종 13만점이 종자의 형태로 보존되 고 있다.

 

영양체자원은 중앙연구기관, 9개도 농촌진흥원, 32개특화 작목시험장에 492종 10,285점이 분산 보존되 어 있는 실정이다. 보존된 유전자원도 선진국에 비하면 종수에서 비교가 안될 정도로 빈약하여 총체적으로 자원빈국에 속한다고 할 수가 있다<표 5>.



표 5. 종자은행 농업유전자원 보존 현황

구 분 종 수 보유점수 비고
식량작물 174 102,267 종 자 은 행
원예작물 447 11,627
특용작물 246 16,084
사료작물 및 기타 681 5,027
영양체 유전자원 492 10,285 시험장, 연구소
2040 145,290 -



종자은행에서 중점을 두고 수집해온 대상작물이 주곡 작물 위주였으므로 식량작물의 보존점수가 102천 점으로 절대 다수인데 이중에도 벼 22천점, 맥류 43천점, 두류 27천점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일부 잡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원예작물에서도 우리 나라의 주 채소작물인 십자화과(무, 배추, 갓, 유채)와 가지과(고추, 토마토)를 제외하면 미약하기 짝이 없다. 특용작물에서도 참깨, 들깨, 땅콩, 율무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몇점되지 않는다. 사료작물도 자생식물 자원 일부에 해외에서 도입한 초종이 대부분이며, 1대잡종 종자 가 많아서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는 대단히 낮다. 따라서 미약한 유전자원을 보완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은 국내에서 아직 잔존하고 있는 일부 재 래종과 자생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분류, 동정하여 우리 것을 지키고 나아가 해외 자원부국에 진출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지 못한 유전자원 을 조속한 시일내에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다.

 

종자은행을 유전자원의 중심적인 창구로 하여 유전자원실무협의회를 두고 자원의 수집은 종자은행과 협 력기관에서, 증식평가는 산하 협력기관에서 실시하며 평가된 정보는 종자은행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모든 종자는 종자은행에 보존하며 미생 물, 영양체, 동물유전자원은 해당 협력기관에서 보존하고 있다. 보존되어 있는 유전자원과 정보는 언제든지 협력기관, 대학, 종묘회사 등의 협력자들에 의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 정부 출연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종묘회사, 일반기업체 등에 보존된 식물자원

 

식물유전자원의 현지외 보존은 수목원 (국공립) 4개기관에 3,000종 6266점, 공립식물원 1개소 1,088 점, 사립식물원 8개소에 7900종 12,535점을 보존하고 있으며,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종묘회사 등을 육종에 필요한 일부 유전자 원만 보유하고 있고 대학은 보존보다는 연 구 재료보관이라는 목적을 두고 있어 국가전체 자원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에 있 다. 특히 대학 종묘회사 등에 보존하고 있는 자원을 종합화 하여야 한다.

다. 유전자원의 국내외 활용 현황

 

* 외국 연구기관의 유전자원 활용 일반현황

 

IRRI에서 수집평가된 유용형질별 유전자원수는 8,000점이 넘는다. 이들을 이용하여 육성한 IR62는 여 러 가지 내병성 및 내충성 인자를 가지고 있다. IRRI 가 최초로 품종을 공개한 1986년경에는 거의 모든 병충에 대해서 저항성을 가 진 육종재료가 없었으며 평가도 돼있지 못하였었다. 그후 20년 동안에 많은 내병충성을 결합한 품종이 나오게 되었으니 유전자원의 활용 에 좋은 예가 될 것이다.

 

Toriyama는 벼, 밀, 보리, 콩의 육종에 유전자원의 어떻게 유효하게 이용되었는가를 실례를 들어서 설 명하였다. 벼에서 11종, 밀에서 6종, 보리 2종, 콩 6종을 예로 들었는데, 이상의 예만 가지고 보더라도 유전자원 사업에의 투자효 과는 헤아릴 수 없다고 평하고 있다.

또한 농업유전자원을 활용하며 많은 의약품을 개발하였다.

 

* 우리나라의 분야별 자원활용 현황

­ 유전공학분야에서는 미생물 살충적 인자를 작물에 도입하여 살충성 배추를 육성하고 있으며, 식용버섯 (장수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다당류를 분리 정제하여 암세포에 대한 면역기능을 강화시킬수 있는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 다.

­

작물육종부분에는 인도형 벼 IR 8/Yucara /TN1로부터 단간, 내병다수성 요인 도입 통일 벼를 육성하였고, 일본벼 이바나와세로부터 고품질 특성 도입 일품벼를 육성하였다.

­

원예작물분야에는 러시아 수집 꽃마늘 8603, 8661을 교잡육종법에 이용하였으며, 대만 도입 배추 권심을 활용 여름결구 가능 삼복배추를 육종하였다.

­

과수에는 일본배 신고×20세기 활용 내병, 고품질 황금배 육성, 중국 도입 참다 래 Actinidia chinensis 계통 활용, 중부지방 내수성 품종 개발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다

­ 특용작물에서는 이스라엘 원산 참깨 dt 계통을 이용, 유한형 참깨 계통을 육성하였으나, 성 인병에 효과가 인정된 오메가-3 지방산중 알파리놀렌산 함량 증진을 위한 들깨품종 육성에 지방재래종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라. 유전자원 관련 국제쟁점 사항과 문제점

* OECD 가입과 UPOV

 

우리나라 농업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벼, 보리, 콩 등의 육종기술이나 품종의 발전단계는 현재로서 상 당한 수준에 놓여있어서 당장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막대한 자본과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대형 종묘회사가 한국을 목표로 공략할 때는 문제가 달라 질수도 있다.

* 농부권 (Farmer's Right)

 

개도국 원산의 모든 유전자원은 그들 농민과 고유사회가 기여했음이 인정돼야 하고 보호되어야 하며, 이익의 공평한 분배를 통해서 보상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으나 유전자원의 원산지 규명이 쉽지않고 현실적으로 농민의 권리를 보장하기에는 지적 소유권과 상충되는 점이 많아서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자원주권(Soverign Right)

 

국가는 그들의 유전자원에 대해서 개발하거나 이로 인한 이익, 이에 부수되는 어떤 이익에도 배타적 주권을 가진다.고 되어 있는데 대체로 협약 체결시까지 보유한 자원에 대해서 인정하는 방향으로 흘러 가고 있으나 명확한 구분에는 어려움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 전통지식 (Indigenous Knowledge)

 

원주민과 지역사회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어도 이들의 지식과 기술을 지소권 수준으로 보호하자 는 논의가 활발하고 대상은 동식물 자원, 전통치료법, 건축, 토양, 물관리 기술의상 및 염색법, 문화, 예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정부등록과 당사국회의에서 인정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 지적소유권 (Intelectual Property Right)

 

이상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생물다양성 협약이 거론되면서 세상은 유전자원 전쟁에 돌입한 느낌을 받 을 정도이고 많은 석학들은 21세기 국부의 측도는 유전자원의 양과 질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유전자원의 국가간 분양, 교환이 더욱 어려워 지고 국내의 재래종, 야생종은 급격히 소멸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국가정책 우선순위를 유전자원 확보에 두고 예산과 인력을 확대 투입해서 자 원빈국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 기타 국제규약, 생물안정성, 육성자 권한 보호 등이 유전자원의 활용, 이용에 관하여 국제적으로 이 해가 상충되어 난제 해결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본다.



3. 농업유전자원 관리 방향과 목표

 

가. 농업유전자원의 관리 방향

 

* 유전자원 국가 연구 시스템 정립

 

유전자원연구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우선 국가차원에서 연구체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 으로 고려되며 현시스템상에서 바람직한 유전자원연구체제는 유전자원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활용하고 있는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하여 발전하 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농촌진흥청 연구원, 대학교수 및 종묘회사 연구원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전자원협의회의 협의사항을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하 고 종자은행과 지역센터의 협동체제를 공고히 하고 농촌진흥청 종자은행을 창구로하여 자원의 수집, 보존, 평가 및 정보활용체계화를 이룬다. 지역에 는 농촌진흥청 연구기관, 대학, 종묘회사 등에 지역자원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유전자원의 안전보존을 위한 중복보존시설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보며 유전자원별 협의기구로는 유전자원 실무위원회 (12개 분야)를 두어 기술협력 및 자문을 받도록 한다.

* 유전자원 연구체계

 

종자은행에서는 수집도입, 정보관리, 평가, 보존기능을 갖추고 국립동식물 검역소와의 긴밀한 협력하 에 외국과의 자원교환 및 방역교율을 높이며 시험장, 연구소, 대학, 종자회사와의 협력으로 유전자원의 특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특성정보는 종자은행 에서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수집도입된 유전자원 중 종자와 미생물은 종자은행에서 종합보존하고 영양체, 동물, 일부 미생물은 해당 연구기관에 서 보존한다. 보존 중인 유전자원과 정보는 연구의 목적으로 언제라도 제공되어져야 한다.

 

국가 유전자원 위원회를 두고 유전자원별로 12개분야로 구성한다. 구성원은 해당분야별 농업연구관, 대 학교수, 종묘회사 연구원 및 종자은행 관계관 등으로 구성하며 유전자원에 대한 정책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유전자원의 도입 및 교환과 방역의 효율을 높히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것은 미국의 체제와 같은 검역소와 종자은행간의 긴밀한 협력이다. 보유자원에 대한 심도 있는 평가를 위 하여는 특성평가계획(Special Evaluation Project)이 제도화 되어야 한다고 본다. 현재는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농촌진흥청산하 연구기관에서 가시 적 특성에 대하여만 일부 평가된데 그쳐있으므로 유전자원의 활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 농업유전자원 관리 목표

 

농업유전자원 관리 목표는 첫째, 공공연구기관, 대학, 종묘회사, 출연기관, 개인 등이 소장하고 있는 농업유전자원 정보 및 자원의 종합화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농업유전자원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지방, 국가연구기관들이 보 존, 특성평가 체제를 합리적으로 구축하고, 셋째, 연구자가 필요한 시기에 자원과 정보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정보종합활용을 조기에 할 수 있도록 해 야 할 것이며, 넷째, 후세의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의 보존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다. 접근전략

 

국가 유전자원 보전 및 건전한 이용과 개발을 위한 국가 실천 계획 수립과 국가차원의 종합적 유전자 원 관리체제 확립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전자원 관련 법률 및 제도를 조속히 제정, 보완하여 구체적이고도 과학적인 판정 기준 및 판 정 등급 설정에 의한 국내 유전자원의 존재 및 현황 조사, 그리고 관련 자료 구축, 전산 정보 시스템에 의한 국가 총자원에 대한 평가의 과학 화 및 표준화 그리고 지속적이고도 규칙적인 진단과 관리를 수행하고, 국내 유전 자원의 현지내 보존 및 현지외 보전 기술을 개발하며, 유전 자원 평가 관련 조직의 정비 또는 지정 및 운용 인력 확보를 위해 유전자원을 관리하고 유전자원 평가 보존을 위한 전담 전문기관으로서 유 전자원연구소의 신설이 필요하다.

 

둘째, 유전자원 평가 관련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도출, 수행 그리고 유전자원 평가 관련 전문 인력 의 교육 훈련 및 대국민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작물별로 Curator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개발 위주 국토 이용계획으로부터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전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하고 유 전자원 평가를 위한 국내 국제간의 관련 인력, 정보 교류 및 협력을 통하여 관련 정책 및 사업수행을 위한 적절하고도 지속적인 재원을 조 달 해야한다.

넷째, 유전자원 정보 확보와 지속적 활용을 위하여 한국 유전자원보전 정보망을 성립하고 확대해 나가 야할 것이다.



4. 농업유전자원 관리 종합 체계화 방안

 

가. 유전자원 사업의 종합화

첫째 : 유전자원 국내외 종합관리를 위한 법령, 제도를 제정하여 국가 차원의 종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직도 정비하여 유전자원의 유지 보존과 활용이 종합화할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 유전자원 실무위원회를 실질화하여 중단기 사업계획에 따른 수집, 특성평가, 보존과 계획에 따 른 예산을 반영하고 심의사항을 농촌진흥청, 농림부 등에 건의하여 정책에 반입하여야 한다.

 

셋째 : 국가적 차원의 연구기관, 대학, 종묘업계 유대를 강화하여 식량, 특용, 원예 등 작목별 구분협 의체 구성, 1개 작목에 5∼6명 정도 구성운영하되 특성평가, 수집, 보존 계획시 반드시 검토토록 한다.

 

넷째 : 대학, 종묘회사, 독농가 보유 유전자원 정보목록의 집중관리가 필요하며 대학, 종묘회사의 보 유 유전자원 정보를 이관하여 국가연구기관이 자료를 입력 및 분석하고 데이터를 활용토록 한다.

 

다섯째 : 종자은행 이외의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원은 가능한 종자은행에 위탁하여 관리토록 하고 위탁종자에 대한 접근 제한 및 책임자를 지정하여 운영토록 한다.

 

여섯째 :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증식은 대학, 종묘회사, 작목 연구기관에서 가능한 최우선 협조하여 특 성평가 책임자를 지정하여 운영토록 한다.

나. 역할 분담

 

* 국립 연구기관

 

유전자원 연구는 단일조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유전자원 연구는 보조기관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Curator 지정기관은 단기 보존자원을 분산토록 하고 중앙저장 장기시설을 운영하되 자원의 정보관리는 종합화하 여 운영토록 해야 한다. 특히 영양체 자원은 현지 시험장, 연구소를 지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일본은 44개소의 curator 지정시험기관이 운영되고 있 음).

자연계·농과계 대학 교수 또는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목록과 재료를 국가연구 기관에 이관하여 종합 ·관리토록하며 특수한 목적의 유전자원 정부로부터 관리지정을 받도록 한다.

 

* 종묘회사 등 민간 기업체

 

특수육종에 맞는 사업자 또는 특정지역에 존재하는 유전자원을 관리토록 하고 소멸 위험이 있는 자원 을 국립연구기관에 위탁관리토록 하고 접근제한자원를 요구한다.

* 정책기관

 

유전자원에 대한 법령, 제도개선을 하고 농업유전자원이 총괄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며 외국과의 이출 입시 각종 제도적 문제점을 보완토록 한다.

다. 연구인력 및 조직개편

 

1) 기존 연구기관인 농업과학기술원의 연구인력을 활용 재편하고 국가 전체의 유전자원을 관리할 수 있 는 인력을 시급히 확보해야 한다.

2) 국가 연구기관인 농업과학기술원 유전자원과를 유전자원 연구소로 확대개편하고 식물, 동물, 미생 물 분야 연구 총괄기관을 두어야 한다.

3) 유전자원중 종자, 미생물 및 영양체 자원으로 구분하여 보관토록 해야 하며, 종자 자원은 장기(일괄 관리), 중·단기(작목연구기관 배분관리)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영양체 자원은 작목 연구기관을 지정하여 배분관리하며, 미생물자원은 미생물 자원센터의 설립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4) 현존시설 및 시험포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재배치하여 종자은행 저장고 시설은 중·단기 저장고로 대 체 활용하고, 작목연구기관의 영양체 보존포를 최소 이동 가능 기관에 재배치 지정하며, 작목연구기관의 저장고 시설을 중·단기 저장고로 개 축, 활용토록 해야 할 것이다.

 

라. 연구사업 추진체제 및 연구기반 재정비

1) 장기저장과 중·단기 저장을 분리하되, 장기저장은 유전자원연구소에서 저장하고, 중·단기 저장은 작목 담당지정 연구기관에서 하되 작목담당 지정이 없는 작물은 유전자원 연구소에서 관리토록 한다.

2) 특성평가 및 분양사업은 중·단기 저장고가 설치된 연구기관에서 실시하되 장기저장의 증식자원은 중·단기 지정기관에서 증식, 평가토록 한다.

3) 작목별 전문가(Curator)제도을 도입하여 주요 작물의 Curator 지정과 관리책임 및 분양권한을 위임 하고, 모든 수집(국내외)자원은 해당작목 Curator에게 증식, 평가 및 분양, 단기 보존 책임을 지우도록 한다. 또한 국내 미연고 자원(국 내에 없는 작물)은 유전자원 연구소에서 관리토록 한다.

4) 장기저장고 및 유전자원연구소의 시설을 확충하여 최소 일본의 유전자원 센터 규모와 시설을 갖추도 록 해야할 것이며,

5) 유전자원의 정보 전산화를 강화하여 국내외 모든 식물유전자원 정보의 집중관리 및 On-line 써비스 를 시행하고 전산장비의 대형화 및 첨단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6) 중·단기 저장고를 최대한 설치 활용하여 작목별 연구기관의 중·단기 저장시설을 보강(Curator)하 고 각 연구기관 및 유전자원연구소 기자재를 확충해야 한다.

 

마. 산·학·관 공동 협력연구 강화

1) 유전자원 공동수집, 탐색 및 보존을 위하여 국외 유전자원을 현지수집 Project화하여 권역별, 국가 별 전문가를 지정, 수집팀을 구성하고 국제 연구기관, 각국의 국공립 연구기관 상호 유전자원 교환사업을 수행하며, 국내 유전자원을 수집, 종합계획을 수립하되 대학, 연구기관, 지도기관, 종묘회사, 독농가 등이 참여토록 하여야 한다.

2) 유전자원 공동특성 평가 및 증식을 위하여 연구기관, 대학교수, 종묘회사, 지도기관의 전문성을 고 려, 작목별 공동특성평가 전담자를 지정하고 연구용 분양종자도 증식 의무화하며 특성평가회시 대학, 연구기관, 종묘회사 등 다수기관이 참 여하여 공동평가토록 한다.

3) 유전자원 상호교환에서는 대학, 연구기관, 종묘회사 등 유용유전자원 상호교환을 추진하고, 종자은 행의 중·단기 보유종자는 연구용으로만 분양하는 규칙을 제정하며, 국외기관 협조 유전자원 연구소간 상호교환(대학 등)을 해야 한다.

4) 산·학 보유 유전자원의 종자은행 저장고를 활용 하여 대학, 종묘회사의 의뢰 유전자원에 대하여 일 정기간 의뢰자 허락없이 분양 또는 열람이 불가토록 하고 특수목적 유전자원의 특성검정 파일을 별도 저장해야 한다.

5) 유전자원 정보의 공동활용 방안은 연구기관의 정보자료를 수시 및 장기 제공(대학, 종묘회사 등)하 고 농촌진흥청 전산망 Passort Data를 인터넷에 공개하며 대학, 종묘회사, 독농가 보유 유전자원의 정보자료를 체계화해야될 것으로 생 각한다.

 

바. 유전자원 관리 Network 구축

1) 유전자원 정보전산 관리는 유전자원 등록 및 목록작성, 유전자원 특성평가, 자료 전산화, 유전자원 Passport Data 자료조정 및 수정, 유전자원 관련 정보수집 및 D/B화를 해야한다.

2) 유전자원 정보전산망 구축은 종자은행 정보실을 중심으로 일반이용자에게 제출, 인터넷에서 활용토 록 하고 연구기관 등에서는 LAN를 설치하여 활용토록한다.



5. 21세기 농업발전에 있어서 유전자원의 역할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경제 정책의 목표가 생물다양성 보전 제약 조건하에서 경제발전의 순편 익을 극대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근에 프랑스 등의 유럽국가와 UN 등에서 개발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진 행중인 녹색 GNP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녹색 GNP는 생물다양성의 감소 등 환경 서비스의 변화를 화폐 단위로 계량화하여 현재의 국민소득 계정 체제를 계산하는 것으 로, 이것이 진정한 의미의 경제 발전의 수준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녹색 GNP 개념에서 본다면 농업유전자 원이야말로 21세기 농업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관련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식물 육종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생산성 증대, 품질향상, 재해저항성증대, 농업경영에 알맞는 품종육성 등의 지대한 역할을 할 것이며,

둘째 : 분자유전학과 생명공학의 발달은 농업분야에서 새로운 생산소재를 개발하고 생물체 및 그 기능을 이용하며, 또한 생물 상호간의 반응을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따라서 농업유전자원은 Gene Pool 개념에서 많은 소 재를 갖고 있는 재료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 농업관련된 산업에 지대한 역할을 미쳐 구조적으로 농업자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식품 산업, 농자재산업(농약, 비료) 특히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소재, 신물질 개발사업 분야에 생산의 열쇠를 갖고 있다.

넷째 : 21세기는 환경의 시대이므로 Green의 개념이 도입된 환경보전의 국가 공익적 기능으로 계산할 수 없는 가치를 인류에게 부여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농업유전자원은 21세기 농축산물 개발의 천연생리활성물질, 산업화의 모태이며 미래 종자전 쟁 시대를 대비한 마지막 보루로서 후손에게 물려줄 유일한 유산임을 자각할 때 농업발전의 큰 부분을 종자, 환경, 기술로 본다면 농업유전자원은 종 자 뿐만 아니라, 환경과 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종의 선택과 개량으로 인류에게 가장 유용한 자원을 제공하게 되어 농업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허문회, 1989, 농업유전자원의 수집활용과 발전방향, 농촌진흥청 심포지움 12; 4-7

2. 안완식, 1989, 한국의 농업유전자원 연구현황과 금후방향, 농업유전자원의 수집활용과 발전방향, 농 촌진흥청 심포지움 12;30-56

3. 이인규, 김계종, 조재명, 이도원, 조도순, 유종수, 1994,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405

4. 임무상, 1997, 유전자원의 수집 및 품종 특성유지, 작물육종반교재; 75-130

5. FAO, 1996, Report on the State of the World's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 9-38

6. 허문회, 박순직, 1993, 재배식물 육종학; 4-6

7. 농업과학기술원, 1997, 21세기 종자전쟁시대를 대비한 유전자원 관리 현황과 발전 방안; 1-20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